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균헌(筠軒) - 김영돈(金永暾)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무신. 김방경(金方慶)의 손자로 조적(曺頔)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이 됨.
1285~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균헌(筠軒)@이문량 - 이문량(李文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평릉도 찰방(平陵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웃에 살던 이황(李滉)과 가깝게 지내며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함.
1498~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귤강광(橘康光) - 귤강광(橘康廣)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명으로 일본국 왕사(日本國王使)가 되어 1587년(조선 선조 20) 조선으로 와서 일본 국내사정의 변화를 설명하고 통신사의 파견을 요청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귤로(橘老)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귤로(橘老)@윤구 - 윤구(尹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었다가 복직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귤로(橘虜) - 귤강광(橘康廣)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명으로 일본국 왕사(日本國王使)가 되어 1587년(조선 선조 20) 조선으로 와서 일본 국내사정의 변화를 설명하고 통신사의 파견을 요청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귤림원(橘林院) - 귤림서원(橘林書院)
조선시대 제주(濟州)에 건립한 서원. 선조(宣祖) 때 제주 판관 조인준(趙仁俊)이 김정(金淨)을 추모하여 충암묘(冲菴廟)를 건립하고, 숙종(肅宗) 때 귤림서원(橘林書院)으로 사액됨. 김정ㆍ정온(鄭蘊)ㆍ송시열(宋時烈) 등을 배향함.
15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귤수(橘叟) - 윤구(尹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었다가 복직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귤실(橘室) - 차천로(車天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낸 차식(車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한시(漢詩)에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최립(崔岦)의 문장과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이라 불림.
1556~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귤옥(橘屋) - 윤광계(尹光啓)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으로, 윤화중(尹和中)의 아들이고, 조헌(趙憲)의 문인(門人). 공조 좌랑(工曹佐郞) 등을 지내고, 저서로 《귤옥집(橘屋集)》이 있음.
155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낙안 , 인명>관인>문신
-
귤옥졸고(橘屋拙稿) - 귤옥집(橘屋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윤광계(尹光啓)의 시문집. 1676(숙종 29) 증손인 윤승후(尹承厚)ㆍ윤천후(尹天厚) 형제가 김수항(金壽恒)에게 부탁하여 유고를 산정, 편집했던 것을 윤정은(尹正殷)이 간행함.
1829 한국>근대 , 문헌>서명
-
귤왜(橘倭) - 귤지정(橘智正)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덕천가강(德川家康)의 명으로 국서를 가지고 와 조선과 국교를 요청함.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귤우(橘宇) - 신변(申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병조 좌랑(兵曹佐郞)이 되었을 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동생 신철(申哲)이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었을 때 누명을 쓰고 처형당함.
1470~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귤우정(橘宇亭) - 신변(申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병조 좌랑(兵曹佐郞)이 되었을 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동생 신철(申哲)이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었을 때 누명을 쓰고 처형당함.
1470~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귤정(橘井) - 소탐(蘇耽)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선인(仙人). 인효(仁孝)로 널리 알려졌으며 득도하여 승천하기 전에 모친에게 미래에 닥칠 전염병에 대한 비방(秘方)을 알려 주어 백성을 구제하게 했다는 전설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귤정(橘亭) - 윤구(尹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었다가 복직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귤천(橘泉) - 진득(陳得)
중국 명(明) 나라의 역승(驛丞). 산해관(山海關) 천안역(遷安驛)의 역승(驛丞)을 지냄. 홍귀달(洪貴達)의 《허백정집(虛白亭集)》에 그에게 준 시가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극(▼(亻+克)) - 문극(文▼(亻+克))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문다성(文多省)의 아들로,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극(克) - 김극(金克)
조선 전기의 유학.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그에 대한 만사(挽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극가(克家) - 안극가(安克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탐진(耽津)으로, 찰방(察訪) 안기(安沂)의 아들. 이정(李楨)의 문인으로, 삼가 현감(三嘉縣監) 등을 지냄. 호호정(浩浩亭)을 짓고 경전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씀.
1547~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