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규암(圭庵)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암(圭菴)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암상공(圭菴相公)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암선생문집(圭菴先生文集) - 규암집(圭菴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송인수(宋麟壽)의 시문집. 13대손 송태헌(宋台憲)등이 유고를 모아 정정(訂正)하고 송병선(宋秉璿)이 편집 정리하여 4권 2책으로 간행함.
1907 한국>근대 , 문헌>서명
-
규암송자(圭菴宋子)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양(葵陽) - 정규양(鄭葵陽)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오천(烏川). 이현일(李玄逸)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경사(經史)와 정치 등에 두루 통달함. 학행으로 천거되어 현릉 참봉(顯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사퇴하고 후진 양성에 힘씀.
1667~17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규어(嬀圉) - 문공(文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제후. 재위 B.C.754~B.C.745. 평공(平公)의 아들이며, 환공(桓公)과 여왕(厲王)의 아버지로, 평공을 계승하여 진 나라의 제후가 됨.
?~B.C.7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규옹(圭翁)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규용(圭容) - 안규용(安圭容)
한말의 성리학자. 본관은 죽산(竹山). 송병선(宋秉璿)ㆍ송병순(宋秉珣)의 문인으로, 죽곡정사(竹谷精舍)를 짓고 강학하면서 성리서(性理書)를 집필하였으며, 박광전(朴光前)의 《죽천집(竹川集)》 삼간(三刊) 때 발문(跋文)을 지음.
1873~1959 한국>근대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학자
-
규은봉(圭隱峯) - 이중안(李仲安)
조선 전기의 유학. 유방선(柳方善)의 《태재집(泰齋集)》에 그에게 보낸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규인(珪仁) - 한규인(韓珪仁)
고려 후기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안변(安邊). 한경(韓卿)의 아버지로, 손녀인 신의왕후(神懿王后)가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로 책봉되자 익조공신(翊祚功臣)에 추록되고,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규일(葵日) - 육가교(陸可敎)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있는 《조천록(朝天錄)》에 그가 쓴 서문이 실려 있음.
154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규장각일기(奎章閣日記)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조선시대에 승정원(承政院)에서 매일 취급한 문서(文書)와 사건을 기록한 일기. 원래 조선 개국 초부터 일기가 있었으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소실되어 1623년(인조 1)부터 1894년(고종 31)까지 270여 년간의 일기만이 현존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문헌>서명
-
규재(圭齋) - 구양현(歐陽玄)
중국 원(元) 나라 인종(仁宗)~순제(順帝) 때의 문신ㆍ학자.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내고, 《경세대전(經世大典)》ㆍ《사조실록(四朝實錄)》을 편찬하였으며, 《요사(遼史)》ㆍ《금사(金史)》ㆍ《송사(宋史)》의 찬수 총재관(撰修總裁官)을 맡음.
1273~135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규저구(嬀杵臼) - 선공(宣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왕. 재위 B.C.692~B.C.648. 환공(桓公)의 아들이자 장공(莊公)의 아우이며 목공(穆公)의 아버지. 총희(寵姬)가 낳은 아들 관(款)을 왕으로 세우기 위해 태자(太子)인 어구(禦寇)를 죽임.
?~B.C.64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규정(葵亭) - 강은(姜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기묘명현(己卯名賢)으로, 노후에는 김안국(金安國)과 학문을 강론하며 여생을 보냄.
1487~155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규정(葵亭)@조위 - 조위(曺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조계문(曺繼門)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김일손(金馹孫)이 준 사초(史草)를 실록(實錄)에 기록한 일로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54~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규창(奎昌) - 송규창(宋奎昌)
조선 후기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규포(嬀鮑) - 환공(桓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제후. 재임 중에 내란으로 인해 태자 면(太子免)과 함께 피살되어 그 동생인 진타(陳佗)가 국왕에 오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규해(規解) - 백록동규해(白鹿洞規解)
조선 전기의 학자 박영(朴英)이 중국 송(宋) 나라 주희(朱熹)가 세운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의 학규(學規)에 대하여 자세하게 풀이한 글.
1518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