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균(均)@정균 - 정균(鄭均)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봉화(奉化).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인 정운경(鄭云敬)의 아버지로,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무신
-
균(均)@최균 - 최균(崔均)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전주최씨(全州崔氏) 일파(一派)의 시조. 내시 낭중(內侍郞中) 등을 지내고, 조위총(趙位寵)의 난을 진압하던 중 적장에게 살해됨. 아들 최보순(崔甫淳) 등의 현달로 상서 좌복야(尙書左僕射)에 추증됨.
?~117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균(稛) - 김균(金稛)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조선 개국공신의 한 사람으로 계림군(鷄林君)에 봉해짐.
1341~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균(筠) - 허균(許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유성룡(柳成龍)ㆍ이달(李達)의 문인. 이이첨(李爾瞻)과 결탁하여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였으며, 반란을 계획하다 탄로되어 참수형을 당함. 명문장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인 《홍길동전(洪吉童傳)》을 씀.
1569~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균(鈞)@김온의아버지 - 김균(金鈞)@김온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지평(持平)을 지낸 김온(金韞)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균(鈞)@조선 - 권균(權鈞)@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491년(성종 2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책록됨.
1464~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균(鈞)@김성휘의아버지 - 김균(金鈞)@김성휘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지낸 김성휘(金成輝)의 아버지로, 병절교위(秉節校尉)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균(鈞) - 서균(徐鈞)
고려 성종(成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서희(徐熙)의 증손(曾孫)으로, 판장작감사(判將作監事) 등을 역임함.
1060~113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균(鈞)@고려 - 권균(權鈞)@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현복군(玄福君) 권렴(權廉)의 아들이자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낸 권홍(權弘)의 아버지로, 전공판서(典工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균(鈞)@고려조균 - 조균(趙鈞)@고려
고려 말의 유학. 김수(金隨)의 형인 김규(金糾)의 외손(外孫)이며 이색(李穡)이 지어 준 시(詩)가 《목은시고(牧隱詩稿)》에 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균(鈞)@조선조균 - 조균(趙鈞)@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주(楊州). 1522년(중종 17)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균구(筠舅) - 이문량(李文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평릉도 찰방(平陵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웃에 살던 이황(李滉)과 가깝게 지내며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함.
1498~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균로(筠老) - 김기보(金箕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아갔으며, 품성이 충간(忠簡)하고 문장이 뛰어남.
1531~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균리(筠里) - 송희경(宋希璟)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역임하였고, 회례사(回禮使)가 되어 일본(日本)을 왕래함.
1376~14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균재(筠齋) - 박흥생(朴興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자수(金子粹)의 문인으로 창평 현령(昌平縣令)을 지냈으나, 친상(親喪)을 당해 낙향한 뒤 학문에 전념함.
1374~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균정(均亭) - 강회백(姜淮伯)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준(趙浚)ㆍ정도전(鄭道傳) 등을 탄핵하다가 유배되었으나, 조선이 건국된 뒤 동북면도순문사(東北面都巡問使)를 지냄.
1357~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균천(勻天) - 균천광악(鈞天廣樂)
진 목공(秦穆公)이 꿈에 상제(上帝)가 있는 곳에 가서 여러 신선들과 균천광악을 듣고 즐거워하며 감동을 받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천상(天上)에서 연주하는 미묘한 음악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균천(鈞天) - 균천광악(鈞天廣樂)
진 목공(秦穆公)이 꿈에 상제(上帝)가 있는 곳에 가서 여러 신선들과 균천광악을 듣고 즐거워하며 감동을 받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천상(天上)에서 연주하는 미묘한 음악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균천악(鈞天樂) - 균천광악(鈞天廣樂)
진 목공(秦穆公)이 꿈에 상제(上帝)가 있는 곳에 가서 여러 신선들과 균천광악을 듣고 즐거워하며 감동을 받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천상(天上)에서 연주하는 미묘한 음악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균천주악(鈞天奏樂) - 균천광악(鈞天廣樂)
진 목공(秦穆公)이 꿈에 상제(上帝)가 있는 곳에 가서 여러 신선들과 균천광악을 듣고 즐거워하며 감동을 받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천상(天上)에서 연주하는 미묘한 음악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기타>가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