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홍양부원군(洪陽府院君) - 이기종(李起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홍주(洪州). 이서(李舒)의 아버지로, 연경궁제학(延慶宮提學) 등을 지냄. 홍양부원군(洪陽府院君)에 봉해짐으로써 이때부터 홍주를 관향으로 삼은 홍주이씨(洪州李氏)의 세계(世系)가 이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홍언(弘彦) - 윤홍언(尹弘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이조 참판(吏曹參判) 윤은필(尹殷弼)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예빈시 별좌(禮賓寺別坐)가 되고, 직장(直長)ㆍ전중(殿中) 등을 지냄.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홍업(弘業) - 김홍업(金弘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임진왜란이 일어나 의병을 모집하는 박광전(朴光前)을 찾아간 사실이《죽천집(竹川集)》에 전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홍우(弘祐) - 노홍우(盧弘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선조(宣祖) 때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노직(盧稙)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남평 현감(南平縣監) 등을 지냈음.
1552~160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홍우(弘遇) - 김홍우(金弘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효원(金孝元)ㆍ김이원(金履元)의 아버지. 영유 현령(永柔縣令)을 지냈으며 좌찬성(左贊成)에 증직(贈職)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홍우(紅友)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홍우암(洪寓庵) - 홍언충(洪彦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홍귀달(洪貴達)의 셋째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간언 상소를 올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73~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홍운(弘運) - 문홍운(文弘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성광(醒狂) 문할(文劼)의 아들.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고, 1612년(광해군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77~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유학
-
홍원(洪源) - 고원(高原)
함경도 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동뷱쪽으로 영흥부(永興府), 남쪽으로 문천(文川)에 접해 있음.
함경도>고원 , 지명>행정지명
-
홍원례(洪元禮) - 홍이상(洪履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는 한편 왜장(倭將) 사이의 이간 계획을 추진함. 광해군 때 이이첨(李爾瞻) 일파에게 몰려 개성유후사 유후(開城留後司留後)로 좌천되어 그곳에서 죽음.
1549~16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홍원서실(洪源書室) - 홍원서당(洪源書堂)
중국 원(元) 나라 초 무이산(武夷山)에 건립한 서당. 본래 이름은 홍원서실(洪源書室)이며 웅화(熊禾)가 은거하던 곳으로, 명(明) 나라 때 중수하여 웅물헌선생서원(熊勿軒先生書院)으로 개칭함. 주돈이(周敦頤)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ㆍ주희(朱熹) 등을 배향함.
중국>원 , 중국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홍원서원(洪源書院) - 홍원서당(洪源書堂)
중국 원(元) 나라 초 무이산(武夷山)에 건립한 서당. 본래 이름은 홍원서실(洪源書室)이며 웅화(熊禾)가 은거하던 곳으로, 명(明) 나라 때 중수하여 웅물헌선생서원(熊勿軒先生書院)으로 개칭함. 주돈이(周敦頤)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ㆍ주희(朱熹) 등을 배향함.
중국>원 , 중국 , 유적>건물>서원,향교
-
홍유(弘儒) - 설총(薛聰)
통일신라 신문왕(神文王)~경덕왕(景德王) 때의 학자. 원효대사(元曉大師)의 아들. 신라십현(新羅十賢)의 한 사람이며, 강수(强首)ㆍ최치원(崔致遠)과 함께 신라삼문장(新羅三文章)의 한 사람으로 꼽힘. 이두(吏讀)를 집대성했으며, 〈화왕계(花王戒)〉를 지음.
65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홍유후(弘儒侯) - 설총(薛聰)
통일신라 신문왕(神文王)~경덕왕(景德王) 때의 학자. 원효대사(元曉大師)의 아들. 신라십현(新羅十賢)의 한 사람이며, 강수(强首)ㆍ최치원(崔致遠)과 함께 신라삼문장(新羅三文章)의 한 사람으로 꼽힘. 이두(吏讀)를 집대성했으며, 〈화왕계(花王戒)〉를 지음.
65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홍윤(弘允) - 설홍윤(薛弘允)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실려 있는 〈증장보(贈張甫)〉라는 시에 나옴.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홍윤(弘胤)@김홍윤 - 김홍윤(金弘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극핍(金克愊)의 아들.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가들을 탄핵하다 파직당하기로 함.
1499~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홍윤(弘胤) - 이조손(李兆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냈음. 《사재집(思齋集)》에 김정국(金正國)의 기시(寄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홍윤(洪胤) - 이홍윤(李洪胤)
조선 명종(明宗)~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사복시 정(司僕寺正)을 지낸 이약빙(李若氷)의 아들로,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좌되어 유배되었던 형 이홍남(李洪男)이 반역죄로 무고하여 처형당함.
?~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홍응길(洪應吉) - 홍인우(洪仁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덕연(洪德演)의 맏아들.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심경(心經)》ㆍ《근사록(近思錄)》ㆍ《중용(中庸)》ㆍ《대학(大學)》에 전심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1515~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홍응휴(洪應休) - 홍인지(洪仁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홍덕연(洪德演)의 둘째 아들로, 1546년(명종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좌랑(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