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계융(契融)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성석린(成石璘)ㆍ이직(李稷)과 교유하여 《독곡집(獨谷集)》ㆍ《형재시집(亨齋詩集)》에 차운(次韻)한 시들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계은(戒恩)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점필재집(佔畢齋集)》과 《독곡집(獨谷集)》에 그와 관련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계은집(溪隱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정립(李廷立)의 시문집. 1책. 이항복(李恒福)의 《백사집(白沙集)》에 서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계음만필(溪陰漫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윤흔(尹昕)의 만필. 3권 3책. 필사본. 인물ㆍ역사ㆍ경전ㆍ지리ㆍ문물ㆍ제도ㆍ풍속ㆍ예절 등 광범위한 내용에 대해 보고 듣고 느낀 것을 체계 없이 기록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계자훈(薊子訓)
중국 후한(後漢) 때의 도사. 음식이 줄어들지 않는 등의 신기한 도술을 부렸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계재유고(溪齋類稿)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등린(滕璘)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계전(戒全)
조선 전기의 승려.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제무의자계전권(題無依子戒全卷)〉이라는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계주(薊州)
중국 하북성(河北省) 천진(天津)에 있던 고을 이름.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지이자 안녹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킨 곳으로, 우리나라 사신이 북경(北京)으로 연행(燕行)을 갈 때 지나야 하는 지역 중 하나.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계찰(季札)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공자(公子). 각 제후국을 사신으로 순방하면서 예학을 논하는 등 박학하고 통명한 식견을 선보이며 현인으로 명성을 떨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계찰계검(季札繫劍)
계찰(季札)이 검을 걸어 놓다는 뜻.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계찰이 평소 자신의 검을 가지고 싶어하다 죽은 서(徐) 나라 왕의 집에 검을 풀어 놓고 온 고사에서 나온 말로, 신의를 중시함을 비유함.《사기(史記)》 〈오태백세가편(吳太伯世家篇)〉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창(鷄窓)
닭의 창. 중국 진(晉) 나라의 송처종(宋處宗)이 서재의 창가에서 기르던 장명계(長鳴鷄)가 사람의 말을 알게 되자 더불어 담론(談論)하면서 깨달은 바가 많았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서재를 뜻함. 《유명록(幽冥錄)》에 나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계축화옥(癸丑禍獄)
조선 1613년(광해군 5) 광해군(光海君)을 지지하는 대북파(大北派)가 영창대군(永昌大君) 및 반대파 세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으킨 옥사(獄事). 서인(西人)ㆍ남인(南人)들은 유배되거나 관직을 삭탈당하고, 인목대비(仁穆大妃)도 폐위됨.
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사건>역모
-
계현(契玄)
고려 후기의 승려. 임춘(林椿)이 지은 《서하집(西河集)》 〈묘광사십육성중회상기(妙光寺十六聖衆繪象記)〉에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고^기(皐^夔)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신하인 고요(皐陶)와 기(夔)를 함께 부르는 말. 어진 신하를 가리킴.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고^설(皐^卨)
중국 고대 요(堯)ㆍ순(舜) 임금의 신하인 고요(皐陶)와 설(契)을 함께 부르는 말. 충성스러운 신하를 뜻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고^소(高^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과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을 함께 부르는 말.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고^익(皐^益)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신하인 고요(皐陶)와 백예(栢翳)을 함께 부르는 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고^증(皐^曾)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신하인 고요(皐陶)와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증삼(曾參)을 함께 부르는 말. 도(道)를 이었다는 뜻임.
중국>춘추전국시대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고^직(皐^稷)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의 신하인 고요(皐陶)와 후직(后稷)을 함께 부르는 말. 현신(賢臣)을 뜻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고개지(顧愷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 중국 회화사상 인물화(人物畫)의 최고봉으로 알려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