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규(圭) - 왕규(王圭)
고려 태조(太祖)의 손자. 목종(穆宗)의 비(妃)인 선정왕후(宣正王后)의 아버지.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규(奎) - 홍규(洪奎)
고려 충숙왕(忠肅王)의 국구(國舅). 본관은 남양(南陽). 명덕태후(明德太后)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서 귀환하는 원종을 임유무(林惟茂) 등이 배척하자 처단하였으며, 후에 정안공신(安定功臣)에 책록되고, 상의첨의도감사(商議僉議都監事) 등을 지냄.
?~131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규(奎)@윤규 - 윤규(尹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1531년(중종 2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나, 천성이 자연을 좋아하여 출사하지 않고 고령(高靈)의 죽연정(竹淵亭)에서 심성을 도야함.
1500~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규(奎)@민규 - 민규(閔奎)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감찰(監察)ㆍ한림(翰林) 민오(閔悟)의 아들이며, 정자(正字) 민선(閔瑄)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규(戣) - 공규(孔戣)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 공잠보(孔岑父)의 아들이며 공소보(孔巢父)의 조카로, 공자의 38대 손(孫). 간의대부(諫議大夫)일 때 이섭(李涉)을 탄핵하고 이소화(李少和)의 옥사를 판결하는 등 치적을 쌓아 명성이 높았음.
752~82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규(戣)@김규 - 김규(金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희천(熙川). 의주 목사(義州牧使) 김백순(金伯醇)의 아들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냄.
1531~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揆) - 이규(李揆)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의 아들. 우대언(右代言)ㆍ첨의 참리(僉議參理) 등을 지내고, 충혜왕의 묘정(廟廷)에 배향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규(珪) - 왕규(王珪)@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ㆍ종친.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 홍지(洪智)의 장인이며 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홍경손(洪敬孫)의 외조부. 고려의 왕족으로서 중대광(重大匡)에 오르고, 수연대군(壽延大君)으로 불림.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규(珪)@이규 - 이규(李珪)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5세손이며, 함라수(咸羅守) 이효원(李孝元)의 첫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규(珪)@윤규 - 윤규(尹珪)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윤승례(尹承禮)의 아들로, 태종 때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불충을 질타하는 상소를 올리고, 경승부 윤(敬承府尹) 등을 지냄.
1365~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규(珪)@공규 - 공규(公珪)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김포(金浦). 공자유(公子由)의 아들로, 홍문관 저작(弘文館著作) 등을 역임하였고, 시문(詩文)에 능하였음.
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珪)@한규 - 한규(韓珪)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태종이 왕위에 오르는 데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중군절제사(中軍節制使) 등을 역임함.
?~141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규(珪)@당 - 왕규(王珪)@당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왕승변(王僧辯)의 손자로, 고조(高祖) 때 태자중사인(太子中舍人)이 되어 이건성(李建成)을 보필하였으나, 이건성이 피살된 후 태종(太宗)이 즉위하자 재기용되어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571~63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규(葵) - 박규(朴葵)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의정(左議政) 박은(朴訔)의 아들이며, 홍주 판관(洪州判官) 박병균(朴秉鈞)의 아버지로,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냄.
?~14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규(虯) - 김규(金虯)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선위사(宣慰使)로 동래(東萊)에 있을 때 윤원형(尹元衡) 등의 무고로 체포되어 경원(慶源)에 8년간 유배된 뒤 풀려나 경상도 암행어사(慶尙道暗行御史)를 지냄.
1522~156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규(規)@유규 - 유규(柳規)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광(靈光). 익대공신(翊戴功臣) 유자광(柳子光)의 아버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01~14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규(規) - 왕규(王規)
고려 태조(太祖)~혜종(惠宗) 때의 문신. 태조 왕건(王建)을 받들어 대광(大匡)에 이르고, 두 딸을 태조의 비로 들인 왕실의 외척으로서 막강한 정치권력을 장악함. 외손자를 왕위에 앉히고자 모반을 꾀하다가 혜종에게 죽임을 당함.
?~94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규(規)@곽규 - 곽규(郭規)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곽득하(郭得賀)의 아들로, 1474년(성종 5)에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함. 포산군(苞山君) 곽부(郭郛)의 현손(玄孫)으로 창녕 현감(昌寧縣監) 등을 역임함.
1445~15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규(規)@배규 - 배규(裵規)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문장이 탁월하여 관서(關西)의 공자(孔子)라 일컬어짐.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규(規)@안규 - 안규(安規)
고려 후기의 문신.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稿)》에 충숙왕(忠肅王) 복위(復位) 5년에 채홍철(蔡洪哲)과 함께 과거 시험을 관장한 기록이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