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박천귀(朴天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흥거(朴興居)ㆍ박흥생(朴興生) 형제의 아버지로,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을 지냄.
?~142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박천상(朴天祥)
고려 공민왕(恭愍王)~창왕(昌王) 때의 무신.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를 역임하였으며, 이숭인(李崇仁)ㆍ하륜(河崙) 등과 함께 영흥군(永興君) 환(環)의 진위(眞僞) 문제를 변론하다가 무고 혐의로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박천우(朴天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박창도(朴昌道)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박철남(朴哲男)
조선 선조(宣祖) 때 무신ㆍ의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청도(淸道)에서 아버지 박경신(朴慶新)과 형 박지남(朴智男)과 함께 의병으로 활약하여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65~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무신
-
박첨(朴瞻)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문하시중(門下侍中)ㆍ우문관 대제학(右文館大提學)ㆍ춘추관사(春秋館事)ㆍ영경연사(領經筵事) 등을 역임(歷任)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초(朴礎)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공양왕(恭讓王) 때 불교배척 상소문으로 사형을 받게 되었으나 정몽주(鄭夢周)의 변호로 사면됨. 1433년(세종 15)에 야인(野人)의 침입에 대한 책임으로 고신(告身)을 빼앗김.
1367~145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박총(朴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효행으로 천거되어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춘호(朴春豪)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의병ㆍ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손자. 박근제(朴根悌)의 아들로, 병자호란 때 창의(倡義)하여 의병을 모집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박충간(朴忠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박세훈(朴世勳)의 아들. 재령 군수(載寧郡守)로 있을 때 한준(韓準)ㆍ이축(李軸)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오르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충원(朴忠元)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성절사(聖節使)의 부사(副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대제학(大提學)과 예조(禮曹)ㆍ병조(兵曹)의 판서를 지냄.
1507~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충좌(朴忠佐)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우탁(禹倬)에게 주자학을 배웠으며, 판전민도감사(判田民都監事)ㆍ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함.
1287~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치(朴䎩)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금천군(錦川君) 박강(朴薑)의 아들이자 원종공신(原從功臣) 박기(朴基)의 아버지로, 군기시 정(軍器寺正) 등을 지냄.
1440~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박치(朴緇)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춘천(春川). 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인 이식(李埴)의 장인으로, 별시위 사정(別侍衛司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무신
-
박태무(朴泰茂)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태안(泰安). 박창윤(朴昌潤)의 아들로, 하정(河瀞)의 문인.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군량을 지원하고 가정(家丁)을 동원하여 창의(倡義)에 힘씀. 남명(南冥) 학문의 계승과 선양에 공헌함.
1677~17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박태보(朴泰輔)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박세당(朴世堂)의 아들로, 박세후(朴世垕)에게 출계함. 1677년(숙종 3)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천 현감(伊川縣監)ㆍ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지냈으나, 1689년(숙종 15)에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하다 유배를 가던 중에 죽음.
1654~168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박태후(薄太后)
중국 전한(前漢) 때 고조(高祖)의 계비(繼妃). 문제(文帝)의 어머니.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박팽년(朴彭年)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세조가 단종(端宗)을 내쫓고 왕위를 빼앗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처형됨.
1417~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박포(朴苞)
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1차 왕자의 난에 대한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이방간(李芳幹)을 충동하여 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가 처형됨.
?~140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박필녕(朴弼寧)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박주종(朴周鍾)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박하담(朴河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학행(學行)으로 장례원 사평(掌隸院司評) 등에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청도(淸道)의 운문산(雲門山) 아래에 소요당(逍遙堂)을 짓고 여생을 보냈으며, 김대유(金大有)와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음.
1479~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