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대명률(大明律)
중국 명(明) 나라의 기본 법전. 태조(太祖) 주원장(朱元璋)이 직접 감독하여 1367년 제정하였으며, 당률(唐律)ㆍ송률(宋律)ㆍ전제(田制)를 계승하여 6률(六律)이라는 새로운 격식을 창조함. 주석서로 《율해변의(律解辯擬)》ㆍ《율조소의(律條疏議)》ㆍ《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 등이 있음.
1367 중국>명 , 중국 , 법제>법률
-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
중국 명(明) 나라 때 이현(李賢)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편찬한 지리서(地理書). 90권. 《환우통지(寰宇通志)》를 요약하여 만듦.
1461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대명회전(大明會典)
중국 명(明) 나라 때 서박(徐薄)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명 나라의 법제(法制)를 집대성한 행정법전(行政法典). 전 180권.
1509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대목왕후(大穆王后)
고려 제4대 왕인 광종(光宗)의 비(妃). 태조 왕건(王建)의 셋째 딸로, 956년(광종 7) 광종이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을 실시하려 할 때 실시를 중지할 것을 건의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공주ㅣ인명>왕실>왕비
-
대무신왕(大武神王)
고구려의 제3대 왕. 재위 18~44. 유리왕(瑠璃王)의 셋째 아들. 동부여(東扶餘)를 공격하여 대소왕(帶素王)를 죽이고 고구려에 병합하였고, 국토를 살수(薩水) 이북까지 확대하였으며, 왕자 호동(好童)을 시켜 낙랑군(樂浪郡)을 정벌하는 등 많은 나라를 공략하여 무공을 세움.
4~44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대보단(大報壇)@가평
경기도 가평군 조종암(朝宗巖)에 있는 제단(祭壇). 창덕궁(昌德宮) 금원(禁苑) 내의 대보단에서 유래되었으며, 명(明) 나라가 임진왜란 당시에 원병을 보내준 우의에 대한 보답으로 세움.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가평 , 유적>건물>사당
-
대보단(大報壇)@서울
조선 후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원군(援軍)을 보낸 명(明) 나라 신종(神宗)의 은의(恩義)를 기리기 위해 1704년(숙종 30) 창덕궁(昌德宮) 금원(禁苑) 옆에 설치한 제단(祭壇). 명 나라 태조(太祖)ㆍ신종ㆍ의종(毅宗)을 제사지냄.
17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유적>건물>사당
-
대복고(戴復古)
중국 송(宋) 효종(孝宗)~이종(理宗) 때의 시인. 강호파(江湖派)의 대표적 시인으로서 유명하며, 한때 대시인(大詩人) 육유(陸游)에게서 시를 배움.
116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대봉서원(大峯書院)
조선 헌종(憲宗) 때 경상도 영덕(盈德)에 건립한 서원. 1835년(헌종 1)에 충현사(忠賢祠)라는 이름으로 세웠으나 1847년(헌종 13) 대봉서원으로 개칭함. 권자신(權自愼)을 배향함.
18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덕 , 유적>건물>서원,향교
-
대봉집(大峰集)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양희지(楊熙止)의 문집. 10대손 양락(楊濼)이 1787년(정조 11)에 4권 2책으로 간행함.
178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불승(戴不勝)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대부. 송 나라 왕을 바른 길로 인도하기 위해 설거주(薛居州)라는 선사(善士)를 왕에게 천거함. 설거주 한 사람의 힘으로는 왕을 선(善)으로 인도하기 어렵다는 내용이 《맹자(孟子)》 등문공 하(滕文公下)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대사헌(大司憲)
고려~조선시대 사헌부(司憲府)의 장관. 정사(政事)를 논하고 백관(百官)을 감찰하여 기강을 진작하는 등의 업무를 맡았으며, 집의(執義)ㆍ장령(掌令)ㆍ지평(持平)ㆍ감찰(監察) 등의 관원을 감독하고 통솔함.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직
-
대산실기(大山實記)
조선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치명(柳致明)이 지은 책. 병호시비(屛虎是非) 때에 호론(虎論)을 대변하는 책이었는데, 병호 간의 보합을 꾀하던 흥선대원군에 의해 병론(屛論)을 대변하는 《여강지(廬江誌)》와 함께 관정에서 파판(破板)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산집(大山集)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상정(李象靖)의 문집. 조카인 이우(李㙖)에 의해 1802년(순조 2) 52권 27책으로 간행됨.
180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선원(大仙院)
일본 경도(京都)의 선종(禪宗) 사원인 대덕사(大德寺) 경내에 있는 수도원. 15세기 후반 모래와 돌만으로 바다의 경치를 나타낸 ‘평정고산수(平庭故山水)’ 정원 등이 조성됨. 김성일(金誠一)의 연보에 이곳을 방문한 기록이 있음.
일본 , 유적>건물>사찰
-
대성(戴聖)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학자. 숙부 대덕(戴德)이 엮은 《대대례(大戴禮)》 85편을 간추려 《소대례(小戴禮)》 49편을 편찬함. 이 《소대례》가 곧 오늘날 전해지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대성전(大成殿)
문묘(文廟)의 정전(正殿)에 해당하는, 공자(孔子)의 위패(位牌)를 모시는 전각(殿閣). 공자를 중앙에 모시고 안자(顔子)ㆍ증자(曾子)ㆍ자사(子思)ㆍ맹자(孟子) 등 네 성인(聖人)을 좌우에 모셔 합사(合祀)함.
유적>건물>사당
-
대소헌일고(大笑軒逸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조종도(趙宗道)의 시문집. 3권 1책. 목판본. 손자 조징성(趙徵聖)ㆍ조징천(趙徵天)과 증손 조숙(趙璹)이 유문을 수집하였으며, 이광정(李光庭)이 교정ㆍ편차하여, 1769년(영조 45) 7세손 조휘진(趙輝晉)이 간행함.
176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대송중수광운(大宋重修廣韻)
중국 송(宋) 나라의 진팽년(陳彭年)ㆍ구옹(邱雍) 등이 황명으로 편찬한 운서(韻書). 수대(隋代) 육법언(陸法言)이 지은 《절운(切韻)》을 증보한 것으로, 206운(韻)으로 분류함. 5권.
1011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신라 때의 고승인 원효(元曉)가 대승불교의 개론서인 인도 마명(馬鳴)의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을 주석한 책. 2권 1책.
한국>신라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