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군보(君甫) - 남군보(南君甫)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의령남씨(宜寧南氏)의 시조(始祖).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제수받고 의령(宜寧)으로 관적(貫籍)하여 중시조(中始祖)가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군보(君輔) - 봉석주(奉石柱)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하음(河陰). 계유정난 때의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를 지냈으나, 탐욕스럽고 포악한 성품으로 여러 차례 탄핵을 받음.
?~14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군복(君復) - 박영(朴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부호군(副護軍) 박훈(朴塤)의 아들로, 1538년(중종 3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임당(林塘) 정유길(鄭惟吉)과 교유하였으며, 《임당유고(林塘遺稿)》에 관련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군복(君復)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군빙(君聘) - 윤응상(尹應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윤시우(尹時雨)의 아들이며, 윤안국(尹安國)의 아버지로, 학행(學行)으로 벼슬하여 수운판관(水運判官) 등을 지냄.
1547~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군사(君嗣) - 유덕승(劉德升)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서예가. 종요(鍾繇)와 호소(胡昭)의 스승으로, 행서체(行書体)의 대가로 일컬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군사(君四) - 유명악(兪命岳)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유척기(兪拓基)의 아버지로, 1705년(숙종 3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청주 목사(淸州牧使) 등을 지냄.
166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군산(群山) - 구굉(具宏)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구사맹(具思孟)의 아들이자 원종(元宗)의 비(妃)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오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능성부원군(綾城府院君)에 봉해짐.
1577~164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군생(群生) - 순평군(順平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두 번째 서자. 숙의기씨(淑儀奇氏)의 소생으로, 설존(薛存)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군서(君瑞)@구언령 - 구언령(具鶠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능성(綾城). 구겸(具謙)의 아들이며,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의 동생으로, 《백담집(栢潭集)》에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
-
군서(君瑞) - 홍이상(洪履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는 한편 왜장(倭將) 사이의 이간 계획을 추진함. 광해군 때 이이첨(李爾瞻) 일파에게 몰려 개성유후사 유후(開城留後司留後)로 좌천되어 그곳에서 죽음.
1549~16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군석(君奭) - 신익성(申翊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貞淑翁主)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의 척화오신(斥和五臣) 중 한 사람.
1588~164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군석(君錫)@송사침 - 송사침(宋士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훈도(訓導)를 지내고, 노수신(盧守愼)ㆍ조서(曺湑)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군석(君錫) - 방봉신(方逢辰)
중국 송(宋)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ㆍ학자. 방봉진(方逢振)의 형으로, 《교봉선생문집(蛟峰先生文集)》을 저술함.
1221~129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군석(君錫)@김우서 - 김우서(金禹瑞)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북병사(北兵使) 등을 지내고, 전라병영(全羅兵營)을 중창했으며, 〈전라병영중창기(全羅兵營重創記)〉가 양응정(梁應鼎)의 《송천유집(松川遺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군선(君善)@윤희길 - 윤희길(尹希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항(尹沆)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내고, 이이(李珥)ㆍ고경명(高敬命)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군선(君善) - 이숭경(李崇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전의(全義). 성균 생원(成均生員) 이정(李頲)의 아들로, 시(詩)와 초서(草書)에 뛰어났으며, 박순(朴淳)ㆍ임억령(林億齡)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함.
1510~15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문인
-
군설(君渫) - 방원정(房元井)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1646년(인조 24)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직강(直講)을 지냄.
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군수(君受)@홍하량 - 홍하량(洪河量)
조선 후기의 문인. 본관은 부림(缶林). 장사랑(將仕郞) 홍수약(洪守約)의 아들이고, 장흥효(張興孝)의 문인. 유진(柳袗)ㆍ김응조(金應祖)와 도의(道義)로 교유하였으며, 정구(鄭逑)가 독학군자(篤學君子)라고 칭찬함.
1588~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ㅣ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
-
군수(君受)@신경진 - 신경진(申景禛)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신립(申砬)의 아들이며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가담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평성군(平城君)에 봉해짐.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南漢山城)을 수비하고, 영의정(領議政)에 오름.
1575~164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