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귀손(貴孫)@유귀손 - 유귀손(劉貴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거창(居昌).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지낸 유관(劉瓘)의 아버지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무신
-
귀손(貴孫) - 이귀손(李貴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아들이며, 풍무령(豊茂令) 이계손(李繼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왕실>종친
-
귀손(龜孫) - 강귀손(姜龜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강희맹(姜希孟)의 아들.
1450~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귀손(龜孫)@민귀손 - 민귀손(閔龜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민제인(閔齊仁)의 아버지. 이정은(李貞恩)ㆍ심정(沈貞) 등과 종유(從遊)하였고, 김굉필(金宏弼)에게 사사(師事)하였음.
1464~152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귀손(龜孫) - 이귀손(李龜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익산 군수(益山郡守)를 지낸 이순증(李順曾)의 아버지로, 선공감 봉사(繕工監奉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귀수(龜壽)@변귀수 - 변귀수(邊龜壽)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고려가 멸망하자 충절을 지킨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 한 명으로 전해짐.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귀수(龜壽)@송귀수 - 송귀수(宋龜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세량(宋世良)의 아들로, 효도와 우애가 깊었으며, 음서(蔭敍)로 종묘서 봉사(宗廟署奉事) 등을 역임함.
1497~153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귀수(龜壽) - 이귀수(李龜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한 번째 서자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귀수(龜壽)@신귀수 - 신귀수(辛龜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풍저창 수(豊儲倉守) 신우정(辛禹鼎)의 아들로, 철산 군수(鐵山郡守)ㆍ군자감 첨정(軍資監僉正)을 지냄.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이 지은 묘갈명(墓碣名)이 있음.
1484~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귀수(龜壽) - 황귀수(黃龜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덕산(德山). 목사(牧使) 황린(黃璘)과 부윤(府尹) 황필(黃㻶)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문사>유학
-
귀여(貴與) - 마단림(馬端臨)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제도와 문물사(文物史)에 관한 백과사전인 《문헌통고(文獻通考)》를 저술함.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귀영(貴榮) - 김귀영(金貴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선조 때 평난공신(平難功臣)으로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봉해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임해군(臨海君)을 호종하고 피난 갔다가 왜군의 포로가 된 일로 희천(熙川)으로 유배되어 죽음.
1520~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귀온(貴溫) - 방귀온(房貴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천거되어 예조 좌랑(禮曹佐郞)ㆍ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됨.
146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귀요(貴瑤) - 심귀요(沈貴瑤)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방평(胡方平)의 스승으로 《주역(周易)》에 정통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귀용(龜容) - 이귀용(李龜容)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이언순(李彦淳)의 아버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귀우옹(歸愚翁) - 정백영(鄭伯英)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형인 정백웅(鄭伯熊)과 이름을 나란히 하였으며, 수주 판관(秀州判官)을 지냈으나 그만두고 종신토록 벼슬하지 않음. 저서에 《귀우옹집(歸愚翁集)》이 있음.
1130~119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귀우주인(歸愚主人)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귀유(貴由) - 정종(定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이며, 몽고 제국의 제2대 칸. 재위 1246~1248. 태종(太宗)의 장자로 어머니는 탈열가나가돈(脫列哥那可敦).
?~1248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귀의군(歸義君) - 왕우(王瑀)@공양왕의동생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종친. 신종(神宗)의 7대손이며 공양왕(恭讓王)의 아우. 조선 개국 후 왕씨 일족이 유폐될 때, 고려 왕조의 제사를 받들기 위해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귀인마씨(貴人馬氏) - 명덕마황후(明德馬皇后)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의 황후. 외척들이 정사(政事)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했으며, 검소하게 생활한 것으로 유명함.
?~7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