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말
고전용어시소러스 검색은 《한국문집총간》에 나타난 고전용어를 기반으로 하여 당시 사람들이 여러 형태로 표현했던 용어들을, 표제어를 기준으로 유의어와 관련어, 상하위어 등의 관계를 규정해 줌으로써 효율적인 정보검색을 제공합니다. 고전용어시소러스 검색 결과에서 선택된 표제어는 유의어와 관련어에 검색조건을 설정할 수 있고, 이를 즉시 한국고전종합DB에서 검색하여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유형ㆍ시대ㆍ지역 구분을 활용한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표제어 서비스 화면에서 “관계도”버튼을 클릭하면 표제어와 관련 어휘의 관계를 방사형으로 시각화하여 보여줍니다.
메인화면

① 통합검색창 : 검색어를 입력합니다. 검색옵션에 따라 표제어, 전체로 검색이 가능합니다.
② 디렉토리 서비스 : 고전용어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고전용어를 유형, 시대, 지역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각 분류체계별로 디렉토리 방식으로 표제어 선택이 가능합니다.
③ 인기검색어 : 검색어 빈도수가 높은 검색어를 디스플레이하며 클릭 시 검색이 가능합니다.
디렉토리 서비스

① 분류체계 메뉴 : 고전용어 시소러스 구축을 위하여 고전용어를 수집ㆍ분석하여 고전용어 분류체계를 개발하고, 이 분류체계에 따라 고전용어를 분류하여 검색을 용이하도록 유형, 시대, 지역을 탭형식으로 디렉토리 서비스를 합니다.
② 분류체계 선택 : 분류값 선택시 오른쪽 표제어 디스플레이 화면이 선택된 분류값에 해당하는 표제어로 디스플레이됩니다.
③ 목록 개수 선택 : 기본 100개씩 보기이며, 50개/200개/500개 보기로 선택이 가능합니다.
④ 표제어 디스플레이 : 디렉토리 서비스에서 선택된 분류값에 해당하는 표제어를 디스플레이하며, 표제어 선택 시 표제어 서비스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디렉토리 서비스 분류체계

① 유형분류는 《한국문집총간》에 나타난 고전용어의 특성을 반영합니다. 인명부터 기타까지 134개의 분류체계로 구성되며, 대분류는 11개, 중분류 48개, 소분류 75개입니다. 전체 유형분류 중 인명(왕실ㆍ관인ㆍ문사 등)이 10,728건으로 유형분류값의 약 72%입니다. 표제어 14,944건 전체가 유형별로 분류되었으며, 복수의 유형분류값을 가진 표제어도 있습니다.
② 시대분류는 《한국문집총간》의 특성상 한ㆍ중ㆍ일의 시대분류를 반영하였습니다. 공통시대인 고대를 포함하여 41개의 분류체계로 구성되며, 대분류는 4개입니다. 고전용어의 시대분류값은 고대는 대분류값에서 분류값을 정하며, 한국ㆍ중국ㆍ일본은 중분류(37개)에서 분류값을 정했습니다. 한국은 삼국시대부터 근대까지 13개의 중분류로 구분하여 10,043건, 중국은 하은주시대부터 청까지 19개의 중분류로 구분하여 3,815건, 일본은 평안시대부터 강호시대까지 5개의 중분류로 구분하여 37건의 시대분류값을 가진 표제어가 있습니다. 전체 표제어 14,944건 중 14,025건이 시대별로 분류되었으며, 복수의 시대분류값을 가진 표제어도 있습니다.
③ 지역분류는 《한국문집총간》의 특성상 우리나라의 경우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팔도(八道)와 부목군현(府牧郡縣)을 반영하였습니다. 중국ㆍ일본ㆍ기타지역을 포함하여 321개의 분류체계로 구성되며, 대분류는 12개입니다. 고전용어의 지역분류값은 서울ㆍ중국ㆍ일본ㆍ기타지역은 대분류에서 분류값을 정하며, 경기도 등 우리나라 팔도는 중분류(305개)에서 분류값을 정했습니다. 전체 표제어 14,944건 중 13,230건이 지역별로 분류되었으며, 복수의 지역분류값을 가진 표제어도 있습니다.
검색 서비스

① 표제어와 유의어 구분 : 해당 검색어를 표제어와 유의어로 구분하며, 전체/표제어/유의어 선택 시 아래의 패싯 구성이 변경됩니다.
② 표제어 검색결과 화면 : 검색된 표제어는 미리보기가 제공되고, 해당 검색어는 하이라이팅되며, 표제어 선택 시 표제어 서비스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③ 유의어 검색결과 화면 : 검색된 유의어는 표제어와 같이 표기되어 미리보기가 제공되고, 해당 검색어는 하이라이팅되며, 유의어 – 표제어 선택 시 표제어 서비스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④ 패싯 구성 : 검색된 표제어와 유의어(표제어 기준)를 시기, 지역, 유형별로 분류체계를 구분하여 제공하며, 분류값 선택을 통하여 검색결과를 줄일 수 있습니다.
검색 서비스 예시 : 패싯 기능을 통한 검색결과 축소

① 패싯 선택 기능 : 예를 들면 ‘문집’으로 검색한 결과, 표제어(42건)과 유의어(183건) 중 지역에서 ‘경상도/안동’, 시기에서 ‘한국/근대’를 선택하면, 검색결과는 유의어 1건으로 검색결과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② 패싯 선택 해제 : 선택한 패싯을 해제하면 패싯구성과 표제어 검색결과가 재구성됩니다.
검색 서비스 예시 : 전체 검색에서 시기/지역/유형 조합을 통한 검색

① 전체 검색 : 통합검색창에서 ‘전체’ 옵션은 표제어, 표제어설명, 표제어 분류정보가 검색범위입니다. 통합검색창에서 ‘시기/지역/유형’을 조합하여 검색어로 입력하면, 자연어 검색과 유사한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색 예시 : ‘조선 전라도 문집’ ‘조선 서울 기생’ ‘조선 경상도 성리학자’ ‘중국 역모’
표제어 서비스

① 표제어 : 일반적으로는 해당 고전용어의 정확한 명칭을 표제어로 선정했으나, 고전용어의 특성상 왕이나 왕자 등은 봉호(封號)를 표제어로 선정했습니다. 설명은 해당 고전용어에 대한 간략한 개념 정의에 해당하며, 분류체계의 경우 시대는 고전용어의 해당 시대를 나타내고 연도는 고전용어의 해당연도를 나타내는데, 인명의 경우 주활동시대와 생몰연도가 해당됩니다.
② 유의어 : 표제어의 이칭 정보. 인명의 경우, 자(字)ㆍ호(號)ㆍ시호(諡號)ㆍ봉호(封號)ㆍ묘호(廟號) 등을 포함합니다.
③ 관련어 : 해당 고전용어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고전용어를 연결합니다. 인명의 경우는 부자관계, 사제관계, 교우관계, 저작물, 관련사건 등을 포함합니다.
④ DB검색 : 고전용어의 표제어, 유의어, 관련어 정보를 이용하여 한국고전종합DB에서 정보를 검색하여 한국고전종합DB 검색결과화면을 새 창에서 보여줍니다.
⑤ 관계도 : 고전용어의 표제어와 관련어 관계정보를 이용하여 방사형 디스플레이를 제공합니다.
표제어 서비스 : DB검색

표제어 서비스 예시는 ① 표제어 “정조(正祖)” 체크 ② 전체선택 체크 후 유의어 내 검색조건 OR 선택 및 표제어와 OR 선택 ③ 관련어 “장헌세자(莊獻世子)” 체크 후 검색조건에 AND를 선택한 화면입니다.
조합된 검색어는 "(正祖 or (正宗 or 正廟 or 正考 or 文成武烈聖仁莊孝 or 宣皇帝 or 李祘 or 亨運 or 弘齋)) and (莊獻世子)“ 이며, “DB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한국고전종합DB에서 정보를 검색하여 위 예시화면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색어의 조합은 표제어ㆍ유의어 내 AND/OR ㆍ관련어 내 AND/OR 간 AND/OR로 한 검색어 조합하여 한국고전종합DB에서 검색합니다.
표제어 서비스 : 관계도

위 예시는 “정조”의 관련어 “정조실록”과 “장헌세자”를 더블클릭을 통해서 확대한 화면입니다.
① 표제어 : 색깔은 파란색입니다. 원클릭 시 ②번 영역에 선택된 표제어의 설명이 출력됩니다. 더블클릭 시 선택된 표제어의 관련어와 유의어가 방사형으로 디스플레이되며, 표제어를 더블클릭할 때 마다 계속 확장합니다. 또한 표제어의 위치이동을 하고 싶으면 마우스를 누른 상태로 드래그하시면 됩니다.
② 표제어 설명 영역 : 원클릭으로 선택된 표제어의 설명과 분류값을 보여줍니다. [상세정보가기]를 선택하면 해당 표제어화면으로 이동하며, [선택노드로 초기화]를 선택하면 해당 표제어 기준으로 관계도가 초기화 됩니다.
③ 유의어 : 색깔은 주황색입니다. 원클릭 시 ②번 영역에 선택된 유의어 명칭만 출력됩니다. 더블클릭을 할 수 없으며, 위치이동을 하고 싶으면 마우스를 누른 상태로 드래그하시면 됩니다.
관계도 서비스는 다수의 시소러스용어의 설명을 효율적으로 열람할 수 있으며, 관련된 다양한 용어를 손쉽게 확인하고, 스토리텔링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