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군련(君戀) - 마천목(馬天牧)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장흥(長興).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는 데에 공을 세우고, 병조 판서(兵曹判書)가 되어 처음으로 6진(六鎭)의 설치를 주장함.
1358~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흥ㅣ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무신
-
군립(君立) - 손흥례(孫興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지헌(芝軒) 정사성(鄭士誠), 용담(龍潭) 박이장(朴而章) 등과 교유함.
154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군망(君望)@문호영 - 문호영(文虎英)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증손으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지낸 문홍달(文弘達)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군망(君望) - 신응시(辛應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와 교유하고, 주자학(朱子學)에 조예가 깊음.
1532~158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군명(君明) - 경방(京房)
중국 전한(前漢) 때의 사상가. 양(梁) 나라 사람 초연수(焦延壽)에게서 역학(易學)을 배웠고, 재이사상(災異思想)에 밝았으며, 음률(音律)을 연구하여 현(絃)에 의한 음률측정기인 준(準)을 발명함으로써 60률을 산정함.
B.C.77~B.C.3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군모(君謨) - 채양(蔡襄)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역사에 밝으며 명필(名筆)로 이름남. 지간원(知諫院)ㆍ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군문(君文) - 가복(賈復)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장군. 등우(鄧禹)ㆍ경감(耿弇) 등과 함께 광무제를 보좌하여 후한을 건립하는 데 공훈을 세움. 도호장군(都護將軍)이 되고 교동후(膠東侯)에 봉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군미(君美)@홍언방 - 홍언방(洪彦邦)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둘째 아들로, 1502년(연산군 8)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언양 현감(彦陽縣監)ㆍ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군미(君美)@이직언 - 이직언(李直彦)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5대손으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를 강화도에 호종하여 척화를 주장했으며, 찬성(贊成) 등을 지냄. 유영건(柳永健)ㆍ이원익(李元翼) 등과 교유함.
1545~16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군미(君美)@이성언 - 이성언(李誠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좌찬성(左贊成) 이손(李蓀)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진위진향사(陳慰進香使)로 명(明) 나라에 갔다가 그곳에서 죽음.
?~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군미(君美) - 이경휘(李慶徽)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시발(李時發)의 아들.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서 《인조실록(仁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617~166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군미(君美)@이교 - 이교(李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황(李滉)의 조카로,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대흥 현감(大興縣監) 등을 지냄.
1534~15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군미(君美)@성군미 - 성군미(成君美)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완(成汝完)의 아버지로, 판도 총랑(版圖摠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군미국(軍彌國) - 곤양(昆陽)
경상남도 사천(泗川)ㆍ하동(河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상도>곤양 , 지명>행정지명
-
군미령공(君美令公) - 이직언(李直彦)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5대손으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를 강화도에 호종하여 척화를 주장했으며, 찬성(贊成) 등을 지냄. 유영건(柳永健)ㆍ이원익(李元翼) 등과 교유함.
1545~16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군방(君房)@후패 - 후패(侯覇)
중국 신(新)~후한(後漢) 때의 문신. 신 나라 때에 회평 대윤(淮平大尹)을 지내고 후한 초에 상서령(尙書令)을 지냄. 옛 제도에 정통하였고,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을 정리하였음.
?~37 중국>후한ㅣ중국>신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군방(君房) - 노우량(盧友良)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이며, 예문관 교리(藝文館校理)를 지낸 노분(盧昐)의 아들. 함양(咸陽)에서 부모의 상(喪)을 지키다 병으로 사망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군변(君變) - 문경호(文景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정인홍(鄭仁弘)의 문인. 임진왜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으로 활동하였으나, 김천 찰방(金泉察訪)으로 있을 때 스승을 배반했다 하여 삭탈관직을 당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군보(君保) - 강담(姜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정황(丁熿)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군보(君寶) - 강군보(姜君寶)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계림 판관(鷄林判官)을 지낸 강창귀(姜昌貴)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역임함.
?~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