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훈(壎) - 이훈(李壎)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의성부정(義城副正) 이강(李鋼)의 아들.
1571~16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훈(纁) - 설훈(薛纁)
조선 전기 유학. 본관은 순창(淳昌). 참판(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문사>유학
-
훈(薰)@박훈 - 박훈(朴薰)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박증영(朴增榮)의 아들이며 참판(參判) 이언명(李彦明)의 장인으로,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에 올라 ‘국기(國器)’라는 명성을 들음.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으로, 청주(淸州) 신항서원(莘巷書院)에 배향됨.
1484~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훈(薰) - 김훈(金薰)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영유(金永濡)의 아들이자 김세필(金世弼)의 아버지.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 등을 지냄.
1437~15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훈(薰)@이사청의아버지 - 이훈(李薰)@이사청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양성(陽城).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쓴 묘갈명(墓碣銘)이 《퇴계집(退溪集)》에 실려 있음.
1483~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무신
-
훈(薰)@임훈 - 임훈(林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지내고, 1582년(선조 15)에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낙향함.
1500~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훈(薰)@이친의아들 - 이훈(李薰)@이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아들로, 고림군(高林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훈(薰)@허훈 - 허훈(許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의영고 영(義盈庫令)을 지낸 허원(許瑗)의 아버지로, 합천 군수(陜川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훈(訓) - 김훈(金訓)
조선 전기의 문인. 박흥생(朴興生)ㆍ박연(朴堧)ㆍ서호(徐皥) 등과 교유하였으며, 박흥생의 《국당유고(菊堂遺稿)》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문인
-
훈^화(勳^華) - 요^순(堯^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인 요(堯)와 순(舜)을 함께 부르는 말. 태평성대를 이룬 성군(聖君)을 가리키거나 임금의 성덕(聖德)을 말함. 《서경(書經)》 〈요전(堯典)〉에 사신(史臣)이 요(堯)의 덕을 ‘방훈(放勳)’이라 하고, 〈순전(舜典)〉에 순(舜)의 덕을 ‘중화(重華)’라고 한 데서 ‘훈^화(勳^華)’로 병칭되기도 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훈곡(薰曲) - 남풍가(南風歌)
중국 고대에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악가(樂歌). 순 임금이 천자가 되어 남쪽 지방을 순행(巡幸)할 때 오현금(五絃琴)으로 연주하였다는 노래로, 남방 백성들의 생활상을 반영한 최초의 시(詩)임.
고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훈남(勳男) - 변훈남(卞勳男)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여러 관직을 거처 현령(縣令)을 지냈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훈민정음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 - 훈민정음(訓民正音)
조선 세종(世宗) 때 창제된 훈민정음(訓民正音)에 관한 한문 해설서. 33장 1책. 목판본. 국자(國字)인 훈민정음을 반포함에 있어서 정인지(鄭麟趾) 등의 집현전(集賢殿) 학자들이 세종의 명을 받아 간행함.
144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훈서(勳西) - 공서(功西)
조선 인조(仁祖) 때 서인(西人)에서 갈린 당파.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정권을 잡은 서인 중 반정에 소극적이었던 김상헌(金尙憲) 중심의 일파를 청서(淸西)라 하고, 인조반정에 가담한 김류(金瑬)ㆍ이귀(李貴)ㆍ김자점(金自點)ㆍ신경진(申景禛) 등을 공서라 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조직
-
훈지(勳之) - 박세훈(朴世勳)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군자감 부정(軍資監副正) 박사화(朴士華)의 아들로, ‘주동효아(鑄洞孝兒)’로 불림. 조광조(趙光祖) 등이 별과(別科)에 천거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낙향함.
1488~15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훈지(壎之) - 금응훈(琴應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영춘 현감(永春縣監)ㆍ양천 현감(陽川縣監) 등을 역임하고 《퇴계집(退溪集)》 간행실무자로 참여함.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훈풍가(薰風歌) - 남풍가(南風歌)
중국 고대에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악가(樂歌). 순 임금이 천자가 되어 남쪽 지방을 순행(巡幸)할 때 오현금(五絃琴)으로 연주하였다는 노래로, 남방 백성들의 생활상을 반영한 최초의 시(詩)임.
고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훈화초(薰華草)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훤(晅) - 김훤(金晅)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별초(三別抄)의 잔적(殘賊)을 격퇴하고,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였음.
1234~130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훤(暄) - 윤훤(尹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넷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정묘호란 때 부체찰사(副體察使)로 적과 싸우다 안주(安州)와 평양(平壤) 일대를 빼앗긴 죄로 체포되어 강화도(江華島)에서 효수됨.
1573~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