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해서군자(海西君子) - 김정(金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정(金淨)의 문인(門人). 중부 참봉(中部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호은정(壺隱亭)을 지어 놓고 소요함.
150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해서주(海西州)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해서주인(海西主人) - 김정(金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정(金淨)의 문인(門人). 중부 참봉(中部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호은정(壺隱亭)을 지어 놓고 소요함.
150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해서후(海西侯)@납합출 - 납합출(納哈出)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무장(武將).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동북면(東北面) 쌍성(雙城)을 침입했으나, 동북면 병마사(東北面兵馬使) 이성계(李成桂)에게 격퇴당함.
?~1388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해서후(海西侯) - 이광리(李廣利)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무신. 무제(武帝)의 총희(寵姬)인 이연(李妍)의 오빠로, 무제 때 이사장군(貳師將軍)이 되어 4년에 걸쳐 대완(大宛)을 격파하고 많은 양마(良馬)를 얻어 돌아왔으나, 그 후 흉노(匈奴)와의 전투에서 패하여 살해됨.
?~B.C.8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해선(梅仙)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해선군(海善君) - 윤승길(尹承吉)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홍언(尹弘彦)의 아들이며,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의 장인. 임진왜란 때 군량미 조달 등 많은 공을 세우고,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해선자(海禪者) - 해선(海禪)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지은 〈서허주해선자권(書虛舟海禪者卷)〉과 〈서여정해선자권(書驢井海禪者卷)〉이라는 시(詩)가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해성군(海城君) - 최황(崔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삼절당(三節堂) 최여주(崔汝舟)의 아들. 평난공신(平難功臣)ㆍ광국공신(光國功臣)에 녹훈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성부원군(海城府院君) - 최황(崔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삼절당(三節堂) 최여주(崔汝舟)의 아들. 평난공신(平難功臣)ㆍ광국공신(光國功臣)에 녹훈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해수(海壽) - 이해수(李海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건저 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종성(鐘城)으로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함.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내고, 시와 예서에 뛰어남.
1536~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해숭도위(海嵩都尉) - 윤신지(尹新之)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부마(駙馬). 본관은 해평(海平). 윤방(尹昉)의 아들로, 선조의 두 번째 서녀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혼인함.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능했음.
1582~165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왕실>인척
-
해숭위(海嵩尉) - 윤신지(尹新之)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부마(駙馬). 본관은 해평(海平). 윤방(尹昉)의 아들로, 선조의 두 번째 서녀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혼인함.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능했음.
1582~165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왕실>인척
-
해실(海室) - 산해정(山海亭)
경상도 김해(金海) 대동면(大東面)에 있는 누정(樓亭). 조선 중종(中宗) 때 조식(曺植)이 건립하여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들을 강학하던 곳.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유적>건물>누정
-
해악(海岳) - 미불(米芾)
중국 북송(北宋)의 서예가ㆍ화가. 소동파(蘇東坡)ㆍ황정견(黃庭堅) 등과 친교가 있었고, 미점법(米點法)이라는 독자적인 점묘법(點描法)을 창시함.
1051~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해악(海嶽) - 허국(許國)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1567년 목종(穆宗)이 등극하였을 때 한림 검토(翰林檢討)로서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 위시량(魏時亮)과 함께 반조(頒詔)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저서에 《조선일기(朝鮮日記)》ㆍ《문목공집(文穆公集)》 등이 있음.
1527~159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해악도인(海岳道人) - 미우인(米友仁)
중국 남송(南宋)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아버지 미불(米芾)이 대미(大米)라고 불린 데 대해 소미(小米)라고 불림. 운산(雲山) 화법을 발전시켜 ‘미법산수(米法山水)’를 정착시키고, 초서와 예서에 뛰어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해악화사(海岳畵史) - 화사(畵史)
중국 북송(北宋)의 서예가ㆍ화가인 미불(米芾)이 지은 화론서. 1권. 진(晉)ㆍ육조(六朝)ㆍ수(隋)ㆍ당(唐)ㆍ오대(五代)ㆍ북송(北宋) 등의 명화에 대해 우열과 진위를 평하고, 잘못된 점을 교정함. 《서사(書史)》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서론서(書論書)로 유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해애루(解愛婁) - 모본왕(慕本王)
고구려 제5대 왕. 재위 48~53. 제3대 대무신왕(大武神王)의 아들로 49년에 한(漢) 나라를 공격하였다가 화친을 맺었으며, 성품이 사납고 정사를 돌보지 않아 백성들의 원망을 듣고 있던 가운데 신하 두로(杜魯)에게 피살됨.
?~53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해양(海陽)@남해 - 남해(南海)
경상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여러 개의 도서(島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시대의 유배지 가운데 하나로, 많은 인물들의 자취가 남아 있음.
경상도>남해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