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대곡집(大谷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성운(成運)의 문집. 1596년(선조 29) 문인이자 처질(妻姪)인 김가기(金可幾)가 시집(詩集)을 수집하여 간행하려 하였으나 이루지 못하고, 1603년(선조 36) 아들 김덕민(金德民)이 충청도 관찰사 유근(柳根)의 협조로 3권 1책으로 간행함.
160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관대(大觀臺)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사천(泗川) 구암리(龜巖里) 만죽산(萬竹山)에 건립한 대(臺) 이름. 이정(李楨)이 그 아래에 구암정사(龜巖精舍)를 짓고 많은 제자들과 함께 학문을 강론함. 본래 이름은 정관대(靜觀臺)였으나 이황(李滉)이 고쳐 불렀다고 함.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유적>건물>사제
-
대관령(大關嶺)
강원도 강릉(江陵)과 평창(平昌)의 경계에 있는 고개 이름. 영동(嶺東)과 영서(嶺西)를 잇는 관문 역할을 함.
강원도>평창ㅣ강원도>강릉 , 지명>자연지명
-
대구(大丘)
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에 경상도 감영(監營)이 설치되어 영남지방의 중심지가 됨. 1780년(정조 4) 이후로 공자(孔子)의 이름을 피휘(避諱)하여 대구(大邱)로 쓰기 시작함.
경상도>대구 , 지명>행정지명
-
대구화상(大矩和尙)
통일신라 진성여왕(眞聖女王) 때의 승려. 888년(진성여왕 2)에 왕명으로 각간(角干) 위홍(魏弘)과 함께 향가를 수집하여 《삼대목(三大目)》을 편수함.
한국>통일신라 , 인명>종교인>승려
-
대규(戴逵)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ㆍ학자. 인품이 고상하여 당대의 명사인 사안(謝安)ㆍ사현(謝玄)ㆍ왕순(王珣)ㆍ왕휘지(王徽之) 등에게 존경을 받음.
?~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
-
대내의륭(大內義隆)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의 무장. 서부(西部) 제일의 영주로 막강한 세력가였으나 가신(家臣)인 도정현(陶睛賢)의 배신으로 죽음.
1507~1551 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대당개원례(大唐開元禮)
중국 당(唐) 나라의 예제(禮制)를 규정한 책. 150권. 현종(玄宗)의 개원(開元) 연간에 소숭(蕭嵩) 등이 황제의 명을 받아, 태종(太宗) 때의 《정관례(貞觀禮)》와 고종(高宗) 때의 《현경례(顯慶禮)》를 절충하여 당대의 오례(五禮) 제도를 완비시킴.
712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대당중흥송(大唐中興頌)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원결(元結)이 안녹산(安祿山)의 난(亂)이 진압된 뒤 숙종(肅宗)의 공덕(功德)을 송축하며 지은 글. 호남성(湖南省) 기양(祁陽)의 오계(浯溪) 암벽 위에 새겨져 있음.
761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대대례(大戴禮)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학자인 대덕(戴德)이 편찬한 예서(禮書). 유향(劉向)이 엮은 《예기(禮記)》 214편을 간추려 85편으로 축약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대덕(戴德)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학자. 박사(博士)를 지냈으며, 유향(劉向)이 엮은 《예기(禮記)》 214편을 줄여 《대대례(大戴禮)》 85편을 저술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동강(大同江)
평안남도 낭림산맥(狼林山脈) 서쪽에서 발원, 남서류(南西流)하여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평안도>평양 , 지명>자연지명
-
대동법(大同法)
조선 선조(宣祖) 때부터 공물(貢物)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납세 제도. 1608년(선조 41) 이원익(李元翼)의 건의로 경기(京畿)에서 먼저 실시되었고, 이후 점차 확대 실시되다가 1708년(숙종 34) 함경도와 평안도 이외의 전국에서 실시됨.
1608~1894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대동야승(大東野乘)
조선 개국 초부터 인조(仁祖) 때까지 역사 관계의 만록(漫錄)ㆍ야사(野史)ㆍ일기ㆍ전기ㆍ수필ㆍ설화 등을 총집한 책. 총 72권 72책. 편자 미상.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문해(權文海)가 원(元) 나라 음유우(陰幼遇)의 《운부군옥(韻府群玉)》을 모방해 편찬한 백과사전. 단군(檀君)부터 선조까지 지리(地理)ㆍ역사(歷史)ㆍ인물(人物)ㆍ문학(文學)ㆍ산물(産物) 등을 운별(韻別)로 배열하였으며, 1836년(헌종 2)에 완간됨. 목판 20권 20책.
183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려(大呂)
중국 주(周) 나라 종묘(宗廟)에 설치한 종(鍾). 구정(九鼎)과 함께 천하의 보기(寶器)로 여겨지며, 천자(天子)의 존위(尊位)를 상징함.
중국>주 , 중국 , 물품>기타용품>의례용품
-
대루원기(待漏院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왕우칭(王禹偁)이 지은 기문(記文). 대루원(待漏院)의 벽에 재상이 힘써야 할 일을 써서 붙인 글로, 신하에게 귀감이 되는 글로 전해져 옴.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대릉하(大凌河)
중국 요녕성(遼寧省) 북쪽의 노노아호산(努魯兒虎山)과 남쪽의 흑산(黑山)에서 발원하여 서부의 강줄기를 합쳐 요동만(遼東灣)으로 흘러드는 강.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대마도(對馬島)
일본 장기현(長崎縣)에 속한 섬 이름. 한국과 일본의 중계지(中繼地) 역할을 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 수군의 근거지였음.
일본 , 지명>자연지명
-
대마도정벌(對馬島征伐)
왜구(倭寇)의 소굴인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한 일. 좁게는 1419년(세종 1) 6월 이종무(李從茂)의 정벌을 말하나, 넓게는 고려 말 창왕(昌王) 때와 조선 초 태조(太祖) 때의 정벌까지도 포함하여 이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사건>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