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군경(君卿) - 노보세(盧輔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동래 현령(東萊縣令)을 역임함. 《호음잡고(湖陰雜稿)》에 정사룡(鄭士龍)의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군경(君警) - 김이탁(金履鐸)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승지(承旨)를 지낸 김문행(金文行)의 아들로, 밀양 부사(密陽府使)로 있을 때 《밀양읍지(密陽邑誌)》를 편찬함.
1735~17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군계(君啓) - 조인옥(趙仁沃)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돈(趙暾)의 아들로, 전법판서(典法判書)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됨.
1347~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군공(君公) - 두시(杜詩)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문신. 횡포한 장군 소광(蕭光)을 격살(格殺)하고, 역적 양이(楊異) 등을 주벌함. 크게 선정을 베풂.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군길(君吉)@김응귀 - 김응귀(金應龜)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공조 정랑 (工曹正郞) 김광우(金光佑)의 아들. 1579년(선조 1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박사(成均館博士) 등을 지내고, 유덕종(柳德種)과 교유함.
15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군길(君吉) - 정척(鄭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호조 참판 정언각(鄭彦慤)의 아들. 1549년(명종 4)의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지(承旨)ㆍ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냄.
1517~159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군도(君度) - 이사준(李師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여주(驪州).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 등을 지내고, 정수강(丁壽崗)ㆍ김준손(金俊孫) 등과 시와 술을 즐기며 절친하게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무신
-
군량(君亮) - 노우명(盧友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음운학(音韻學)에 조예가 깊고 해서(楷書)에 능함.
1471~152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군량(君諒) - 김심(金諶)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호조 참의(戶曹參議) 김우신(金友臣)의 아들로, 도총부 부총관(都摠府副摠管)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445~150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군련(君戀) - 마천목(馬天牧)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장흥(長興).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는 데에 공을 세우고, 병조 판서(兵曹判書)가 되어 처음으로 6진(六鎭)의 설치를 주장함.
1358~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흥ㅣ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무신
-
군립(君立) - 손흥례(孫興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지헌(芝軒) 정사성(鄭士誠), 용담(龍潭) 박이장(朴而章) 등과 교유함.
154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군망(君望)@문호영 - 문호영(文虎英)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증손으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지낸 문홍달(文弘達)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군망(君望) - 신응시(辛應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와 교유하고, 주자학(朱子學)에 조예가 깊음.
1532~158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군명(君明) - 경방(京房)
중국 전한(前漢) 때의 사상가. 양(梁) 나라 사람 초연수(焦延壽)에게서 역학(易學)을 배웠고, 재이사상(災異思想)에 밝았으며, 음률(音律)을 연구하여 현(絃)에 의한 음률측정기인 준(準)을 발명함으로써 60률을 산정함.
B.C.77~B.C.3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군모(君謨) - 채양(蔡襄)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역사에 밝으며 명필(名筆)로 이름남. 지간원(知諫院)ㆍ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군문(君文) - 가복(賈復)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장군. 등우(鄧禹)ㆍ경감(耿弇) 등과 함께 광무제를 보좌하여 후한을 건립하는 데 공훈을 세움. 도호장군(都護將軍)이 되고 교동후(膠東侯)에 봉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군미(君美)@홍언방 - 홍언방(洪彦邦)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둘째 아들로, 1502년(연산군 8)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언양 현감(彦陽縣監)ㆍ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군미(君美)@이직언 - 이직언(李直彦)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5대손으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를 강화도에 호종하여 척화를 주장했으며, 찬성(贊成) 등을 지냄. 유영건(柳永健)ㆍ이원익(李元翼) 등과 교유함.
1545~16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군미(君美)@이성언 - 이성언(李誠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좌찬성(左贊成) 이손(李蓀)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진위진향사(陳慰進香使)로 명(明) 나라에 갔다가 그곳에서 죽음.
?~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군미(君美) - 이경휘(李慶徽)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시발(李時發)의 아들.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서 《인조실록(仁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617~166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