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홍화문(弘化門) - 혜화문(惠化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사소문(四小門)의 하나. 숙정문(肅靖門)과 흥인지문(興人之門) 사이에 있던 동북간문(東北間門). 양주(楊州)ㆍ포천(抱川) 방면으로 통하는 중요한 출입구 구실을 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홍화중(洪和仲) - 홍춘년(洪春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예문관 대교(藝文館待敎) 홍계정(洪係貞)의 아들로, 고부 군수(古阜郡守)ㆍ봉상시 정(奉常寺正) 등을 지냄. 교서관(校書館) 별좌(別坐)로 있을 때 《두률우주(杜律虞註)》를 간행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홍흉(弘凶) - 정인홍(鄭仁弘)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산(瑞山). 조식(曺植)의 수제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광해군 때 영의정으로서 대북(大北)을 영도하여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야기시켰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참형됨.
1536~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홍흥도(洪興道) - 홍가신(洪可臣)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청난공신(淸亂功臣)에 책록됨.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에 입각하여 노장(老莊)ㆍ불교(佛敎)를 비판함.
1541~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홍희(洪熙) - 인종(仁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1525년. 성조(成祖) 영락제(永樂帝)의 장자(長子)로, 영락제의 대외적극책(對外積極策)에서 비롯된 흩어진 내치를 회복하였음.
1378~142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홍희제(洪熙帝) - 인종(仁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1525년. 성조(成祖) 영락제(永樂帝)의 장자(長子)로, 영락제의 대외적극책(對外積極策)에서 비롯된 흩어진 내치를 회복하였음.
1378~142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화(和)@고려후기 - 권화(權和)@고려후기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이며, 검교정승(檢校政丞) 권희(權僖)의 아들.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화(和) - 의안대군(義安大君)
조선 태조(太祖)의 이복동생. 태조를 도와 조선 건국에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태종(太宗) 때 외척인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처벌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림.
1348~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화(和)@조선후기 - 권화(權和)@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1711년(숙종 37) 박경여(朴慶餘)와 함께 《장릉지(莊陵誌)》를 간행.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화(和)@조선전기 - 권화(權和)@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이숙(姨叔). 《율곡전서(栗谷全書)》에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장인인 신명화(申命和)에게서 오죽헌(烏竹軒)을 물려받아 후손들에게 관리하게 함.
1518~157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화(澕) - 진화(陳澕)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양(驪陽). 추밀부사(樞密副使)를 지낸 진광현(陳光賢)의 아들로, 지공주사(知公州事)를 지냄. 시에 뛰어나 이규보(李奎報)와 함께 이름을 떨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화(華)@고려 - 이화(李華)@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응양군 대장군(鷹揚軍大將軍)을 지낸 이천(李仟)의 막내 아들로,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화(華)@조선 - 이화(李華)@조선
조선 전기의 무신. 주세붕(周世鵬)의 시에 보이는데, 관직은 미조항 첨사(彌助項僉使)를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관인>무신
-
화(譁) - 이화(李譁)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증손으로, 시안군(始安君) 이탁(李擢)의 아들.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낸 이수언(李粹彦)의 사위로, 칠성수(漆城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화(貨) - 양화(陽貨)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가신(家臣). 계평자(季平子)를 섬기다가 그가 죽은 후 권력을 장악하여 전횡하였으며, 삼환(三桓)을 제거하려다 실패한 후 제(齊) 나라를 거쳐 진(晉) 나라로 도망쳐 조둔(趙盾)에게 의지하고, 조간자(趙簡子)의 모사(謀士)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화(鏵) - 김화(金鏵)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상주(尙州). 1460년(세조 6)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상의원 판관(尙衣院判官)ㆍ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 등을 지냈음.
1433~15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무신
-
화^숭(華^嵩) - 숭^화(嵩^華)
중국 하남성(河南省) 등봉현(登封縣)에 있는 숭산(嵩山)과 섬서성(陝西省)에 있는 화산(華山)을 함께 부르는 말. 오악(五嶽)에 속하며 중앙과 서쪽에 위치함.
중국 , 지명>기타지명
-
화^작(和^鵲) - 화^편(和^扁)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명의(名醫)인 의화(醫和)와 주(周) 나라의 명의인 편작(扁鵲)을 함께 부르는 말. 뛰어난 의술을 지닌 사람을 말함.
중국>춘추전국시대ㅣ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화^편(華^扁) - 편^타(扁^佗)
중국 주(周) 나라의 명의(名醫)인 편작(扁鵲)과 후한(後漢) 말기의 명의인 화타(華佗)를 함께 부르는 말. 의술이 뛰어난 명의를 가리킴.
중국>후한ㅣ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화^훈(華^勳) - 요^순(堯^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인 요(堯)와 순(舜)을 함께 부르는 말. 태평성대를 이룬 성군(聖君)을 가리키거나 임금의 성덕(聖德)을 말함. 《서경(書經)》 〈요전(堯典)〉에 사신(史臣)이 요(堯)의 덕을 ‘방훈(放勳)’이라 하고, 〈순전(舜典)〉에 순(舜)의 덕을 ‘중화(重華)’라고 한 데서 ‘훈^화(勳^華)’로 병칭되기도 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