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군수(君受) - 서익(徐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문장과 도덕 등이 뛰어나 이이(李珥)ㆍ정철(鄭澈)로부터 지우(志友)로 인정받았으며, 의주 목사(義州牧使)를 지낼 때 탄핵당한 이이를 변호하다가 파직됨.
1542~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군수(君受)@서명응 - 서명응(徐命膺)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영의정 서명선(徐命善)의 형으로, 대제학을 거쳐 상신(相臣)에 오르고 봉조하(奉朝賀)에 이름. 역학(易學)에 정통한 실학(實學)의 대가로 북학파(北學派)의 비조(鼻祖)로 일컬어짐.
1716~178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군수(君壽) - 유팽로(柳彭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경안(柳景顔)의 아들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諭)를 지냈음. 임진왜란 때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금산(錦山) 전투에 참가하였다가 전사함.
1554~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옥과 , 인명>관인>문신
-
군수(君秀)@박문영 - 박문영(朴文楧)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1606년(선조 3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박이장(朴而章)이 덕천서원(德川書院)에 왔을 때 함께 원록(院錄)을 중수(重修)함.
1570~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ㅣ경상도>산음 , 인명>문사>유학
-
군수(君秀) - 탁난(卓蘭)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국학 진사(國學進士) 탁윤성(卓允成)의 아들로, 시랑(侍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군수(君粹) - 한온(韓蘊)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장흥 부사(長興府使)로서 전라 병마절도사(全羅兵馬節度使) 원적(元績)과 영암 군수(靈巖郡守) 이덕견(李德堅)과 함께 달량포(達梁浦)에 침입한 왜적에 맞서 싸우다가 전사함.
?~155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군수(君遂) - 박수량(朴守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태인(泰仁).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청렴결백하여 청백리에 뽑힘.
1491~15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문신
-
군승(君勝) - 공감(孔戡)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 공잠보(孔岑父)의 아들로, 공자(孔子)의 38대 손(孫). 대리평사(大理評事)를 지냈으며, 사훈원외랑(司勳員外郞)에 추증되었음. 한유(韓愈)가 지은 묘지(墓誌)가 있음.
754~81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군시(君始) - 유복기(兪復基)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기계(杞溪).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역임한 유언술(兪彦述)의 아버지로, 1696년(숙종 2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6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군식(君式) - 이홍준(李弘準)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금호(琴湖) 이시민(李時敏)의 아들이며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ㅣ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군신(君信) - 강홍립(姜弘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신(姜紳)의 아들로, 광해군(光海君) 때 명(明) 나라가 후금(後金)을 치기 위해 원병을 요청하자 오도도원수(五道都元帥)로 출정하여 패한 뒤 후금에 항복함.
1560~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군실(君實)@김약허 - 김약허(金若虛)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강진(康津)으로, 생원 김희윤(金希尹)의 아들.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문사>유학
-
군실(君實)@박지화 - 박지화(朴枝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정선박씨(旌善朴氏)의 시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해박하고 특히 기수학(氣數學)에 뛰어남.
1513~159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정선 , 인명>문사>학자
-
군실(君實)@이세화 - 이세화(李世華)@조선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평(富平). 이이재(李以載)의 아들로, 이희재(李熙載)에게 출계함.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내고, 1689년(숙종 15)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비설을 듣고 상소를 올렸으며, 청백리(淸白吏)에 선정됨.
1630~1701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군실(君實)@이천 - 이천(李蒨)@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첨의평리 상의(僉議評理商議)로 원(元) 나라에 가서 교사(郊赦)를 축하하고 돌아왔으며,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군실(君實)@안극성 - 안극성(安克誠)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군기시 판관(軍器寺判官)을 지낸 안한(安翰)의 아들. 1568년(선조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4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유학
-
군실(君實)@이여발 - 이여발(李汝發)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한천군(韓川君) 이의배(李義培)의 손자. 성품이 청렴하고 강직하였으며, 여러 도의 절도사(節度使)와 어영대장(御營大將) 등을 지냄.
1621~168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군실(君實)@유세무 - 유세무(柳世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예천 군수(醴泉郡守)를 역임하였으며, 권문해(權文海)ㆍ조목(趙穆)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군실(君實) - 박광영(朴光榮)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윤씨(廢妃尹氏)의 추숭(追崇)을 반대하다 목천(木川)으로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복직됨.
1463~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군실(君實)@사마광 - 사마광(司馬光)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구법당(舊法黨)의 영수로, 왕안석(王安石) 일파의 신법(新法)을 폐지하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함.
1019~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