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군실(君實)@김약허 - 김약허(金若虛)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강진(康津)으로, 생원 김희윤(金希尹)의 아들.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문사>유학
-
군실(君實)@박지화 - 박지화(朴枝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정선박씨(旌善朴氏)의 시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해박하고 특히 기수학(氣數學)에 뛰어남.
1513~159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정선 , 인명>문사>학자
-
군실(君實)@이세화 - 이세화(李世華)@조선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평(富平). 이이재(李以載)의 아들로, 이희재(李熙載)에게 출계함.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내고, 1689년(숙종 15)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비설을 듣고 상소를 올렸으며, 청백리(淸白吏)에 선정됨.
1630~1701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군실(君實)@이천 - 이천(李蒨)@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첨의평리 상의(僉議評理商議)로 원(元) 나라에 가서 교사(郊赦)를 축하하고 돌아왔으며,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군실(君實)@안극성 - 안극성(安克誠)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군기시 판관(軍器寺判官)을 지낸 안한(安翰)의 아들. 1568년(선조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4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유학
-
군실(君實)@이여발 - 이여발(李汝發)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한천군(韓川君) 이의배(李義培)의 손자. 성품이 청렴하고 강직하였으며, 여러 도의 절도사(節度使)와 어영대장(御營大將) 등을 지냄.
1621~168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군실(君實)@유세무 - 유세무(柳世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예천 군수(醴泉郡守)를 역임하였으며, 권문해(權文海)ㆍ조목(趙穆)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군실(君實) - 박광영(朴光榮)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윤씨(廢妃尹氏)의 추숭(追崇)을 반대하다 목천(木川)으로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복직됨.
1463~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군실(君實)@사마광 - 사마광(司馬光)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구법당(舊法黨)의 영수로, 왕안석(王安石) 일파의 신법(新法)을 폐지하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함.
1019~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군악(軍岳) - 용강(龍岡)
평안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명승지로 황룡산성(黃龍山城)ㆍ기자전(箕子殿)ㆍ오산서원(鰲山書院) 등이 있음.
평안도>용강 , 지명>행정지명
-
군안(君安) - 권전(權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장살(杖殺) 당함.
1490~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군엄(君嚴) - 공규(孔戣)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 공잠보(孔岑父)의 아들이며 공소보(孔巢父)의 조카로, 공자의 38대 손(孫). 간의대부(諫議大夫)일 때 이섭(李涉)을 탄핵하고 이소화(李少和)의 옥사를 판결하는 등 치적을 쌓아 명성이 높았음.
752~82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군영(君瑩) - 권겸(權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김해 부사(金海府使)ㆍ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군옥(君沃)@심열 - 심열(沈說)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부사용(副司勇) 심수원(沈粹源)의 아들로, 감찰(監察)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군옥(君沃) - 박계현(朴啓賢)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권신 윤원형(尹元衡)의 청혼을 거절하여 변방으로 좌천되었고,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의 당쟁을 제지하려 하였으나 실패함.
1524~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군옥(君玉)@유군옥 - 유군옥(兪君玉)
조선 전기의 유학. 정유길(鄭惟吉)의 《임당유고(林塘遺稿)》에, 그의 시에 차운(次韻)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군옥(君玉)@임구 - 임구(任球)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풍산군(豊山君) 임덕유(任德裕)의 아들로, 첨지문하부사(僉知門下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군옥(君玉)@방봉진 - 방봉진(方逢振)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방봉신(方逢辰)의 동생으로, 1262년(경정 3)에 진사로 입격하여 태부시 주부(太府寺主簿) 등을 지내다가 송 나라가 망하자 은거하며 석협서원(石峽書院)에서 강학함. 저서로 《산방집(山房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군옥(君玉)@홍천경 - 홍천경(洪千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임진왜란 때 김천일(金千鎰)의 진중에서 군량의 수집과 수송을 담당하고, 정유재란 때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의병모집의 격문을 작성하였으며, 중추부 첨지사(中樞府僉知事) 등을 지냄.
1553~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군옥(君玉) - 김온(金韞)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암(自庵) 김구(金絿)의 손자로, 1585년(선조 18) 별시(別試)에 합격하여 지평(持平) 등을 역임했고 임진왜란 때 목숨을 잃음.
1538~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