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형지(亨之)@조언형 - 조언형(曺彦亨)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영(曺永)의 아들이며,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아버지.
1469~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형지(泂之) - 박형(朴泂)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노수신(盧守愼)ㆍ허엽(許葉) 등과 교유함. 천거로 동몽 교관(童蒙敎官)이 되었고, 군직에 올라 종신록(終身祿)을 받음.
?~160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학자
-
형지(衡之) - 윤우형(尹友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칠원(漆原)으로, 1507년(중종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김안국(金安國)이 그의 쾌혜정(快兮亭)을 소재로 쓴 시가 《모재집(慕齋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형지(衡之)@윤형지 - 윤형지(尹衡之)
조선 전기의 유학. 신광한(申光漢)이 보낸 시가 《기재집(企齋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형지(詗之) - 강형(姜詗)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낸 강자평(姜子平)의 아들. 1504년(연산군 10)에 대사간(大司諫)이 되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인해 처형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형지(馨之)@박훈 - 박훈(朴薰)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박증영(朴增榮)의 아들이며 참판(參判) 이언명(李彦明)의 장인으로,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에 올라 ‘국기(國器)’라는 명성을 들음.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으로, 청주(淸州) 신항서원(莘巷書院)에 배향됨.
1484~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형지(馨之) - 이의무(李宜茂)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편찬에 참여하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홍주 목사(洪州牧使)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능하고 청빈하다는 평을 들음.
1449~150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형천(亨天) - 함유일(咸有一)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항양(恒陽)으로,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인 함순(咸淳)의 아버지. 1135년(인종 13) 묘청(妙淸)의 난에 공이 있어 서경유수 녹사(西京留守錄事)가 되고, 병부 낭중(兵部郞中)ㆍ공부 상서(工部尙書) 등을 지냄.
1106~118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근 , 인명>관인>문신
-
형칠(邢七) - 형서(邢恕)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원래 정호(程顥)의 제자였으나, 성질이 변덕스러워 스승을 배반하고 사마광(司馬光)에게 갔다가 다시 장돈(章惇)에게 빌붙었으며, 다시 장돈을 배반하고 결국 채경(蔡京)의 심복이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형필(亨弼) - 노형필(盧亨弼)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노척(盧脊)의 아들.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을 규합함. 학행(學行)으로 효릉 참봉(孝陵參奉)ㆍ사부(師傅)에 제수되었지만 사양하고, 운제(雲堤)에서 한적한 생활을 즐김.
1605~164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형하(亨夏) - 신형하(申亨夏)
조선 후기의 유학. 숙함(叔咸) 송덕상(宋德相)의 문인으로, 역적으로 몰린 송덕상을 신원하기 위해 글을 지었다가 발각되어 귀양감.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형한(亨漢) - 최형한(崔亨漢)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암(靈巖). 김일손(金馹孫)ㆍ성현(成俔) 등과 교유하고, 영암 군수(靈巖郡守)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궁궐 앞에서 대죄(待罪)하다가 아사(餓死)함.
?~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형호(荊湖)@충청도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형호(荊湖) - 동정호(洞庭湖)
중국 호남성(湖南省) 북부에 있는 가장 큰 민물 호수. 양자강(揚子江)의 흐름을 조절하는 구실을 하며, 예로부터 명승지(名勝地)로 유명하여 많은 시인들의 소재로 쓰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형혹(熒惑) - 화성(火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남방(南方)을 상징하는 별. 나타나고 사라지는 것이 일정하지 않아 사람을 미혹시킨다고 해서 ‘형혹(熒惑)’이라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형화(荊和) - 변화(卞和)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사람. 형산(荊山)에서 박옥(璞玉)을 얻어 왕에게 바쳤으나 속였다는 이유로 두 발이 잘리고 나중에야 보옥(寶玉)임을 인정받았던 화씨벽(和氏璧)의 고사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양인
-
형화숙(邢和叔) - 형서(邢恕)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원래 정호(程顥)의 제자였으나, 성질이 변덕스러워 스승을 배반하고 사마광(司馬光)에게 갔다가 다시 장돈(章惇)에게 빌붙었으며, 다시 장돈을 배반하고 결국 채경(蔡京)의 심복이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혜(寭) - 이혜(李寭)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온계(溫溪) 이해(李瀣)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조카로 일찍 부모님을 여의고 퇴계(退溪)에게서 교육을 받아 음보로 좌랑(佐郞)을 지냄.
1543~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혜(惠)@한혜 - 한혜(韓惠)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한상경(韓尙敬)의 아들로, 1417년(태종 17) 식년시(式年試)에 등과하여 함경 감사(咸鏡監司)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혜(惠)@이혜 - 이혜(李惠)
고려 말~조선 초의 문인. 몸집이 작고 이가 성글어 스스로 호(號)를 단활공(短豁公)이라 하였고 변계량(卞季良)과 시문으로 교유하였으며, 저서로는《단활집(短豁集)》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