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귀인홍씨(貴人洪氏) - 희빈홍씨(熙嬪洪氏)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후궁.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운 정국공신(靖國功臣) 홍경주(洪景舟)의 딸.
1494~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귀일선사(歸一禪師) - 귀일상인(歸一上人)
고려 후기의 승려. 소나무와 전나무 그림을 잘 그림.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귀재절(鬼才絶) - 이하(李賀)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문장에 뛰어나 한유(韓愈)ㆍ황보식(皇甫湜) 등의 인정을 받았으나 요절함. 재주가 특출나고 초자연적 제재(題材)를 애용하여 ‘귀재(鬼才)’라 불렸으며, 〈장진주(將進酒)〉 등의 명작을 남김.
790~81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귀전부(歸田賦)@귀거래사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귀전음(歸田吟)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귀정(貴丁) - 이귀정(李貴丁)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증손으로,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귀정(貴正) - 남귀정(南貴正)
조선 전기의 유학. 중종반정(中宗反正) 때의 원종공신인 박기(朴基)의 장인으로, 수의부위(修義副尉)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귀주(龜州) - 귀성(龜城)
평안도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성종(成宗) 때 강동육주(江東六州)를 설치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며, 국방상의 요충지로 중시됨.
평안도>귀성 , 지명>행정지명
-
귀지(貴枝) - 이귀지(李貴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사재감 정(司宰監正)을 지낸 이희백(李希伯)의 아버지로, 풍저창 직장(豐儲倉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귀천(歸川) - 김좌명(金佐明)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영의정 김육(金堉)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영의정(領議政)ㆍ청릉부원군(淸陵府院君)에 추증되고, 현종의 묘정에 배향(配享)됨.
1616~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귀천(歸泉) - 서명선(徐命善)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이조 참판(吏曹參判) 때 세손(世孫)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는 홍인한(洪麟漢) 일파를 탄핵하여 정조의 즉위에 공헌하였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728~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귀천군(龜川君) - 이수(李睟)
조선 후기의 종친. 덕양군(德陽君) 이기(李歧)의 손자이며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 이후 《선원록(璿源錄)》의 보수에 참여하고, 1617년(광해군 9)에 종친을 모아 이이첨(李爾瞻)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仁祖)를 호종함.
1569~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귀천부정(龜川副正) - 이수(李睟)
조선 후기의 종친. 덕양군(德陽君) 이기(李歧)의 손자이며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 이후 《선원록(璿源錄)》의 보수에 참여하고, 1617년(광해군 9)에 종친을 모아 이이첨(李爾瞻)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仁祖)를 호종함.
1569~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귀천수(龜川守) - 이수(李睟)
조선 후기의 종친. 덕양군(德陽君) 이기(李歧)의 손자이며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 이후 《선원록(璿源錄)》의 보수에 참여하고, 1617년(광해군 9)에 종친을 모아 이이첨(李爾瞻)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仁祖)를 호종함.
1569~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귀하(貴河) - 채귀하(蔡貴河)
고려 후기의 문신. 상서(尙書) 채원길(蔡元吉)의 아들로, 인천채씨(仁川蔡氏)의 중시조. 호조 전서(戶曹典書)를 지내다가 조선이 건국되자 충절을 지키며 두문동(杜門洞) 72현 중 한 사람이 됨. 정몽주(鄭夢周)와 친교(親交)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ㅣ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귀해(貴海) - 홍귀해(洪貴海)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홍익생(洪益生)의 아들로,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상도 수군절도사(慶尙道水軍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귀형(貴亨) - 강귀형(康貴亨)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절충장군(折衝將軍)을 지낸 강희철(康希哲)의 아버지로, 충순위 전력부위(忠順衛展力副尉)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귀형부(鬼刑部) - 종경무(宗經茂)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 대마도(對馬島)의 도주(島主). 종조국(宗助國)의 아들이며, 종뇌무(宗賴茂)의 아버지. 무등씨(無藤氏)를 배경으로 기반을 닦고 고려와 통교(通交)하였으며, 대마도에 법제(法制)를 베풀고 두량(斗量)을 제정함.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귀화(貴和) - 방귀화(房貴和)
조선 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수운 판관(水運判官) 방순문(房恂文)의 아들로, 부사맹(副司猛)과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귀후(歸厚) - 김순(金恂)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방경(金方慶)의 넷째 아들. 1312년(충선왕 4)에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졌으며,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오름. 성격이 관후(寬厚)하고 예서(隷書)를 잘 썼으며, 거문고와 퉁소를 즐김.
1258~132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