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규보(奎甫)@박종문 - 박종문(朴宗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경주 판관(慶州判官)을 지낸 박적(朴勣)의 아들. 청송(聽松) 성수침(成守琛)의 문인으로, 이이(李珥)ㆍ성혼(成渾)과 교유함.
1512~15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규보(奎甫) - 박한(朴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흥(義興). 박준(朴峻)의 아들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규보(奎甫)@박형문 - 박형문(朴衡文)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제함(朴悌諴)의 아들로,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만년에 낙향하여 후진을 양성함.
142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규복(圭復) - 유용근(柳庸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유빈(柳濱)의 아들.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지목되어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진원(珍原)에 유배됨.
1485~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규봉(圭峯)@구봉령 - 구봉령(具鳳齡)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혼천의기(渾天儀記)》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음.
152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규봉(圭峯) - 동월(董越)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조선 성종(成宗) 때 우리나라에 사신으로 왔다가 돌아가서 조선의 풍토(風土)를 부(賦)로 읊은 《조선부(朝鮮賦)》를 지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규부(赳夫)@박겸무 - 박겸무(朴兼武)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수안 군수(遂安郡守) 박준산(朴峻山)의 아들로, 1498년(연산군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규부(赳夫) - 박한(朴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흥(義興). 박준(朴峻)의 아들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규송(奎宋) - 송(宋)
중국의 통일 왕조. 조광윤(趙光胤)이 오대(五代) 후주(後周)의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국가. 개봉(開封)에 도읍했던 북송(北宋) 시대와 정강(靖康)의 변(變) 때 임안(臨安)으로 천도한 이후의 남송(南宋) 시대로 구분됨.
960~1277 중국>송 , 중국 , 시간>국명
-
규수(奎宿) - 규성(奎星)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열다섯째 별자리에 있는 별. 굴곡이 문자 획과 비슷해 문운(文運)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이것이 밝으면 천하가 태평하다고 전함.
자연물>천체
-
규숙(圭叔) - 왕사기(王士琦)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사천 안찰부사(四川按察副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흠차어왜서로감군(欽差禦倭西路監軍)으로 참전하여 유정(劉綎)ㆍ진린(陳璘) 등을 지휘하면서 활약함.
1551~161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규암(圭庵)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암(圭菴)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암상공(圭菴相公)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암선생문집(圭菴先生文集) - 규암집(圭菴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송인수(宋麟壽)의 시문집. 13대손 송태헌(宋台憲)등이 유고를 모아 정정(訂正)하고 송병선(宋秉璿)이 편집 정리하여 4권 2책으로 간행함.
1907 한국>근대 , 문헌>서명
-
규암송자(圭菴宋子)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양(葵陽) - 정규양(鄭葵陽)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오천(烏川). 이현일(李玄逸)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경사(經史)와 정치 등에 두루 통달함. 학행으로 천거되어 현릉 참봉(顯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사퇴하고 후진 양성에 힘씀.
1667~17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규어(嬀圉) - 문공(文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제후. 재위 B.C.754~B.C.745. 평공(平公)의 아들이며, 환공(桓公)과 여왕(厲王)의 아버지로, 평공을 계승하여 진 나라의 제후가 됨.
?~B.C.7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규옹(圭翁)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용(圭容) - 안규용(安圭容)
한말의 성리학자. 본관은 죽산(竹山). 송병선(宋秉璿)ㆍ송병순(宋秉珣)의 문인으로, 죽곡정사(竹谷精舍)를 짓고 강학하면서 성리서(性理書)를 집필하였으며, 박광전(朴光前)의 《죽천집(竹川集)》 삼간(三刊) 때 발문(跋文)을 지음.
1873~1959 한국>근대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