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군진(君陳)@정번 - 정번(鄭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23(중종 18) 별과(別科)에 합격하였으나 가문이 한미하다 하여 제명됨. 이문학관(吏文學官)에 보직(補職)하면서 이어(吏語)와 중국 관제(官制)에 대한 주석서 《이문제서집람(吏文諸書輯覽)》의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군집(君楫) - 유섭(柳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청주 목사(淸州牧使)로 왜적을 맞아 싸움.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군칙(君則) - 이동표(李東標)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운익(李雲翼)의 아들로,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화를 당한 박태보(朴泰輔) 등을 신구(伸救)하다가 양양 현감(襄陽縣監)으로 좌천되었으며, 낙향한 후 여러 번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644~17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군택(君擇) - 김곽(金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와서 별제(瓦署別提) 김언홍(金彦弘)의 아들. 외사촌 동생인 정황(丁熿)이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거제(巨濟)에 유배되어 있을 때 김곽에게 쓴 시(詩)가 《유헌집(游軒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군택(君澤) - 박윤경(朴潤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의(文義). 박세연(朴世延)의 아들로, 부제학(副提學) 등을 역임함.
147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문의 , 인명>관인>문신
-
군평(君平) - 엄준(嚴遵)
중국 전한(前漢) 말기의 학자. 《노자지귀(老子指歸)》의 저자로, 원래 성은 장씨(莊氏)였으나 명제(明帝)의 이름을 피휘하여 엄씨(嚴氏)로 고쳤다 함.
B.C.73~A.D.17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군평(君平)@정두경 - 정두경(鄭斗卿)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온양(溫陽). 이항복(李恒福)의 문인으로, 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을 지내고 대제학(大提學)에 추증됨.
1597~167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군필(君弼)@손천우 - 손천우(孫天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각재(覺齋) 하항(河沆) 등과 함께 덕천서원(德川書院)을 건립함.
1533~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군필(君弼) - 김성익(金聖翼)
조선 영조(英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김시찬(金是瓚)의 아버지로, 1756년(영조 3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7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군필(君弼)@김세준 - 김세준(金世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문경(金文卿)의 아들로,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목사(牧使)를 지냄. 조욱(趙昱)과 교유하여 관련 시편(詩篇)이 《용문집(龍門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군하(君夏) - 홍언광(洪彦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형(洪泂)의 아들.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백형(伯兄) 홍언필(洪彦弼)과 함께 진도(珍島)로 유배(流配)되었다가 풀려났으며, 도총부 경력(都摠府經歷) 등을 역임함.
1484~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군행(君行) - 김상기(金上琦)
고려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상서 좌복야(尙書左僕射) 김양(金陽)의 아들이며, 문성공(文成公) 김인존(金仁存)의 아버지. 1085년 송(宋) 나라에 다녀와서 국사를 편찬했으며, 태부(太傅) 등을 지냄.
1031~1112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군헌(君獻) - 박린(朴璘)@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공을 세워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도 의병으로 활약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군헌(君獻)@이장 - 이장(李璋)@이익번의아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익번(李益蕃)의 아들로, 호조 정랑(戶曹正郞) 등을 지냄. 중종 때 동래(東萊)에 유배되었다가 명종 때 정언(正言)으로 소환되는 도중 병으로 죽음.
1510~155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군형(君亨) - 신응회(辛應會)
조선 전기의 문인.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이 그와 관련하여 지은 시가 《백담집(栢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군호(君浩) - 이원(李源)@1501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조식(曺植)ㆍ이황(李滉)과 교유하면서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아니하고 평생을 학문연구에 바침.
1501~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
-
군회(君晦)@정염 - 정염(丁焰)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정황(丁熿)의 문인. 1560년(명종 1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내고,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현계서원(玄谿書院)에 배향됨.
1524~160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군회(君晦) - 안함(安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 때 파직되어 부친 안세형(安世亨)과 함께 유배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군회(君會) - 윤경희(尹景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윤남(尹柟)의 아들로, 1562년(명종 17) 별시 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신천 군수(信川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굴부자(屈夫子)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