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모란(牡丹)
작약과(芍藥科)에 속하는 낙엽관목(落葉灌木).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 부귀(富貴)를 상징함. 설총(薛聰)의 〈화왕계(花王戒)〉로 유명함.
자연물>식물
-
모란봉(牡丹峯)
평안북도 평양(平壤) 모란봉구역 동부 대동강 오른쪽 연안에 있는 산 이름. 조선팔경(朝鮮八景)으로 손꼽힘.
평안도>평양 , 지명>자연지명
-
모례사(慕禮祠)
조선 순조(順祖) 때 경상도 밀양(密陽)에 세워진 사당. 손영제(孫英濟)가 배향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사당
-
모리길성(毛利吉成)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 무장.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부하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제4진을 이끌고 부산에 상륙하여 동두천을 통해 강원도 방면으로 진격함.
?~1611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모리휘원(毛利輝元)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의 무장.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부하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제7진을 이끌고 경상도 점령을 담당하여 부산 왜성과 자성대를 축성함.
1553~1625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모모(嫫母)
중국 고대 헌원(軒轅)의 차비(次妃). 어진 덕의 소유자였으나 단지 모습이 추했다는 이유로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왕비인 무염(無鹽)과 더불어 세인들의 비난과 조롱을 당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모백(毛伯)
중국 주(周) 나라의 대부. 경왕(景王)이 죽은 뒤 난을 일으킨 왕자조(王子朝)ㆍ소백(召伯)과 함께 초(楚) 나라로 도망쳤으나 죽임을 당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모본왕(慕本王)
고구려 제5대 왕. 재위 48~53. 제3대 대무신왕(大武神王)의 아들로 49년에 한(漢) 나라를 공격하였다가 화친을 맺었으며, 성품이 사납고 정사를 돌보지 않아 백성들의 원망을 듣고 있던 가운데 신하 두로(杜魯)에게 피살됨.
?~53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모수(毛遂)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조(趙) 나라 평원군(平原君)의 식객(食客). 조(趙)가 진(秦)에 포위당하자, 평원군을 따라 초(楚)에 가서 조와 초(楚)의 연합정책을 성사시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
중국 전한(前漢) 때의 학자인 모형(毛亨)이 지은 서적. 30권. 《시경(詩經)》을 해석한 것으로, 이로 인해 《시경》이 전해질 수 있었음. 동생인 모장(毛萇)이 증보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모시명물초(毛詩名物鈔)
중국 원(元) 나라 학자인 허겸(許謙)의 문집. 8권. 고의(古義)에 해박한 저자가 명물음훈(名物音訓)을 상고하여 저술한 것으로, 《모시(毛詩)》의 빠진 것을 보충할 수 있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모시소전(毛詩小傳)
중국 송(宋) 나라의 대표적인 시인ㆍ문신인 매요신(梅堯臣)의 문집. 20권. 《완릉집(宛陵集)》ㆍ《당재기(唐載記)》와 함께 2800여 수(首)의 시(詩)를 싣고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모암서원(慕岩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장성(長城)에 건립한 서원. 효와 충, 청백리로 알려진 칠현(七賢)인 서릉(徐稜)ㆍ정운룡(鄭雲龍)ㆍ김우급(金友伋)ㆍ조정로(趙廷老)ㆍ조영규(趙英圭)ㆍ최학령(崔鶴齡)ㆍ박수량(朴守良) 등을 배향함.
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모영(毛穎)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성민(洪聖民)이 지은 작품의 인물. 수(愁)ㆍ성(性)ㆍ정(情)ㆍ지(志)ㆍ기(氣) 등을 의인화하여 지은 〈천군견지수공수성(天君遣志帥攻愁城)〉에 무신으로 등장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모용(茅容)
중국 후한(後漢) 때의 효자. 나이 40이 넘도록 글을 읽지 못했는데, 곽태(郭泰)가 그의 사람됨을 알아보고 학문을 권하여 성덕(成德)하였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모용각(慕容恪)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전연(前燕)의 장군. 태조(太祖) 모용황(慕容皝)의 넷째 아들로, 장군이 되어 요동(遼東)을 정벌함.
?~3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모용언달(慕容彦達)
중국의 경서(經書) 주소가(註疏家). 《예기(禮記)》에 관한 주소(註疏)가 진호(陳澔)의 《예기집설(禮記集說)》에 인용되어 있음.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모원예(毛元銳)
붓의 의인화된 명칭. 종이의 저지백(楮知白), 먹의 역현광(易玄光), 벼루의 석허중(石虛中)과 함께 문방사우(文房四友)로 일컬어짐. 중국 송(宋) 나라 문신인 소이간(蘇易簡)의 《문방사보(文房四譜)》에 보임.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모의(毛義)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효자.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관직에 제수하는 임명장을 받고 기뻐했다는 ‘모의봉격(毛義奉檄)’ 고사가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모의봉격(毛義奉檄)
중국 전한(前漢) 때 모의(毛義)가 자신을 관리로 임명하는 행차를 반기자, 장봉(張奉)이 실망하여 비난했다가 후에 그것이 어머니를 즐겁게 하려는 것이었음을 알게 된 데서 유래한 고사성어. 본의 아니게 오해 받는 것을 뜻함.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