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형선(亨仙) - 이출(李秫)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1535년(중종 30)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형선(衡善) - 조정기(趙廷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사섬시 정(司贍寺正)을 지낸 조종경(趙宗敬)의 아들이자 평택 현감(平澤縣監) 조수륜(趙守倫)의 아버지. 학문이 뛰어나 오랫동안 선조의 시강(侍講)을 맡았으며, 장령(掌令)을 지냄.
1535~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형설(螢雪) - 형설지공(螢雪之功)
반딧불과 눈빛으로 글을 읽어가며 고생 속에서 공부하는 것을 말함.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손강(孫康)은 가난하여 눈빛으로 글을 읽어 어사대부(御史大夫)에 오르고, 차윤(車胤)은 반딧불을 주머니에 넣어 그 불빛으로 글을 읽어 이부상서(吏部尙書)가 된 데서 유래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형손(亨孫) - 최형손(崔亨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최유공(崔有恭)의 아들이며 계림군(鷄林君) 최한홍(崔漢洪)의 아버지로, 장흥 부사(長興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형수(亨叟) - 유윤겸(柳允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25권을 완성하여 강희안(姜希顔)의 필체인 을해자(乙亥字)로 간행하고, 서거정(徐居正)ㆍ노사신(盧思愼) 등과 함께 《연주시격(聯珠詩格)》과 《황산곡시집(黃山谷詩集)》을 번역함.
142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형수(亨洙) - 민형수(閔亨洙)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의정(左議政) 민진원(閔鎭遠)의 아들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에 어긋난 언행을 함으로써 정미환국(丁未換局) 이후 실각한 아버지의 신원(伸寃)을 위하여 이광좌(李光佐)를 소척하려 함.
1690~174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형수(亨秀) - 임형수(林亨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호당(湖堂)에 있을 때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이 일어나자 대윤(大尹) 일파로 몰려 사사(賜死)됨.
1504~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형숙(亨叔) - 권응시(權應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공조 좌랑(工曹佐郞)ㆍ호조 좌랑(戶曹佐郞)을 거쳐, 군위 현감(軍威縣監)ㆍ양구 현감(楊口縣監) 등을 지냄.
1541~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형숙(泂叔) - 조징(趙澄)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1566년(명종 21) 중시(重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지내고, 1574년(선조 7)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해주(海州)에서 병사함.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형숙(衡叔) - 장형숙(張衡叔)
고려 후기의 문신. 전녹생(田祿生)이 서북면 도순문사(西北面都巡問使)가 되었을 때 막부(幕府)에서 활동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형식(亨植) - 유형식(柳亨植)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혜적(柳惠迪)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형신(亨臣) - 이형신(李亨臣)
조선 전기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경주(慶州). 중종(中宗)의 후궁인 숙의이씨(淑儀李氏)의 아버지로,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형실(荊室) - 형처(荊妻)
자기 아내를 낮추어 부르는 말. 후한(後漢)의 양홍(梁鴻)의 아내인 맹광(孟光)이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으로 만든 치마를 입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함.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형악(衡岳)@형산 - 형산(衡山)
중국 호남성(湖南省) 형양(衡陽) 북쪽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 위치상 남악(南岳)에 해당하며, 높이는 1,265m.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형악(衡岳)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형암(炯庵)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형암(炯菴) - 한윤명(韓胤明)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일재(一齋) 이항(李恒)과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이(李珥)ㆍ박광전(朴光前)과 교유하고, 선조(宣祖)가 세자로 있을 때 사부(師傅)를 지냄.
1526~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형암(炯菴)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형양(滎陽) - 여희철(呂希哲)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ㆍ문신. 호원(胡瑗)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 등에게서 학문을 배움. 사람됨이 대범하고 신중하여 만년(晩年)에 명성을 더욱 날림.
1039~111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형언(亨彦)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