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행촌(杏村) - 민순(閔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驪興). 신광한(申光漢)ㆍ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향리에서 후진 교육에 힘씀.
151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행호거사(杏湖居士) - 이만성(李晩成)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학문과 정치에 밝았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영암(靈巖)의 죽정서원(竹亭書院)에 제향됨.
1659~172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문신
-
향(向) - 윤향(尹向)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문하 평리(門下評理) 윤승순(尹承順)의 아들이며, 윤계동(尹季童)의 아버지.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의 옥사에 관련된 윤목(尹穆)의 죄를 고발하고,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 당시의 공신녹권(功臣錄券) 개정을 상소했다가 파직됨.
1374~141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향(珦)@이향 - 문효세자(文孝世子)
조선 제22대 정조(正祖)의 첫째 아들. 어머니는 의빈성씨(宜嬪成氏). 세 살 때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나 다섯 살의 나이로 요절함.
1782~178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향(珦) - 안향(安珦)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학자. 원(元) 나라에서 주자서(朱子書)를 베껴오고 섬학전(贍學錢)을 설치하는 등 성리학(性理學)의 도입과 보급에 힘씀.
1243~130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향계(香溪) - 범준(范浚)
중국 송(宋) 고종(高宗) 때의 유학자. 《맹자(孟子)》의 주(注)에 그의 유명한 저작인 〈심잠(心箴)〉이 실려 있음.
1102~115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향계선생(香溪先生) - 범준(范浚)
중국 송(宋) 고종(高宗) 때의 유학자. 《맹자(孟子)》의 주(注)에 그의 유명한 저작인 〈심잠(心箴)〉이 실려 있음.
1102~115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향담(香覃) - 표고(蔈古)
느타리버섯과의 버섯으로, 봄ㆍ여름ㆍ가을에 걸쳐 활엽수에 기생함. 독열(毒熱)을 제거하고 체내(體內)의 열을 식히는 작용을 함.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의 〈도문대작(屠門大嚼)〉에는 제주에서 나는 것이 좋다고 했음.
자연물>식물
-
향사(鄕射)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향사(香社) - 향산사(香山社)
중국 당(唐) 나라 때 백거이(白居易)가 향산(香山)의 승려 여만(如滿) 등과 맺은 향화(香火)의 결사(結社). 뜻이 맞는 일을 평생 함께 하기로 맹약(盟約)함을 비유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향사례(鄕射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향산(響山) - 이만도(李晩燾)
조선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ㆍ독립운동가. 을미사변(乙未事變) 때 예안(禮安)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하였으나, 조선이 일제(日帝)에 의해 병탄(倂呑)되자 단식(斷食)하던 중 순국함.
1842~1910 한국>근대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향산(香山) - 묘향산(妙香山)
평안도 향산(香山)ㆍ영변(寧邊)ㆍ희천(熙川) 등에 걸쳐 있는 산 이름. 5대 명산의 하나로 상고시대에 환웅(桓雄)이 내려와 신시(神市)를 세웠다는 설이 있음.
평안도>희천ㅣ평안도>영변 , 지명>자연지명
-
향산거사(香山居士) - 백거이(白居易)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일생 동안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 그중 〈장한가(長恨歌)〉와 〈비파행(琵琶行)〉이 유명함. 만년에는 시와 술과 거문고를 벗삼아 유유자적하며 불교(佛敎)에 심취함.
772~84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향산로(香山老) - 권문해(權文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천(醴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하고,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을 저술함.
1534~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향선(享仙) - 이출(李秫)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1535년(중종 30)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향설당(香雪堂) - 한경기(韓景琦)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시인. 한명회(韓明澮)의 손자로, 음보(蔭補)로 돈녕부 정(敦寧府正)을 지냈으나 조부의 행적을 부끄러워하여 요직을 피함. 남효온(南孝溫)ㆍ홍유손(洪裕孫) 등과 교유하고, 시명(詩名)이 높았음.
1472~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향성(香城) - 오향성(五香城)
강원도 회양(淮陽)에 있는 마하연(摩訶衍) 주변 지역을 부르는 말. 마하연은 절 이름인데, 이 주위에 향나무가 빙 둘러져 있어 이곳을 오향성(五香城)이라 부름.
강원도>회양 , 지명>자연지명
-
향심(香蕈) - 표고(蔈古)
느타리버섯과의 버섯으로, 봄ㆍ여름ㆍ가을에 걸쳐 활엽수에 기생함. 독열(毒熱)을 제거하고 체내(體內)의 열을 식히는 작용을 함.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의 〈도문대작(屠門大嚼)〉에는 제주에서 나는 것이 좋다고 했음.
자연물>식물
-
향약재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조선 세종(世宗) 때 간행된 향약(鄕藥)과 한방(韓方)에 관한 책. 85권 30책. 활자본. 1433년(세종 15)에 권채(權採)ㆍ유효통(兪孝通) 등이 재래의 여러 의서를 참고하여 편찬ㆍ간행하였으며, 1488년(성종 19) 서거정(徐居正)ㆍ허종(許琮) 등에 의해 일부가 국역됨.
143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