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권(睠) - 유권(柳睠)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직제학(直提學)ㆍ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권(錈) - 강권(康錈)
조선 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신천(信川). 참의(參議)를 지낸 강수학(康邃學)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신천 , 인명>문사>유학
-
권각헌(倦殼軒) - 홍염(洪炎)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 홍붕(洪朋)ㆍ홍추(洪芻)와 아우 홍우(洪羽) 등과 함께 시문에 능하여 ‘사홍(四洪)’으로 불림. 저작랑(著作郞)ㆍ비서 소감(秘書少監) 등을 지내고, 저서로 《서도집(西渡集)》 등이 있음.
1067~113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권간(權幹) - 권홍(權弘)@1360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권균(權鈞)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등을 지냄. 문학에 뛰어났으며, 전서ㆍ예서에 능하여 헌릉(獻陵)ㆍ문묘(文廟)ㆍ기자사(箕子祠)의 비문을 씀.
1360~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거창(權居昌) - 권심언(權審言)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의흥 현감(義興縣監)을 지낸 야옹(野翁) 권의(權檥)의 아들로, 음서(蔭敍)로 거창 현감(居昌縣監) 등을 지냈으며, 아버지의 학덕을 받들기 위해 예천(醴泉)에 야옹정(野翁亭)을 지음.
1502~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경관(權景寬) - 권홍계(權弘啓)
조선 전기의 유학. 김륭(金隆)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권경수(權景受) - 권대기(權大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황(李滉)의 문인. 1552년(명종 7)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후학을 양성함.
1523~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권경유(權景由) - 권철(權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의 아버지. 영의정(領議政)을 지냈으며 복상(福相)으로 칭송됨.
1503~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권극중(權敬仲) - 권극례(權克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낸 권덕유(權德裕)의 아들로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으로 있을 때에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수에 참여하였고 대사성(大司成)과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함.
1531~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대수(權大手) - 권벽(權擘)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시문(詩文)이 뛰어나 명(明) 나라에 오가는 외교 문서를 전담하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20~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권도(權蹈) - 권제(權踶)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사》편찬에 참여하고, 정인지(鄭麟趾)ㆍ안지(安止)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음.
1387~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동계(權桐溪) - 권달수(權達手)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광흥창 주부(廣興倉主簿) 권림(權琳)의 아들. 1504년(연산군 10) 연산군의 생모 윤씨를 종묘에 모시는 것에 반대하다가 유배되고, 다시 압송되어 국문을 받던 중 옥사함.
146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두휘(權斗徽) - 권두굉(權斗紘)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유(權濡)의 아들이자, 창설재(蒼雪齋) 권두경(權斗經)의 아우이며, 병조 정랑(兵曹正郎)을 지낸 권만(權萬)의 아버지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668~174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권만취(權晩翠) - 권율(權慄)@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명장. 본관은 안동(安東).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6세손이자 영의정을 지낸 권철(權轍)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행주대첩(幸州大捷)을 승리로 이끎.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으로 추봉됨.
1537~15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권매당(權梅堂) - 권욱(權旭)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현감을 지낸 권심언(權審言)의 아들로 장흥고 봉사(長興庫奉事) 등을 지냈고, 정탁(鄭琢)과 함께 《심경(心經)》을 강론함.
1556~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권묵암(權默庵) - 권응정(權應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송인수(宋麟壽)ㆍ이언적(李彦迪)ㆍ노수신(盧守愼) 등과 함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의 배후로 지목되어 유배됨.
1498~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권문순(權文純) - 권상하(權尙夏)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ㆍ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이이(李珥)를 조종(祖宗)으로 하여 송시열에게 계승된 기호학파(畿湖學派)를 이끎.
1641~17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권문충(權文忠)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권사립(權士立) - 권기(權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권호문(權好文)의 문인(門人)으로, 김성일(金誠一)ㆍ유성룡(柳成龍)에게서도 배웠음. 육경(六經)에 통달하고, 예문(禮文)ㆍ법률ㆍ지리 등에도 박식했음.
1546~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권석주(權石洲) - 권필(權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정철(鄭澈)의 문인으로,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야인으로 일생을 살면서 많은 작품을 남김.
1569~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