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화촉옹(化蜀翁) - 문옹(文翁)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의 문신. 촉군(蜀郡)의 태수(太守)가 되어 촉민(蜀民)을 교화시키고 최초로 국립 학교를 창설함.
B.C.156~B.C.10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화타(華陀) - 화타(華佗)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명의(名醫). 외과(外科)의 태두(泰斗)로, 술과 마비산(麻沸散)을 이용한 전신마취법을 창안하였으며, 다섯 동물의 동작을 본떠 ‘오금희(五禽戱)’라는 보건체조를 고안함.
145~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화평(化平)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
-
화평군(化平君) - 김광철(金光轍)@고려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1347년(충목왕 4) 밀직사 판사(密直司判事)로 있을 때 정치도감(整治都監)이 설치되자 그 판사를 겸하여 폐정개혁(弊政改革)을 주도함.
?~134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화포(花浦) - 홍익한(洪翼漢)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이정귀(李廷龜)의 문인이며,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병자호란 때 척화론(斥和論)을 폈으나 왕이 화의하자 오달제(吳達濟)ㆍ윤집(尹集)과 함께 심양(瀋陽)으로 잡혀가 죽음을 당함.
1586~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화표(華表) - 화표주(華表柱)
궁전이나 성곽, 무덤의 앞에 세우는 돌기둥으로 중국 한(漢) 나라 때 요동(遼東) 사람 정영위(丁令威)가 신선술을 배워 천 년 뒤에 학(鶴)이 되어 화표주(華表柱)에 내려와 앉았다는 데서 유래됨.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ㅣ유적>시설>기타시설
-
화표빈(華表賓) - 정영위(丁令威)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도사(道士). 요동(遼東) 사람으로 영허산(靈虛山)에서 도(道)를 닦아 신선(神仙)이 되고 천년 뒤 학(鶴)이 되어 돌아와 화표주(華表柱)에 앉았다고 함.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화헌(花軒) - 김추산(金楸山)
조선 전기의 유학. 정극인(丁克仁)의 《불우헌집(不憂軒集)》에 〈기김화헌(寄金花軒)〉이라는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화헌(華軒) - 화찰(華察)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한림원 학사(翰林院學士)ㆍ동궁 시독(東宮侍讀) 등을 지냈으며, 1539년(조선 중종 34) 명 나라의 사신으로 조선에 파견됨.
1497~157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화혜(和惠)@정현왕후 - 정현왕후(貞顯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우의정을 지낸 윤호(尹壕)의 딸이며, 중종(中宗)의 생모.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윤씨(尹氏)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
1462~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화혜(和惠) - 유하혜(柳下惠)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사사(士師)의 직책을 수행할 때 세 번이나 쫓겨나면서도 직도(直道)를 견지하였던 고사로 유명하며, ‘화성(和聖)’으로 일컬어짐.
B.C.720~B.C.6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화희태후(和熹太后) - 화희등황후(和熹鄧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제4대 황제인 화제(和帝)의 후비. 화제가 죽은 후 상제(殤帝)ㆍ안제(安帝)를 즉위시키고 실권을 잡음.
81~12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확(確) - 한확(韓確)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성종(成宗)의 외할아버지. 누이가 명(明) 나라 성조(成祖)의 여비(麗妃)가 되어 명 나라의 광록시 소경(光祿寺少卿)에 임명되고, 1455년(세조 1) 좌의정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3~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확(確)@윤확 - 윤확(尹確)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함양 군수(咸陽郡守)로 있을 때 개암(介庵) 강익(姜翼)을 도와 남계서원(蘫溪書院)을 건립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확(確)@조선후기 - 권확(權確)@조선후기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결(權潔)의 아들로, 1611년(광해군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여주 목사(驪州牧使)를 지냄.
1568~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확(確)@축확 - 축확(祝確)
중국 송(宋) 나라의 상인. 주희(朱熹)의 외조부로, 휘주성(徽州城) 상점의 반을 점거할 정도로 크게 사업을 하여 ‘축반성(祝半城)’이라 일컬어짐.
중국>송 , 중국 , 인명>기술인>상인
-
확(確)@김확 - 김확(金確)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유학 김광찬(金光纘)의 아들로, 1603년(선조 36)에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벼슬하지는 않음.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킴.
1583~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확(確)@허확 - 허확(許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허항(許沆)ㆍ허흡(許洽) 형제의 아버지로, 수원 도호부사(水原都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확(確)@조선전기 - 권확(權確)@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우(權愚)의 둘째 아들이자, 권승(權昇)의 아버지.
1502~155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확곡(穫穀)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