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홍천군(洪川君) - 홀실첩목이(忽失帖木耳)
중국 원(元) 나라의 지방관. 심양로(瀋陽路)의 다루가치(達魯花赤)로,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밀직대언 겸 감찰집의(密直代言兼監察執義)를 지낸 유보발(柳甫發)의 사위.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홍천부수(洪川副守) - 이섭(李𤫙)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계후(繼後)인 강양군(江陽君) 이숙(李潚)의 손자이며, 희안수(喜安守) 이집(李輯)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홍천수(洪川守) - 이섭(李𤫙)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계후(繼後)인 강양군(江陽君) 이숙(李潚)의 손자이며, 희안수(喜安守) 이집(李輯)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홍철(洪哲) - 채홍철(蔡洪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권한공(權漢功)과 함께 원(元) 나라에 청원서를 올려 심왕(瀋王) 고(暠)를 왕으로 추대하려 함. 불교ㆍ의약ㆍ음악 등에 조예가 깊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2~134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홍충도(洪忠道)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홍충정(洪忠正) - 홍자번(洪子藩)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홍예(洪裔)의 아들로 좌복야 참지광정원사(左僕射參知光政院事) 등을 지냈으며, 충렬왕ㆍ충선왕(忠宣王) 부자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고 정의(情誼)를 회복시키는 데 진력함.
1237~130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치재(洪恥齋) - 홍인우(洪仁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덕연(洪德演)의 맏아들.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심경(心經)》ㆍ《근사록(近思錄)》ㆍ《중용(中庸)》ㆍ《대학(大學)》에 전심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1515~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홍치제(弘治帝) - 효종(孝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9대 황제. 재위 1487~1505. 헌종(憲宗)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숙비 기씨(淑妃紀氏). 전대의 폐정(弊政)을 숙정하고 명신현량(名臣賢良)을 선용하였으며, 《대명률(大明律)》을 개정하여 《문형조례(問刑條例)》를 반포하였고, 《대명회전(大明會典)》을 개편하는 등 법규를 정비하여 내정에 치적을 쌓음.
1470~150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홍치칠자(弘治七子) - 전칠자(前七子)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7명의 문인. 이몽양(李夢陽)ㆍ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ㆍ변공(邊貢)ㆍ강해(康海)ㆍ왕구사(王九思)ㆍ왕정상(王廷相) 등을 가리킴.
중국>명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홍치칠재자(弘治七才子) - 전칠자(前七子)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7명의 문인. 이몽양(李夢陽)ㆍ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ㆍ변공(邊貢)ㆍ강해(康海)ㆍ왕구사(王九思)ㆍ왕정상(王廷相) 등을 가리킴.
중국>명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홍태고(洪太古) - 홍적(洪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당양부원군(唐陽府院君) 홍인우(洪仁祐)의 아들로, 삼화 현령(三和縣令)을 지낸 홍인범(洪仁範)에게 출계함.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경학(經學)에 밝고 논사(論思)를 잘 하여 홍문관(弘文館)에서 ‘학사전재(學士全才)’라 불림.
154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태허(洪太虛) - 홍담(洪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언광(洪彦光)의 아들. 훈구파(勳舊派)의 거두로서 정철(鄭澈) 등의 사림파(士林派)와 대립하였으며, 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정려(旌閭)됨.
1509~157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홍택(弘澤) - 양홍택(梁弘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정희보(鄭希輔)의 문인(門人)으로, 남계서원(灆溪書院) 운영의 재정(財政)을 담당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홍평보(洪平甫) - 홍간(洪侃)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풍산(豐山). 지제고(知製誥) 등을 지냈으나 언사(言事)로 인해 동래 현령(東萊縣令)으로 좌천됨. 시문에 능하고 시체(詩體)가 청려하여 이제현(李齊賢)ㆍ허균(許筠) 등으로부터 칭송을 받음.
?~130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홍필(弘弼) - 김홍필(金弘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의성 현령(義城縣令)을 지낸 김영세(金英世)의 아버지.
1467~153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홍하의(洪荷衣) - 홍적(洪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당양부원군(唐陽府院君) 홍인우(洪仁祐)의 아들로, 삼화 현령(三和縣令)을 지낸 홍인범(洪仁範)에게 출계함.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경학(經學)에 밝고 논사(論思)를 잘 하여 홍문관(弘文館)에서 ‘학사전재(學士全才)’라 불림.
154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홍허백(洪虛白) - 홍귀달(洪貴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성격이 강직하여 연산군 생모인 윤비(尹妃)의 폐출을 반대하다 투옥되었고,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연산군의 명을 거역하여 경원(慶源)으로 유배 도중 교살(絞殺)됨.
143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홍헌(弘憲) - 이길보(李吉甫)@당
중국 당(唐) 나라 대종(代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재상. 아들 이덕유(李德裕)와 함께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의 당(黨)과 대립함. 저서에 《원화군현도지(元和郡縣圖志)》 등이 있음.
758~81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홍헌(洪憲) - 황홍헌(黃洪憲)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582년(선조 15) 왕경민(王敬民)과 함께 사신으로 와서 황사(皇嗣) 탄생의 조서(詔書)를 반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홍혜국사(弘慧國師) - 중긍(中亙)
고려 후기의 승려. 나이 들어서 내원당(內願堂)에서 물러나와 남원(南原)에 있는 승련사(勝蓮寺)에서 죽었는데, 졸암(拙菴) 연온(衍昷) 등이 그의 뜻을 이어 승련사를 증축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종교인>승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