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처종(處宗) - 송처종(宋處宗)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연주 자사(兗州刺史)를 지냄. 《유명록(幽冥錄)》에 장명계(長鳴鷄)를 사다가 서재 창가에서 길렀는데 얼마 후 닭과 담론(談論)하면서 깨달은 것이 많았다는 고사(故事)가 실려 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처중(處中) - 권처중(權處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산(豐山).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황주 , 인명>문사>유학
-
처중(處仲) - 왕돈(王敦)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 원제(元帝) 때의 재상(宰相). 동진 창업에 공훈을 세워 재상이 되었으나, 명제(明帝) 때 모반하였다가 병사(病死)함.
266~32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처직(處直) - 안처직(安處直)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제용감 부정(濟用監副正)을 지낸 안선(安璿)의 아들로, 문화 현령(文化縣令)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처충(處冲) - 왕담(王湛)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학자. 덕(德)을 숨기고 표현하지 않아 사람들에게 치숙(癡叔)이라고 불림. 역리(易理)에 정통하였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처함(處諴) - 안처함(安處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수찬(修撰)ㆍ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하였으며, 형 안처겸(安處謙)이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의 대신을 모해하려 하였다는 혐의로 처형당할 때 처가인 용인(龍仁)으로 낙향하여 죽음을 면하였음.
1488~154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산선생문집(芝山先生文集) - 지산집(芝山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인 조호익(曺好益)의 시문집. 9권 4책. 목판본. 1727년(영조 3)에 원집(原集)이 초간되고, 1883년(고종 20)에 후손 조광복(曺光復) 등이 원집과 속집을 합하고 부록을 증보하여 재편ㆍ간행함.
172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지산수(芝山叟)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산정사(芝山精舍) - 영지정사(靈芝精舍)
경상도 안동(安東) 도산면(陶山面)의 영지산(靈芝山) 남쪽에 있던 정사(精舍). 조선 중종(中宗) 때 이현보(李賢輔)가 낙향하여 세운 것으로, 이황(李滉)과 교유하던 곳.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누정
-
지삼기(知三歧) - 이나(李那)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완산(完山). 이보(李保)의 아들로, 지삼기현사(知三岐縣事)를 지냄. 길재(吉再)의 《야은집(冶隱集》에 그에게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지상(之祥) - 정지상(鄭之祥)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전리 좌랑(典理佐郞)을 지낸 정혼(鄭渾)의 아버지. 원(元) 나라에서 뒷날 공민왕이 되는 강릉대군(江陵大君)을 만나 시종하고, 감찰지평(監察持平)ㆍ어사중승(御史中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지상(志尙) - 탁지상(卓志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낸 탁광수(卓光守)의 셋째 아들로, 숙부인 탁지수(卓持守)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첨지(僉知)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지상(砥相) - 이단하(李端夏)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아들로,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가운데 경학(經學)을 대표할 만한 인물로, 저서에 《선묘보감(宣廟寶鑑)》ㆍ《외재집(畏齋集)》 등이 있음.
1625~168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지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지서(知瑞) - 김생(金生)
통일신라의 서예가. 일생을 서예에 바쳤으며, 예서(隸書)ㆍ행서(行書)ㆍ초서(草書)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서성(書聖)’이라 불림.
711~?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충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지선(智詵) - 지증(智證)
신라 문성왕(文聖王)~헌강왕(憲康王) 때의 승려. 문경(聞慶) 희양산(曦陽山)에 절을 창건하자 헌강왕이 봉암사(鳳巖寺)라는 사액을 내려 주었는데, 이곳에 머물다 입적하였음. 최치원(崔致遠)의 사산비명(四山碑銘) 중 하나인 희양산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曦陽山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가 남아 있음.
824~88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문경 , 인명>종교인>승려
-
지선(止善) - 오명립(吳名立)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1610년(광해군 2)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나 광해군의 폐모론이 일자 낙향하여 지선정(止善亭)을 짓고 후학을 양성함.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유학
-
지선백(芝仙伯)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지선장(至善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지선정(止善亭) - 오명립(吳名立)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1610년(광해군 2)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나 광해군의 폐모론이 일자 낙향하여 지선정(止善亭)을 짓고 후학을 양성함.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유학
-
지성(之誠) - 이지성(李之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경주(慶州). 충무위 상호군(忠武衛上護軍) 이화(李譁)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