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표제어(14,945건)
-
인재집(仁齋集)@강희안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인 강희안(姜希顔)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인재집(仁齋集)@성희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인 성희(成熺)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인재집(寅齋集)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신개(申槩)의 문집. 1929년 후손 신현국(申鉉國)ㆍ신우균(申佑均) 등이 문경(聞慶)에서 4권 2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929 한국>근대 , 경상도>문경 , 문헌>서명
-
인재집(忍齋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홍섬(洪暹)의 문집. 1693년(숙종 19) 외속(外屬)인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박경후(朴慶後)가 전주(全州)에서 목판으로 간행함.
16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인재집(訒齋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최현(崔晛)의 문집. 1778년(정조 2) 6대손 최광벽(崔光璧)이 원집(原集) 13권, 별집(別集) 2권, 습유(拾遺) 1권, 연보(年譜) 1권, 부록(附錄) 1권, 총 18권 9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77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인정(印正)
조선 전기의 승려. 지리산에 주석하며 소세양(蘇世讓)과 교유하였으며, 《양곡집(陽谷集)》에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ㅣ전라도>구례 , 인명>종교인>승려
-
인제(麟蹄)
강원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양양(襄陽), 서쪽으로 양구(楊口)와 접해 있음.
강원도>인제 , 지명>행정지명
-
인조(仁祖)
조선 제16대 왕. 재위 1623~1649.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왕위에 올라 친명배금정책(親明排金政策)을 실시하고, 정묘호란(丁卯胡亂)ㆍ병자호란(丙子胡亂)을 겪음.
1595~16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인조반정(仁祖反正)
조선 광해군(光海君) 15년에 이귀(李貴) 등 서인(西人)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파(大北派)를 몰아내고 능양군(綾陽君)을 왕으로 옹립한 사건.
1623 한국>조선후기 , 사건>기타사건
-
인조실록(仁祖實錄)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재위 27년간의 실록. 이경여(李敬與)ㆍ김육(金堉) 등이 찬수하고 춘추관(春秋館)에서 편집함. 50권 50책.
16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인종(仁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1525년. 성조(成祖) 영락제(永樂帝)의 장자(長子)로, 영락제의 대외적극책(對外積極策)에서 비롯된 흩어진 내치를 회복하였음.
1378~142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인종(仁宗)@고려
고려 제17대 왕. 재위 1123~1146. 이자겸(李資謙)의 난과 묘청(妙淸)의 난을 겪었고, 김부식(金富軾) 등에게 《삼국사기(三國史記)》를 편찬하게 함.
1109~114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인종(仁宗)@송
중국 북송(北宋)의 제4대 황제. 재위 1022~1063. '경력(慶曆)의 치(治)'라는 북송의 최전성기를 누렸지만 말년에는 재정 곤란에 빠짐.
1010~106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인종(仁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8대 황제. 재위 1311~1320. 문예정책에 힘을 기울이고, 중국인과 몽골인 간의 관직을 평등하게 분배함.
1286~1320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인종실록(仁宗實錄)
조선 제12대 인종(仁宗)의 재위 8개월간의 실록. 1546년(명종 1) 《중종실록(中宗實錄)》과 함께 편찬이 계획되어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 심연원(沈連源) 등에 의해 1550년(명종 5)에 완성됨. 2권 2책.
15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인천(仁川)
경기도 중서부 서해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는 안산(安山)ㆍ금천(衿川)을, 북쪽으로는 부평(富平)을 경계로 하고 있음.
경기도>인천 , 지명>행정지명
-
인천이씨(仁川李氏)
고려 현종(顯宗) 때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지내고 소성백(邵城伯)에 봉해진 이허겸(李許謙)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집단>성씨
-
인헌왕후(仁獻王后)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어머니이자 추존왕 원종(元宗)의 비. 본관은 능성(綾城). 능안부원군(綾安府院君) 구사맹(具思孟)의 딸로, 1632년(인조 10) 정원군(定遠君)이 원종으로 추존됨에 따라 인헌왕후로 추존됨.
1578~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현왕후(仁顯王后)
조선 제19대 숙종(肅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여흥(驪興).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딸로, 희빈장씨(禧嬪張氏)의 무고로 6년간 폐서인이 되었다가 갑술환국(甲戌換局)을 거쳐 복위됨. 그 후 7년이 지나 병고에 시달린 끝에 35세로 죽음.
1667~17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