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지성(志誠) - 성덕왕(聖德王)
신라 제33대 왕. 재위 702~737. 신문왕(神文王)의 둘째 아들이며, 효소왕(孝昭王)의 동모제(同母弟).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전성기를 누림.
?~73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지성(池城)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지성(至誠) - 홍지성(洪至誠)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여경(餘慶) 홍유손(洪裕孫)의 아들. 사화로 고초를 겪은 아버지의 영향으로 관직에 나가지 않고 향리에 은거하여 학문에 매진하고 후진교육에 힘썼으며, 특히 고문에 정통했음.
1528~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학자
-
지성산성(池城山城) - 수양산성(首陽山城)
통일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황해도 해주(海州)의 수양산(首陽山)에 쌓은 산성 이름. 1674년(숙종 2)에 수축함. 고죽군(孤竹君)의 옛 터가 있다는 전설이 전함.
762 한국>통일신라 , 황해도>해주 , 유적>시설>성,진,책
-
지세(持世) - 조위한(趙緯韓)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양정(趙揚庭)의 아들이자 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낸 조찬한(趙纘韓)의 형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567~16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세충(支世充) - 왕세충(王世充)
중국 수(隨) 말~당(唐) 초의 무신. 수 양제(煬帝)의 신임을 얻어 고위직에 올랐으나 황제 양동(楊侗)을 폐위하고 스스로 정국(鄭國)을 세워 왕위에 오름. 후에 이세민(李世民)에게 패퇴하여 항복함.
?~62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지소(芝所) - 황일호(黃一皓)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황척(黃惕)의 아들로, 큰아버지 황신(黃愼)에게 출계함.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호종하고, 의주 부윤(義州府尹)으로 있던 1638년(인조 16)에 명(明) 나라를 도와 청(淸) 나라를 치고자 모의하였으나 발각되어 청 나라 병사에게 피살됨.
1588~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지소재(志素齋) - 남효의(南孝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1511년(중종 6) 문과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역임함.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의 종제(從弟).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지손(之損) - 개주(開州)
중국 동북부 봉황성(鳳凰城) 부근에 있었던 고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지손(芝孫) - 양지손(梁芝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1483년(성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에 급제하여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냄. 정수강(丁壽崗)의 《월헌집(月軒集)》에 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지수(之壽) - 조지수(趙之壽)
고려 후기의 문신. 한양조씨(漢陽趙氏)의 시조. 명종(明宗)~강종(康宗)까지 네 명의 왕을 섬기고, 첨의중서사(僉議中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수(之秀) - 박지수(朴之秀)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지빈(朴之彬)의 아우이고, 추밀 원사(樞密院事) 박양계(朴良桂)의 조부로, 밀직 부사(密直副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지수(之秀)@이지수 - 이지수(李之秀)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삼중대광(三重大匡)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지수(志洙) - 송지수(宋志洙)
조선 헌종(憲宗) 때의 문인. 선조(先祖) 송인수(宋麟壽)의 《규암집(圭庵集)》을 교정하고 보충하여 1844년에 재편찬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문인
-
지수(持守) - 탁지수(卓持守)
조선 전기의 문신. 사인(舍人)을 지낸 탁진옥(卓振玉)의 셋째 아들로, 탁세영(卓世瑛)에게 출계하였으며, 직장(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지수(篪叟) - 정규양(鄭葵陽)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오천(烏川). 이현일(李玄逸)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경사(經史)와 정치 등에 두루 통달함. 학행으로 천거되어 현릉 참봉(顯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사퇴하고 후진 양성에 힘씀.
1667~17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지수암(知守菴) - 권감(權瑊)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남이(南怡)를 제거하고 예종(睿宗)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며,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된 뒤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냈음.
1423~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지수재(知守齋) - 유척기(兪拓基)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김창집(金昌集)의 문인으로, 소론(少論)의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노론(老論) 집권 때 영의정 등을 지냄. 신임사화(辛壬士禍)로 사사된 김창집ㆍ이이명(李頤命)을 복관시킴.
1691~176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지숙(之淑) - 김지숙(金之淑)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ㆍ무신. 삼별초(三別抄)를 토벌하다가 포로가 된 후 진도(珍島)에서 탈출하여 적의 정세를 관군에게 알려 토벌에 기여하는 공을 세움.
1237~13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지숙(之菽) - 이지숙(李之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한성군(韓城君) 이질(李秩)의 아들로,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냈으며, 아들인 아천군(鵝川君) 이증(李增)의 훈공으로 인해 이조 판서(吏曹判書) 한평군(韓平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