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귀수(龜壽) - 황귀수(黃龜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덕산(德山). 목사(牧使) 황린(黃璘)과 부윤(府尹) 황필(黃㻶)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문사>유학
-
귀여(貴與) - 마단림(馬端臨)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제도와 문물사(文物史)에 관한 백과사전인 《문헌통고(文獻通考)》를 저술함.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귀영(貴榮) - 김귀영(金貴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선조 때 평난공신(平難功臣)으로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봉해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임해군(臨海君)을 호종하고 피난 갔다가 왜군의 포로가 된 일로 희천(熙川)으로 유배되어 죽음.
1520~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귀온(貴溫) - 방귀온(房貴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천거되어 예조 좌랑(禮曹佐郞)ㆍ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됨.
146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귀요(貴瑤) - 심귀요(沈貴瑤)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방평(胡方平)의 스승으로 《주역(周易)》에 정통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귀용(龜容) - 이귀용(李龜容)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이언순(李彦淳)의 아버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귀우옹(歸愚翁) - 정백영(鄭伯英)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형인 정백웅(鄭伯熊)과 이름을 나란히 하였으며, 수주 판관(秀州判官)을 지냈으나 그만두고 종신토록 벼슬하지 않음. 저서에 《귀우옹집(歸愚翁集)》이 있음.
1130~119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귀우주인(歸愚主人)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귀유(貴由) - 정종(定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이며, 몽고 제국의 제2대 칸. 재위 1246~1248. 태종(太宗)의 장자로 어머니는 탈열가나가돈(脫列哥那可敦).
?~1248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귀의군(歸義君) - 왕우(王瑀)@공양왕의동생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종친. 신종(神宗)의 7대손이며 공양왕(恭讓王)의 아우. 조선 개국 후 왕씨 일족이 유폐될 때, 고려 왕조의 제사를 받들기 위해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귀인마씨(貴人馬氏) - 명덕마황후(明德馬皇后)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의 황후. 외척들이 정사(政事)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했으며, 검소하게 생활한 것으로 유명함.
?~7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귀인홍씨(貴人洪氏) - 희빈홍씨(熙嬪洪氏)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후궁.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운 정국공신(靖國功臣) 홍경주(洪景舟)의 딸.
1494~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귀일선사(歸一禪師) - 귀일상인(歸一上人)
고려 후기의 승려. 소나무와 전나무 그림을 잘 그림.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귀재절(鬼才絶) - 이하(李賀)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문장에 뛰어나 한유(韓愈)ㆍ황보식(皇甫湜) 등의 인정을 받았으나 요절함. 재주가 특출나고 초자연적 제재(題材)를 애용하여 ‘귀재(鬼才)’라 불렸으며, 〈장진주(將進酒)〉 등의 명작을 남김.
790~81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귀전부(歸田賦)@귀거래사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귀전음(歸田吟)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귀정(貴丁) - 이귀정(李貴丁)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증손으로,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귀정(貴正) - 남귀정(南貴正)
조선 전기의 유학. 중종반정(中宗反正) 때의 원종공신인 박기(朴基)의 장인으로, 수의부위(修義副尉)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귀주(龜州) - 귀성(龜城)
평안도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성종(成宗) 때 강동육주(江東六州)를 설치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며, 국방상의 요충지로 중시됨.
평안도>귀성 , 지명>행정지명
-
귀지(貴枝) - 이귀지(李貴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사재감 정(司宰監正)을 지낸 이희백(李希伯)의 아버지로, 풍저창 직장(豐儲倉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