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귀곡(鬼谷) - 왕허(王詡)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종횡가(縱橫家). 장의(張儀)ㆍ소진(蘇秦) 등에게 종횡술(縱橫術)을 전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학자
-
귀곡자(鬼谷子) - 왕허(王詡)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종횡가(縱橫家). 장의(張儀)ㆍ소진(蘇秦) 등에게 종횡술(縱橫術)을 전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학자
-
귀남(貴南) - 이귀남(李貴南)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청평위(淸平尉) 한기(韓紀)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귀년(龜年) - 팽귀년(彭龜年)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와 장식(張栻)에게 수학하였으며,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역임함.
1142~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귀년(龜年) - 김귀년(金龜年)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부령(金富寧)의 아들로, 음관(蔭官)으로 출사하여 부장(部將)을 지냈으며, 형조 참의(刑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귀농(歸農) - 정약용(丁若鏞)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형원(柳馨遠)ㆍ이익(李瀷)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實學)을 집대성함. 주자(朱子) 성리학(性理學)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
1762~18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귀달(貴達)@남귀달 - 남귀달(南貴達)
조선 전기의 유학.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차황금계강선대운증남겸선귀달(次黃錦溪降仙臺韻贈南兼善貴達)〉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귀달(貴達) - 홍귀달(洪貴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성격이 강직하여 연산군 생모인 윤비(尹妃)의 폐출을 반대하다 투옥되었고, 손녀를 궁중에 들이라는 연산군의 명을 거역하여 경원(慶源)으로 유배 도중 교살(絞殺)됨.
143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귀덕(歸德)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귀덕군(歸德軍)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귀락당(歸樂堂) - 이만성(李晩成)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학문과 정치에 밝았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영암(靈巖)의 죽정서원(竹亭書院)에 제향됨.
1659~172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문신
-
귀락당(歸樂堂) - 오건(吳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조 좌랑으로 있으면서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여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521~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귀래(歸來)@귀거래사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귀래(歸來) - 신말주(申末舟)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공조 참판(工曹參判) 신장(申檣)의 아들이며 신숙주(申叔舟)의 동생으로, 대사간을 지냄. 단종이 폐위된 후에 벼슬에서 물러나 귀래정(歸來亭)을 짓고 산수를 즐김.
1429~150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ㅣ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귀래(歸來)@이굉 - 이굉(李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손자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김굉필(金宏弼)의 당여로 몰려 관직이 삭탈되었다가 중종반정 뒤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하고 안동(安東)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440~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귀래곡(歸來曲)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귀래당(歸來堂) - 임붕(林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를 구원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좌승지ㆍ경주 부윤ㆍ광주 목사 등을 지냈음.
1486~15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귀래부(歸來賦)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귀래사(歸來辭)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귀래인(歸來引)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