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배학(裵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식(金湜)에게 수학하였으며,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영릉 참봉(英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학문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배한휘(裵澣輝)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배수장(裵粹章)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배현경(裵玄慶)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경주배씨(慶州裵氏)의 시조. 홍유(洪儒)ㆍ신숭겸(申崇謙)ㆍ복지겸(卜智謙)ㆍ유금필(庾黔弼) 등과 함께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추대하여 고려를 세웠으며, 후삼국 통일에 공을 세움.
?~9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백^수(伯^垂)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신하인 백여(伯與)와 수(垂)를 함께 부르는 말.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백간미(白簡美)
고려 성종(成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무신. 육조(六朝)에 걸쳐 벼슬을 지내고 영해(寧海)로 낙향하였으며, 문종이 여러 차례 불렀으나 응하지 않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백강집(白江集)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이경여(李敬輿)의 시문집. 15권 7책. 목판본. 아들 이민서(李敏叙)가 정리ㆍ편찬하여 1684년(숙종 10) 손자 이사명(李師命)과 함께 간행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의 서문이 실려 있음.
168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백거이(白居易)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일생 동안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 그중 〈장한가(長恨歌)〉와 〈비파행(琵琶行)〉이 유명함. 만년에는 시와 술과 거문고를 벗삼아 유유자적하며 불교(佛敎)에 심취함.
772~84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백곡집(栢谷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곤수(鄭崐壽)의 문집. 4권 4책. 목판본. 현손 정건(鄭鍵)과 외현손 심정희(沈廷熙)가 편차하여 예조 판서(禮曹判書) 김우항(金宇杭)ㆍ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홍만조(洪萬朝)의 도움으로 간행함.
171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백광신(白光臣)
고려 신종(神宗)~희종(熙宗) 때의 문신. 1200년(신종 3) 동지공거(同知貢擧)로 과거를 주관하고, 판비서성사(判秘書省事) 등을 지냄. 최당(崔讜)과 함께 기로회(耆老會)의 일원으로, 지상선(地上仙)으로 불림.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백광홍(白光弘)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로,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 평안도 평사(平安道評事)로 있을 때 가사(歌辭) 〈관서별곡(關西別曲)〉을 지었으며, 김인후(金麟厚)ㆍ이이(李珥)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22~15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백광훈(白光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해미(海美). 박순(朴淳)ㆍ양응정(梁應鼎)ㆍ노수신(盧守愼)에게서 수학함. 당시(唐詩)의 시풍(詩風)을 주장하여 최경창(崔慶昌)ㆍ이달(李達)과 함께 삼당시인(三唐詩人)이라 불리고, 이산해(李山海)ㆍ최립(崔笠) 등과 더불어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7~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
-
백구촌(白鷗村)
강원도 평해(平海)에 있는 마을 이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산해(李山海)가 유배(流配) 가서 머무름.
강원도>평해 , 지명>행정지명
-
백금(伯禽)
중국 주(周) 나라 무왕(武王) 때의 공자(公子). 주공(周公) 단(旦)의 아들로 노(魯) 나라에 봉해졌으며, 서융(徐戎)을 정벌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백기(白起)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秦) 나라의 명장. 한(韓)ㆍ월(越) 연합군을 격파하는 등 여러 차례 전공을 세웠으며, 조(趙) 나라 조괄(趙括)의 군사를 대파하고 항졸(降卒) 40여만 명을 생매장함.
?~B.C.25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백담사(百潭寺)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 때 자장(慈藏)이 강원도(江原道) 인제(麟蹄) 설악산에 창건한 사찰. 처음 이름은 한계사(寒溪寺)였으나, 소실(燒失)과 중건(重建)의 반복으로 이름과 위치가 여러 번 바뀜. 1455년(세조 1)에 승려 재익(載益) 등이 옛 한계사 터의 윗쪽 20리 지점에 중건하고 백담사라고 개칭함.
647 한국>신라 , 강원도>인제 , 유적>건물>사찰
-
백담집(栢潭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구봉령(具鳳齡)의 시문집. 10권 4책. 목판본. 손주 사위인 이준(李埈)이 편차를 세우고, 1670년(현종 11) 후학 김계광(金啓光)이 풍기 군수(豊基郡守)로 있을 때 홍여하(洪汝河)의 서문을 받아 연보(年譜)와 함께 간행함.
167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문헌>서명
-
백당(白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백인국(白仁國)의 아버지로, 예빈시 참봉(禮賓寺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백두산(白頭山)
함경도와 중국 길림성(吉林省)에 걸쳐 있는 산.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聖山)으로 숭배함.
함경도>경성ㅣ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
-
백락(伯樂)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 때의 인물. 방구인(方九堙)의 추천으로 목공(穆公)의 말을 관리하였으며, 천리마(千里馬) 감정의 달인으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백락일고(伯樂一顧)
명마(名馬)도 백락(伯樂)을 만나야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말(馬)을 잘 알아보는 백락의 고사에서 유래함. 재능 있는 사람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야 빛을 발한다는 뜻으로, 밝은 임금과 어진 신하가 만난 것을 비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