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묘덕선생전(妙德先生傳)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원찬(袁粲)의 작품. 온 나라 사람이 마시고 모두 미치광이가 되었다는 '광천(狂泉)'이라는 샘물 이야기가 나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묘번(苗蕃)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어려서 홀어머니에게 글을 배워 진사(進士)에 입격하고 후에 태원부 참군(太原府㕘軍)을 지냄. 한유(韓愈)가 그의 묘지명(墓誌銘)을 지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불교 대승경전(大乘經典)의 한 가지. 천태종(天台宗)의 근본 경전으로, 모든 경전 중에서 가장 존귀하게 여겨짐. 기원 전후에 서북 인도에서 만들어졌으며, 회삼귀일사상(會三歸一思想)을 주요 내용으로 28개의 품(品)으로 구성됨. 구마라습(鳩摩羅什)의 한역본이 가장 널리 보급됨.
고대 ,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묘부(苗傅)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무신. 1129년에 어영우군 부도통제(御營右軍副都統制) 유정언(劉正彦)과 함께 반란을 일으켜, 고종으로 하여금 3세 된 황자(皇子)에게 전위(傳位)하게 만든 묘유지변(苗劉之變)을 일으킴.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묘유지변(苗劉之變)
중국 남송(南宋)의 무신인 묘부(苗傅)와 유정언(劉正彦)이 일으킨 변란. 1129년에 금(金) 나라의 침입을 피해 임안(臨安)으로 가는 고종(高宗)을 호종하던 중 반란을 일으켜 3세 된 황자(皇子) 부(旉)에게 강제로 전위(傳位)하게 한 사건.
1129 중국>송 , 중국 , 사건>역모
-
묘제(廟祭)
종묘(宗廟)나 혹은 사당(祠堂)에서 지내는 조상에 대한 제사.
법제>의례>기타의례
-
묘향산(妙香山)
평안도 향산(香山)ㆍ영변(寧邊)ㆍ희천(熙川) 등에 걸쳐 있는 산 이름. 5대 명산의 하나로 상고시대에 환웅(桓雄)이 내려와 신시(神市)를 세웠다는 설이 있음.
평안도>희천ㅣ평안도>영변 , 지명>자연지명
-
무강(武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 제후인 무공(武公)의 아내이자 장공(莊公)의 어머니. 아들 공숙단(共叔段)과 짜고 반란을 일으켰다가 장공에게 진압당하고 성영(城潁)에 유폐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무경총요(武經總要)
중국 송(宋) 나라 문신ㆍ학자인 증공량(曾公亮) 등이 지은 병서(兵書). 인종(仁宗)의 명으로 저술하여 1044년 완성함. 40권.
1230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무경칠서(武經七書)
중국의 병법(兵法)에 관한 일곱 가지 책. 군사를 훈련시키고 전략을 세우는 등 용병하는 방법을 총망라한 책으로, 《손자(孫子)》ㆍ《오자(吳子)》ㆍ《사마법(司馬法)》ㆍ《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ㆍ《위료자(尉繚子)》ㆍ《삼략(三略)》ㆍ《육도(六韜)》를 가리킴.
1083 중국>송 , 중국 , 문헌>기타문헌
-
무계집(武溪集)
중국 송(宋) 나라 문신ㆍ학자인 여정(余靖)의 문집. 아들 여중순(余仲荀)이 편찬하였는데, 고율시(古律詩) 120편, 비지기(碑志記) 50편, 의론잠갈표(議論箴碣表) 53편, 제고(制誥) 98편 등이 들어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무고(舞鼓)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이혼(李混)이 바다 위에 떠다니는 나무로 만든 큰 북을 두드리며 춤춘 것에서 유래된 궁중무용(宮中舞踊). 중앙에 무고(舞鼓)라는 북을 두고 8명이 여러 모양을 만들면서 춤을 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기타>가무
-
무공(武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제후. 장공(莊公)의 아버지이며, 무강(武姜)의 남편. 주(周) 나라가 동천(東遷)한 후에도 왕실을 도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무공(武公)@춘추전국(衛)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 55년간 재위하면서 주(周)를 도와 융적(戎狄)를 평정하고, 〈억(抑)〉이란 시를 지어 스스로를 경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무과(武科)
조선시대에 무관(武官)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 대개 3년마다 한 번씩 식년(式年)에 실시하였으며, 초시(初試)ㆍ복시(覆試)ㆍ전시(殿試)의 3단계를 거쳐 선발함.
1408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무급(無及)
고려 우왕(禑王) 때의 승려. 나옹화상(懶翁和尙) 혜근(惠勤)의 문도로, 승려 수봉(琇峯)과 같이 해인사(海印寺)에 가서 대장경(大藏經)을 인경(印經)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무녀성(婺女星)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하나의 별자리. 직녀성(織女星) 남쪽에 있는 여수(女宿)의 별칭으로 여신(女神)을 뜻하며, 흔히 귀부인을 찬양하는 용어로 쓰임.
자연물>천체
-
무도양황후(武悼楊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무제(武帝)의 비(妃). 혜제(惠帝)가 등극하여 태후가 되었으나 가후(賈后)에 의해 역모를 꾀했다는 무함을 받고 폐위되어 금용성(金墉城)에 유폐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무동서원(茂洞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선산(善山)에 건립한 서원. 전좌명(田佐命)ㆍ전윤무(田胤武)ㆍ이우(李瑀)를 배향함.
17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유적>건물>서원,향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