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문후(文侯)@춘추전국(채)
중국 춘추전국시대 채(蔡) 나라의 제후. 재위 B.C.611~B.C.592. 장후(莊侯)의 아들이며, 경공(景公)의 아버지.
?~B.C.59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후(文侯)@춘추전국(魏)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제후. 재위 B.C.445~B.C.396. 무후(武侯)의 아버지로, B.C.403년에 주(周) 나라로부터 제후에 책봉됨. 단간목(段干木)ㆍ악양(樂羊) 등의 인재를 적소에 등용하여 부국강병을 이룩함.
?~B.C.39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문희개(文希凱)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과 친분이 두터웠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많은 전공을 세웠음. 고창 현감(高敞縣監) 등을 지냈고, 사직 후 부춘정(富春亭)에서 만년을 보냄.
1550~161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물계서원(勿溪書院)@안동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된 서원. 1661년(현종 2)에 창건하였으며, 김방경(金方慶)ㆍ김응조(金應祖)ㆍ김구용(金九容)ㆍ김양진(金揚震)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예천군(醴泉郡)에 속함.
166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물계서원(勿溪書院)@창녕
조선 영조(英祖) 때 경상도 창녕(昌寧)에 건립된 서원. 1712년(숙종 38) 성송국(成松國)의 사당을 세운 것이 시초로, 1729년(영조 5)에 서원으로 바꾸었으며, 성삼문(成三問)을 비롯한 창녕성씨(昌寧成氏) 중 역대 인물 21인을 배향함.
17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물암집(勿巖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김륭(金隆)의 시문집(詩文集). 목판본. 5권 3책. 1774년(영조 50)에 작자의 후손인 김상건(金尙建)ㆍ김세완(金世椀) 등이 유문(遺文)을 수집, 편차하고, 이상정(李象靖)의 교정을 거쳐 간행함.
177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미강서원(湄江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기도 마전(麻田)에 건립된 서원. 1693년(숙종 19)에 사액되었으며, 허목(許穆)을 배향함. 지금의 경기도 연천군(漣川郡)에 속함.
1691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마전 , 유적>건물>서원,향교
-
미불(米芾)
중국 북송(北宋)의 서예가ㆍ화가. 소동파(蘇東坡)ㆍ황정견(黃庭堅) 등과 친교가 있었고, 미점법(米點法)이라는 독자적인 점묘법(點描法)을 창시함.
1051~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미성(尾星)
이십팔수(二十八宿) 중 여섯째 별자리의 별들. 기성(箕星)과 함께 동쪽에 자리함.
자연물>천체
-
미암일기(眉巖日記)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희춘(柳希春)의 친필 일기. 필사본. 본래 14책이었으나 11책만이 현존함. 1567년(선조 즉위) 10월 1일부터 1577년(선조 10) 5월 13일까지 약 10년간의 일기로, 조선시대 개인의 일기 중 가장 방대하며 《선조실록(宣祖實錄)》을 편찬할 때 사료로 이용됨.
1567~157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미암집(眉巖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희춘(柳希春)의 문집. 21권 10책. 1850년(철종 1) 9대손 유경심(柳慶深)이 수집한 시문(詩文)과 《미암일기(眉巖日記)》를 기정진(奇正鎭)이 산정(刪定)ㆍ교정(校訂)하고, 1869년(고종 6) 사손(祀孫) 유정식(柳廷植)이 초간함.
186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문헌>서명
-
미우인(米友仁)
중국 남송(南宋)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아버지 미불(米芾)이 대미(大米)라고 불린 데 대해 소미(小米)라고 불림. 운산(雲山) 화법을 발전시켜 ‘미법산수(米法山水)’를 정착시키고, 초서와 예서에 뛰어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미원서원(迷源書院)
조선 효종(孝宗) 때 경기도 양근(楊根)에 건립한 서원.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ㆍ김육(金堉)ㆍ남언경(南彦經)ㆍ이제신(李濟臣)ㆍ김창흡(金昌翕) 등을 배향함. 지금의 경기도 가평군(加平郡)에 속함.
165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미월(眉月)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한수(韓脩)ㆍ원천석(元天錫)ㆍ권근(權近) 등과 시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미자(微子)
중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인 주왕(紂王)의 서형(庶兄). 주(周) 나라 성왕(成王)이 무경(武庚)의 난을 평정한 뒤 송(宋) 나라에 봉하고 은(殷) 나라의 제사를 맡김. 기자(箕子)ㆍ비간(比干)과 함께 은 나라의 3인(仁)으로 일컬어짐.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미자하(彌子瑕)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大夫). 영공(靈公)이 총애한 미남(美男)의 신하로, 충신 사추가 죽어서도 시체로서 간하여 이에 감동한 위군(衛君)이 미자하를 물리쳤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미초율령(未草栗嶺)
전라남도 순천(順天) 북쪽에 있는 고개 이름. 지형이 험한 요새지(要塞地).
전라도>순천 , 지명>자연지명
-
미호서원(美湖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충청도 회덕(懷德)에 건립한 서원. 1721년(경종 1)에 사액되었으며, 송규렴(宋奎濂)을 배향함. 현재 대전광역시 대덕구(大德區) 미호동(美湖洞)에 속함.
171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유적>건물>서원,향교
-
민^절(閩^浙)
중국 복건성(福建省)에 있는 민강(閩江)과 절강성(浙江省)에 있는 절강(浙江)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민강(閩江)
중국 복건성(福建省)에 있는 강 이름. 복건성 선하령산맥(仙霞嶺山脈)을 발원지로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