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희단(希端) - 여희단(呂希端)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성산(星山). 1519년(중종 14) 동생 여희림(呂希臨)과 함께 현량과(賢良科)에 천거되었으나 응시하지 않아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희담(希聃) - 유희담(柳希聃)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송만(松巒) 윤현(尹晛)의 사위로, 1590년(선조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희도(僖悼) - 후령군(厚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일곱 번째 서자(庶子). 덕숙옹주(德淑翁主)의 소생으로, 단종(端宗)이 세조(世祖)에게 선위할 때 신병(身病)을 이유로 일부러 참여하지 않았으며, 몇 달 후 스스로 목숨을 끊음.
1404~145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희도(姬度) - 채숙(蔡叔)
중국 주(周) 나라의 제후. 문왕(文王)의 다섯째 아들로, 무왕(武王) 때 채(蔡) 땅에 봉해짐. 성왕(成王) 즉위 후 주공(周公)에 대하여 불만을 품고 관숙(管叔)ㆍ무경(武庚) 등과 함께 난을 일으켰다가 실패한 후 유배지에서 죽음.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희도(希道) - 금앙성(琴仰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봉화(奉化)로, 금원정(琴元貞)의 손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희동(姬同) - 장공(莊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693~B.C.662. 노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장공의 이복 동생인 경보(慶父)와 숙아(叔牙)가 제후의 자리를 탐하자, 장공의 동복인 계우(季友)가 숙아를 독살하고 장공의 아들 반(般)을 태자로 세움.
B.C.706~B.C.66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희동(禧童) - 성희동(成禧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성중엄(成重淹)의 아들로, 통덕랑(通德郞)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희득(希得) - 이희득(李希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하동부령(河東副令) 이유(李裕)의 아들이자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낸 이희검(李希儉)의 동생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낸 뒤 은퇴하여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
1525~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등(姬縢)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희등(希登) - 정희등(鄭希登)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종부시 첨정(宗簿寺僉正) 정구(鄭球)의 아들이며, 승지 정원(鄭源)의 조카. 사위로 삼으려는 김안로(金安老)의 청을 거절하여 사복시 첨정(司僕寺僉正) 등의 한직(閑職)에 있었고, 을사사화(乙巳士禍)를 반대하다 유배 됨.
1506~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희락당(希樂堂) - 김안로(金安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도모하다 사사(賜死)되었으며, 허항(許沆)ㆍ채무택(蔡無擇)과 함께 정유상흉(丁酉三凶)으로 일컬어짐.
1481~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ㅣ경기도>교하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락당문고(希樂堂文稿) - 희락당고(希樂堂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김안로(金安老)의 시문집. 8권 6책. 필사본. 저자가 정유삼흉(丁酉三兇)의 한 사람으로 지목되어 문집이 간행되지 못하고 필사본으로 전해짐.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희락자(希樂子) - 김안로(金安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도모하다 사사(賜死)되었으며, 허항(許沆)ㆍ채무택(蔡無擇)과 함께 정유상흉(丁酉三凶)으로 일컬어짐.
1481~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ㅣ경기도>교하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랑(姬閬) - 혜왕(惠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제17대 왕. 재위 B.C.677~B.C.652. 장왕(莊王)의 아들이자 양왕(襄王)의 아버지. 즉위 후 오대부(五大夫)가 난을 일으키자 도망쳤다가 정(鄭) 여공(厲公) 등의 도움을 받아 ‘자퇴(子頹)의 난(亂)’을 평정하고 복귀함.
?~B.C.652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희량(希亮)@유희량 - 유희량(柳希亮)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이며, 광해군의 처남. 사복시 정(司僕寺正)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5~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량(希亮) - 노공필(盧公弼)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노사신(盧思愼)의 장남. 명(明) 나라에서 중종의 승습(承襲)을 승인 받아 귀국함.
1445~151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희량(希樑) - 이희량(李希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 음보(蔭補)로 언양(彦陽)ㆍ봉화(奉化)의 현감(縣監)을 역임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희량(希良) - 이희량(李希良)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낸 이희검(李希儉)의 형으로, 전적(典籍) 등을 지냄.
1511~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희량(希良)@정희량 - 정희량(鄭希良)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부사(府使) 정연경(鄭延慶)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 승문원(承文院)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 등을 지내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됨.
146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희량(希良)@박희량 - 박희량(朴希良)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된 후 명승지를 유람할 때, 서자적(徐自適)ㆍ박원량(朴元良)ㆍ최광한(崔光瀚)ㆍ공상린(孔祥麟)ㆍ신희눌(愼希訥)ㆍ박감(朴敢) 등과 함께 종유(從遊)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