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한귀(金漢貴)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청도(淸道).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경성(京城)을 수복한 공으로 일등공신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김한생(金漢生)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온양 군수(溫陽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서거정(徐居正)의 《사가문집(四佳文集)》에 그에 대한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한웅(金漢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제(金濟)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을 지냄.
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한진(金漢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공신. 흥왕사(興王寺)의 변(變) 때 김용(金鏞)을 토벌하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왕을 호종하고 경성(京城)을 수복한 공으로 일등공신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김해(金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김제신(金悌臣)의 아버지로, 내자시 윤(內資寺尹)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해(金垓)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광주(光州). 김부의(金富儀)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안동(安東) 등지에서 분전하다가 전사함.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었으며 문집《근시재집(近始齋集)》이 있음.
1555~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김해(金海)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대에 가락국(駕洛國)의 도읍지였음.
경상도>김해 , 지명>행정지명
-
김해(金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醴安). 영흥 도호부사 (永興都護府使) 김반천(金半千)의 아들.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내던 중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항전하다가 전사함.
1534~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해(金瀣)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청도 군수(淸道郡守)를 지낸 김덕붕(金德鵬)의 아버지로, 수성금화사 제검(修城禁火司提檢)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해김씨(金海金氏)
가야의 수로왕(首露王)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가야 , 경상도>김해 , 인명>집단>성씨
-
김해배씨(金海裵氏)
신라 초기의 육촌(六村) 중 금산가리촌(金山加利村)의 촌장인 지타(祗沱)를 도시조로 삼고, 고려 개국공신(開國功臣) 배현경(裵玄慶)의 현손인 배원룡(裵元龍)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상도>김해 , 인명>집단>성씨
-
김해허씨(金海許氏)
가야 수로왕(首露王)의 비(妃)인 보주태후(普州太后) 허황옥(許黃玉)의 35세손으로, 고려 때 가락군(駕洛君)에 봉해진 허염(許琰)을 시조로 하는 성씨. 허씨 중에 종통(宗統).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집단>성씨
-
김행(金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김국평(金國枰)의 아들이고, 백인걸(白仁傑)ㆍ성수침(成守琛)의 문인(門人). 사도시 정(司䆃寺正)과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냄. 글씨와 무예에도 뛰어났음.
1532~15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김헌윤(金憲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광천위(光川尉) 김인경(金仁慶)의 아버지.
149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헌창(金憲昌)
신라 헌덕왕(憲德王) 때의 왕족. 무열왕계인 아버지 김주원(金周元)이 내물왕계 귀족들의 반대로 왕위 계승에서 밀려나자 822년 공주(公州)에서 난을 일으켜 국호를 장안(長安), 연호를 경운(慶雲)이라 했다가 관군에 패하여 자살함.
?~822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김혁(金革)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백겸(金伯謙)의 아버지로, 행 통정대부(行通政大夫) 중화군 지사(中和郡知事)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현(金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도(淸道)로, 영릉 참봉(英陵參奉)을 지낸 김봉상(金鳳祥)의 아버지. 강이습독관(講肄習讀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김현(金鉉)
조선 전기의 유학. 유헌(游軒) 정황(丁熿)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현도(金玄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김여정(金汝鼎)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해주 목사(海州牧使) 재직 중 황해도 어사(黃海道御史) 김치(金緻)의 상소로 파직 당하였으나, 모함이었음이 드러나 복직되어 양재 찰방(良才察訪)을 지냄.
15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김현성(金玄成)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김해(金海).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두루 능하였으며, 숭인전비문(崇仁殿碑文) 등 서예 유작이 전해짐.
1542~16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