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형(金泂)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맹함(金孟諴)의 아들로,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정언(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형(金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응남(金應南)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김형(金逈)
조선 전기의 은사(隱士). 본관은 광주(光州)로, 칠촌(漆村) 김충남(金忠南)의 아들.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의 문인(門人)으로, 문장과 덕행이 뛰어났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은자
-
김혜(金譓)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김소석(金召奭)의 아들로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문사>유학
-
김혜손(金惠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공부하였으며,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군수(郡守)를 지냄.
?~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호(金灝)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군기시 정(軍器寺正)을 지낸 김제민(金齊閔)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김호(金鎬)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진산 군수(珍山郡守)를 지낸 김종윤(金宗胤)의 아들. 문음(門蔭)으로 와서 별제(瓦署別提)에 보임된 후 지례 현감(知禮縣監) 등을 역임함.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썼고 역서(易筮)에 통달함.
1505~156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호생(金浩生)
조선 전기의 유학. 붓을 만드는 데 종사하면서 많은 유림(儒林)들과 교유하였으며, 신장(申檣)ㆍ신숙주(申叔舟) 부자와 교분을 쌓음. 신숙주의 《보한재집(保閑齋集)》에 그에게 보낸 여러 편의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호수(金虎秀)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사위. 양성 현감(陽城縣監)ㆍ용담 현령(龍潭縣令)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혼(金琿)
고려 고종(高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경손(金慶孫)의 아들로, 판삼사사(判三司事) 등을 지냈으며, 추성익대공신(推誠翊戴功臣)에 책록되고,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짐.
1239~131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홍(金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김익견(金益堅)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진주 목사(晉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홍(金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세진(金世震)의 아들로,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홍근(金弘根)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안동김씨의 세도를 배경으로 진급을 거듭하여 관직이 좌의정(左議政)에 이름.
1788~18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홍도(金弘度)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김로(金魯)의 아들. 글씨와 그림에 뛰어났으며,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 때 윤원형(尹元衡)에 의해 갑산(甲山)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1524~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김홍미(金弘微)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낸 김범(金範)의 아들이며, 조식(曺植)과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 이조 좌랑(吏曹佐郞) 재직 중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파면됨. 뒤에 복관되어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1557~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홍민(金弘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낸 김범(金範)의 아들. 삼사(三司)를 거쳐 전한(典翰) 등을 역임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모아 상주(尙州)에서 적의 통로를 막아 적군이 통행로를 우회하게 하는 공을 세움.
1540~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홍서(金弘緖)
조선 후기의 문신. 시정(寺正)을 지냄. 임진왜란 때 의병에 참가한 형 김홍업(金弘業)에 대한 〈행록(行錄)〉을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김홍업(金弘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임진왜란이 일어나 의병을 모집하는 박광전(朴光前)을 찾아간 사실이《죽천집(竹川集)》에 전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김홍우(金弘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효원(金孝元)ㆍ김이원(金履元)의 아버지. 영유 현령(永柔縣令)을 지냈으며 좌찬성(左贊成)에 증직(贈職)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홍윤(金弘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극핍(金克愊)의 아들.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가들을 탄핵하다 파직당하기로 함.
1499~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