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회암(晦庵) - 안향(安珦)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학자. 원(元) 나라에서 주자서(朱子書)를 베껴오고 섬학전(贍學錢)을 설치하는 등 성리학(性理學)의 도입과 보급에 힘씀.
1243~130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회암(晦菴)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회암대전(晦菴大全) - 주자대전(朱子大全)
중국 송(宋) 나라의 성리학자인 주희(朱熹)의 문집. 목판본. 본편 100권, 별집 11권, 속집 10권. 주희의 모든 학설과 학자들의 질의(質疑)에 대해 회답한 편지, 시(詩)ㆍ기(記)ㆍ명(銘)ㆍ비문(碑文)ㆍ묘지(墓誌) 등을 엮음.
116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회암부자(晦菴夫子)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회암서절목(晦菴書節目) -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주희(朱熹)의 《주자대전(朱子大全)》에 실린 서간문(書簡文) 가운데 정수(精髓)만을 모아 편집한 선집(選集). 1561년(명종 16) 황준량(黃俊良)이 성주(星州)에서 초간(初刊)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간행됨.
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회암서절요(晦菴書節要) -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주희(朱熹)의 《주자대전(朱子大全)》에 실린 서간문(書簡文) 가운데 정수(精髓)만을 모아 편집한 선집(選集). 1561년(명종 16) 황준량(黃俊良)이 성주(星州)에서 초간(初刊)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간행됨.
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회암선생주문공문집(晦庵先生朱文公文集) - 주자대전(朱子大全)
중국 송(宋) 나라의 성리학자인 주희(朱熹)의 문집. 목판본. 본편 100권, 별집 11권, 속집 10권. 주희의 모든 학설과 학자들의 질의(質疑)에 대해 회답한 편지, 시(詩)ㆍ기(記)ㆍ명(銘)ㆍ비문(碑文)ㆍ묘지(墓誌) 등을 엮음.
116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회암어록(晦菴語錄) - 주자어록(朱子語錄)
중국 송(南)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도전(李道傳)이 주희(朱熹)와 문답한 문하생 33명의 대화 기록을 모아 엮은 책. 45권. 1215년에 지주(池州)에서 간행하였으며, 황간(黃榦)이 서문(序文)을 씀.
121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회암장자(晦庵長子) - 주숙(朱塾)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 주희(朱熹)의 아들로, 여조겸(呂祖謙)에게 학문을 배웠는데 일찍 죽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회암집(晦菴集) - 주자대전(朱子大全)
중국 송(宋) 나라의 성리학자인 주희(朱熹)의 문집. 목판본. 본편 100권, 별집 11권, 속집 10권. 주희의 모든 학설과 학자들의 질의(質疑)에 대해 회답한 편지, 시(詩)ㆍ기(記)ㆍ명(銘)ㆍ비문(碑文)ㆍ묘지(墓誌) 등을 엮음.
116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회양수(淮陽守) - 이선손(李善孫)
조선 전기의 종친. 예조 참판(禮曺參判) 권주(權柱)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회양왕(淮陽王)@유여 - 유여(劉餘)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의 다섯째 아들. 경제 때 노공왕(魯恭王)에 봉해졌으며, 궁실(宮室) 치장을 좋아하여 확장 공사를 위해 공자(孔子)의 구택(舊宅)을 헐다가 벽 속에서 《상서(尙書)》ㆍ《논어(論語)》등의 고본(古本)을 발견함.
?~B.C.12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회양왕(淮陽王) - 경시제(更始帝)
중국 후한(後漢)의 황제. 재위 23~25. 광무제(光武帝)의 족형(族兄). 평림병중(平林兵中)에 있으면서 경시 장군(更始將軍)이라 불렸으며, 그 후 추대되어 황제(皇帝)의 자리에 올랐으나 군중의 여망(輿望)을 잃고 적미군(赤眉軍)에게 살해됨.
?~2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회연(晦然) - 일연(一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고종 때 설악산 진전사(陳田寺)로 출가하여 구산문 사선(九山門四選)의 으뜸되어 지눌(知訥)의 법을 계승하고, 충렬왕 때 국존(國尊)으로 책봉됨. 제자로 혼구(混丘)ㆍ죽허(竹虛)가 있고, 대표적 저서로 《삼국유사(三國遺事)》가 유명함.
1206~128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회영(懷英)@곽회영 - 곽회영(郭懷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곽열(郭說)의 아버지로, 봉사시 정(奉常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회영(懷英) - 적인걸(狄仁傑)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이씨(李氏)를 제거하고 무씨(武氏)의 종묘(宗廟)를 세우자 중종(中宗)을 받들어 당실(唐室)을 회복함.
607~70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회옹(回翁)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회옹(晦翁)@주희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회옹(晦翁)@이소 - 이소(李昭)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 이수철(李守哲)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 토벌에 참여하였고, 건주위(建州衛)를 공격하였으며, 동여진(東女眞)을 정벌함. 전라우도 수군절도사(全羅右道水軍節度使)를 지냄.
1441~149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회옹(晦翁)@이언적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