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백련사(白蓮寺)
통일신라 흥덕왕(興王德) 때 국사(國師) 무염(無染)이 전라도 무주(茂朱) 덕유산 안에 창건한 사찰. 1820년(순조 2)에 혜언(慧彦)이 백련사에서 화엄회(華嚴會)를 개설하고, 1900년(광무 4) 무주 부사(茂朱府使) 이하섭(李夏燮)이 가람을 중수함.
830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무주 , 유적>건물>사찰
-
백련사(白蓮社)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혜원(慧遠)이 여러 승도(僧徒) 및 명유(名儒)들과 함께 여산(廬山)의 동림사(東林寺)에서 정토왕생을 위한 염불수행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한 신행결사(信行結社). 동림사 안에 백련(白蓮)을 많이 심었었으므로 백련사라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백련암(白蓮菴)
조선 태종(太宗) 때 경상도 청송도호부(靑松都護府) 안덕현(安德縣) 모자산(母子山)에 세운 사찰. 승려 명곡(明谷)이 세웠으며, 《태재집(泰齋集)》에 유방선(柳方善)이 지은 〈백련암기(白蓮菴記)〉가 전함.
14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유적>건물>사찰
-
백로주(白鷺洲)
중국 양자강(揚子江) 가운데 있던 모래섬. 후에 강물의 흐름이 바뀌면서 육지와 합쳐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백록동(白鹿洞)
중국 강서성(江西省) 성자현(星子縣)의 북쪽, 광여산(匡廬山) 남쪽에 있는 마을 이름. 당(唐)의 이발(李渤)이 여기에 은거하여 흰 사슴을 기르며 지낸 것을 계기로 하여 백록으로 부르게 되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백록동규(白鹿洞規)
중국 송(宋) 나라 때 남강군(南康軍)에 있던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의 학규(學規). 주희(朱熹)가 황폐해진 서원을 복구하고 학문을 강론하며 정함.
중국>송 , 중국 , 법제>의례>기타의례
-
백록동규해(白鹿洞規解)
조선 전기의 학자 박영(朴英)이 중국 송(宋) 나라 주희(朱熹)가 세운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의 학규(學規)에 대하여 자세하게 풀이한 글.
1518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백록동부(白鹿洞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부(賦). 자신이 세운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기념한 것으로, 송(宋) 나라 주희(朱熹)의 백록동서원을 흠모하는 정이 스며 있음.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실림.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중국
중국 강서성(江西省)의 여산(廬山) 오로봉(五老峯) 밑에 있었던 서원. 송(宋) 나라 때 건립되고, 주희(朱熹)가 남강군(南康軍)의 지사(知事)가 되었을 때 재건하여 강학(講學)하던 장소임.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황주
조선 선조(宣祖) 때 황해도 황주(黃州)에 건립한 서원. 1721년(경종 1)에 사액받았고, 주자(朱子)ㆍ김굉필(金宏弼)ㆍ이이(李珥)를 배향함.
158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황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백록사(栢麓社)
경상북도 안동(安東)의 내성(柰城)에 있었던 사당. 이종준(李宗準)ㆍ이홍준(李弘準)ㆍ김성구(金聲久)를 배향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당
-
백록유고(白麓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 문신인 신응시(辛應時)의 시문집. 아들 신경진(辛慶晉)이 유고를 수습하였으나 간행하지 못하고, 손자 신희계(辛喜季)가 영암 군수(靈巖郡守)로 있을 때 편집 간행함. 권두에 송시열(宋時烈)의 서문이 있음.
166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문헌>서명
-
백리시(百里視)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목공(穆公) 때의 무신. 백리해(百里奚)의 아들.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백리해(百里奚)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목공(穆公) 때의 대부. 목공을 패주(霸主)의 지위로 이끄는 데 지대한 공을 세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백마강(白馬江)
충청남도 부여(夫餘) 부근을 흐르는 금강(錦江)의 하류(下流). 강의 왼쪽과 부소산(扶蘇山)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는 낙화암(落花巖)ㆍ조룡대(釣龍臺)ㆍ고란사(皐蘭寺) 등 백제(百濟)의 유적이 있음.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백마사(白馬寺)
중국 낙양성(洛陽城) 서쪽 옹문(雍門) 밖에 있었던 사찰. 여러 곳에서 오는 승려들이 쉬어가도록 마련한 사찰로, 섭마등(攝摩騰)이 머물렀다 함.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건물>사찰
-
백면서생(白面書生)
글만 읽어 얼굴이 창백한 사람이라는 뜻.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무신(武臣)인 심경지(沈慶之)가 문신을 얼굴이 검은 무관(武官)과 대비해서 한 말로, 《송서(宋書)》〈심경지전(沈慶之傳)〉에 전함. 글만 알고 세상 경험이 전혀 없는 사람을 말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백몽표(白夢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수원(水原). 무과에 급제한 후에 선전관(宣傳官)을 거쳐 동래 판관(東萊判官)을 지내고,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에 재직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백문보(白文寶)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직산(稷山). 문장이 뛰어나 예종(睿宗)과 인종(仁宗) 양조(兩朝)의 국사를 초(草)하였으며, 불교(佛敎)를 배척하였음.
1303~137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문신
-
백문절(白文節)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포(藍浦). 이부 시랑(吏部侍郞) 등을 지내고, 문사(文詞)와 글씨에 뛰어남.
?~12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