“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찰랍(扎臘) - 찰랄(札剌)
중국 원(元)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무신. 합진(哈眞)과 함께 고려의 강동성(江東城)을 점거한 거란(契丹)의 육가(六哥)를 평정함.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찰랍(札臘) - 찰랄(札剌)
중국 원(元)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무신. 합진(哈眞)과 함께 고려의 강동성(江東城)을 점거한 거란(契丹)의 육가(六哥)를 평정함.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참(參) - 조참(趙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조동호(趙銅虎)의 아들이며,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조순(趙舜)의 동생.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집의(執義) 등을 지냄.
14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참료자(參寥子) - 도잠(道潛)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승려ㆍ시인. 항주(杭州)의 서호(西湖)에서 소식(蘇軾)과 교유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참선(參禪) - 백비화(白賁華)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포(藍浦)로, 백광신(白光臣)의 아들. 1198년(신종 1)에 춘관시(春官試)에 급제하여, 내시(內侍)로 오래 재직하고 예부 원외랑(禮部員外郞)ㆍ경산 부사(京山府使) 등을 지냄. 저서로 《남양시집(南陽詩集)》이 있음.
1180~122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관인>문신
-
참선거사(參禪居士) - 백비화(白賁華)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포(藍浦)로, 백광신(白光臣)의 아들. 1198년(신종 1)에 춘관시(春官試)에 급제하여, 내시(內侍)로 오래 재직하고 예부 원외랑(禮部員外郞)ㆍ경산 부사(京山府使) 등을 지냄. 저서로 《남양시집(南陽詩集)》이 있음.
1180~122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관인>문신
-
참의(參議) - 권문언(權文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규(權逵)의 아들.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門人)으로 벼슬길에는 나아가지 않음.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증직됨.
1530~15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창(敞) - 윤창(尹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진현관 제학(進賢館提學) 윤취(尹就)의 아들이자, 파원군(坡原君) 윤평(尹泙)의 아버지로, 인수부 윤(仁壽府尹)을 지냈으며, 호조 판서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창(敞)@허창 - 허창(許敞)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김해허씨(金海許氏)의 중시조인 허유전(許有全)의 후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창(敞)@정창 - 정창(鄭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幼學). 본관은 진주(晉州). 충좌위 부사맹(忠佐衛副司猛)을 지낸 정복린(鄭福麟)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의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창(敞)@김창 - 김창(金敞)
고려 후기의 문신.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이종사촌으로, 덕원군(德原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창(敞)@유창 - 유창(劉敞)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강릉유씨(江陵劉氏)의 시조로,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태조(太祖)에게 여러 차례 《대학연의(大學衍義)》를 진강함.
?~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창(昌) - 손창(孫昌)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문과에 급제하여 호조 정랑(戶曹正郞) 등을 역임하였고, 유호인(兪好仁)과 도의(道義)로 사귐.
1438~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창(昶) - 안창(安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영흥 부사(永興府使) 안방경(安方慶)의 아들.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으로, 1594년(선조 2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부사(府使) 등을 역임함.
155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천 , 인명>관인>문신
-
창(淐) - 왕창(王淐)
고려 제23대 고종(高宗)의 아들. 원종(元宗)의 동모제(同母弟)로 1269년(원종 10) 임연(林衍) 등에 의해 즉위하였으나, 몽고의 압력으로 곧 폐위되고 원종이 복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창강(滄江) - 조속(趙涑)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조수륜(趙守倫)의 아들. 시ㆍ서ㆍ화 삼절(詩書畵三絶)로 일컬어지고, 영모(翎毛)ㆍ매죽(梅竹)ㆍ산수(山水)에 능했음.
1595~166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창강자(滄江子) - 조속(趙涑)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조수륜(趙守倫)의 아들. 시ㆍ서ㆍ화 삼절(詩書畵三絶)로 일컬어지고, 영모(翎毛)ㆍ매죽(梅竹)ㆍ산수(山水)에 능했음.
1595~166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창경(倉庚) - 앵(鶯)
꾀꼬리. 모습이 아름답고 울음소리가 맑고 다양하여 시재(詩材) 및 화재(畫材)로 자주 쓰였으며, 이 새가 울면 잠업(蠶業)이 시작된다고 함.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암수가 사이좋게 노니는 것을 읊은 〈황조가(黃鳥歌)〉가 전함.
자연물>동물
-
창경(彰卿) - 백광훈(白光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해미(海美). 박순(朴淳)ㆍ양응정(梁應鼎)ㆍ노수신(盧守愼)에게서 수학함. 당시(唐詩)의 시풍(詩風)을 주장하여 최경창(崔慶昌)ㆍ이달(李達)과 함께 삼당시인(三唐詩人)이라 불리고, 이산해(李山海)ㆍ최립(崔笠) 등과 더불어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7~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
-
창경(鶬鶊) - 앵(鶯)
꾀꼬리. 모습이 아름답고 울음소리가 맑고 다양하여 시재(詩材) 및 화재(畫材)로 자주 쓰였으며, 이 새가 울면 잠업(蠶業)이 시작된다고 함.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암수가 사이좋게 노니는 것을 읊은 〈황조가(黃鳥歌)〉가 전함.
자연물>동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