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홍상경(洪祥卿) - 홍경창(洪慶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계강(洪係江)의 아들로, 안동 부사(安東府使)ㆍ봉상시 부정(奉常寺副正)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서(弘緖) - 김홍서(金弘緖)
조선 후기의 문신. 시정(寺正)을 지냄. 임진왜란 때 의병에 참가한 형 김홍업(金弘業)에 대한 〈행록(行錄)〉을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홍서(弘緖)@정홍서 - 정홍서(鄭弘緖)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장수 현감(長水縣監)을 지낸 정대민(鄭大民)의 아들로, 1628년(인조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학정(學正) 등을 지냄. 남계서원(蘫溪書院) 별사(別祠)에 배향됨.
1571~16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홍선(弘先) - 심경지(沈慶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무신. 이민족의 반란을 진압하고 많은 전공을 세워 건무장군(建武將軍)에 임명되고, 역모를 고변하여 시중(侍中)에 올랐다가 폐제(廢帝)에 의해 사사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홍수(洪壽) - 우홍수(禹洪壽)
고려 우왕(禑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단양백(丹陽伯) 우현보(禹玄寶)의 아들이며, 단양군(丹陽君) 우성범(禹成範)의 아버지. 1389년(창왕 1)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인주(仁州)에 유배되고, 1392년(태조 1) 정도전(鄭道傳)의 모함을 받아 순천(順天)에 유배되었다가 장살됨.
1355~139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수(洪壽)@기홍수 - 기홍수(奇洪壽)
고려 명종(明宗)~희종(熙宗) 때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으나, 후에 최충헌(崔忠獻)에게 정권을 양보한 뒤 음악과 글씨를 즐기며 여생을 보냄.
1148~120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무신
-
홍순복(洪舜福) - 홍순복(洪順福)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홍석복(洪碩福)의 형이고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 때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대궐문을 막고 저항하였다가 이듬해 이신(李信)의 밀고로 붙잡혀 사사됨.
1492~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홍술(洪術) - 홍유(洪儒)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태조의 26번째 부인인 의성부원부인(義城府院夫人)의 아버지이며, 의성홍씨(義城洪氏)의 시조. 신숭겸(申崇謙)ㆍ복지겸(卜智謙)ㆍ배현경(裵玄慶) 등과 함께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왕으로 추대하여 고려의 개국공신이 됨.
?~9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홍술(洪述) - 홍유(洪儒)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태조의 26번째 부인인 의성부원부인(義城府院夫人)의 아버지이며, 의성홍씨(義城洪氏)의 시조. 신숭겸(申崇謙)ㆍ복지겸(卜智謙)ㆍ배현경(裵玄慶) 등과 함께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왕으로 추대하여 고려의 개국공신이 됨.
?~9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홍습(洪霫) - 홍익한(洪翼漢)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이정귀(李廷龜)의 문인이며,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병자호란 때 척화론(斥和論)을 폈으나 왕이 화의하자 오달제(吳達濟)ㆍ윤집(尹集)과 함께 심양(瀋陽)으로 잡혀가 죽음을 당함.
1586~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시가(洪時可) - 홍성민(洪聖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홍춘경(洪春卿)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 1590년(선조 23)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듬해 건저문제(建儲問題)로 인해 파직당함.
153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애(洪崖)@홍언충 - 홍언충(洪彦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홍귀달(洪貴達)의 셋째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간언 상소를 올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73~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홍애(洪崖) - 홍간(洪侃)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풍산(豐山). 지제고(知製誥) 등을 지냈으나 언사(言事)로 인해 동래 현령(東萊縣令)으로 좌천됨. 시문에 능하고 시체(詩體)가 청려하여 이제현(李齊賢)ㆍ허균(許筠) 등으로부터 칭송을 받음.
?~130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홍애선생(洪崖先生) - 홍간(洪侃)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풍산(豐山). 지제고(知製誥) 등을 지냈으나 언사(言事)로 인해 동래 현령(東萊縣令)으로 좌천됨. 시문에 능하고 시체(詩體)가 청려하여 이제현(李齊賢)ㆍ허균(許筠) 등으로부터 칭송을 받음.
?~130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홍애선생유고(洪崖先生遺槀) - 홍애집(洪崖集)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문인인 홍간(洪侃)의 시문집. 1책. 목판본. 10대손 홍방(洪滂)에 의해 수집ㆍ편찬되어 1629년(인조 7) 간행되고, 1688년(숙종 14) 12세손 홍만조(洪萬朝)에 의해 중간됨. 목록ㆍ세계ㆍ본집ㆍ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홍애유고(洪崖遺槀) - 홍애집(洪崖集)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문인인 홍간(洪侃)의 시문집. 1책. 목판본. 10대손 홍방(洪滂)에 의해 수집ㆍ편찬되어 1629년(인조 7) 간행되고, 1688년(숙종 14) 12세손 홍만조(洪萬朝)에 의해 중간됨. 목록ㆍ세계ㆍ본집ㆍ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홍약(紅藥) - 작약(芍藥)
작약과(芍藥科)의 다년생초(多年生草). 흔히 남녀 간의 애모(愛慕)하는 마음이나 이별(離別)의 상징물로 쓰여,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ㆍ《동문선(東文選)》 등에 실려 있음.
자연물>식물
-
홍양(弘羊) - 상홍양(桑弘羊)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 평준법(平準法) 등을 만들어 국가의 재정수입을 증가시켰으나, 곽광(霍光)과 반목이 격화되자 상관걸(上官桀) 등과 함께 모반을 꾀하다가 처형됨.
B.C.152~B.C.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홍양(洪陽)@홍성 - 홍성(洪城)
충청남도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홍주목(洪州牧)과 결성현(結城縣)이 합해져 이루어진 고을로, 백제 멸망 후 부흥운동의 최후 항거지였던 주류성(周留城)이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군사상 요지로서 충청도의 5개 진관(鎭管) 중 하나가 설치됨.
충청도>홍주 , 지명>행정지명
-
홍양군(洪陽君) - 임유무(林惟茂)
고려 원종(元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鎭州). 권신 임연(林衍)의 아들. 원종(元宗)을 폐하고 안경공 창(安慶公淐)을 즉위시켰는데, 몽고의 압력에 따라 원종은 복위되고 자형인 대장군 최종소(崔宗紹)와 함께 저자에서 살해됨.
?~1270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