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귤왜(橘倭) - 귤지정(橘智正)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덕천가강(德川家康)의 명으로 국서를 가지고 와 조선과 국교를 요청함.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귤우(橘宇) - 신변(申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병조 좌랑(兵曹佐郞)이 되었을 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동생 신철(申哲)이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었을 때 누명을 쓰고 처형당함.
1470~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귤우정(橘宇亭) - 신변(申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병조 좌랑(兵曹佐郞)이 되었을 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동생 신철(申哲)이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었을 때 누명을 쓰고 처형당함.
1470~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귤정(橘井) - 소탐(蘇耽)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선인(仙人). 인효(仁孝)로 널리 알려졌으며 득도하여 승천하기 전에 모친에게 미래에 닥칠 전염병에 대한 비방(秘方)을 알려 주어 백성을 구제하게 했다는 전설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귤정(橘亭) - 윤구(尹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었다가 복직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귤천(橘泉) - 진득(陳得)
중국 명(明) 나라의 역승(驛丞). 산해관(山海關) 천안역(遷安驛)의 역승(驛丞)을 지냄. 홍귀달(洪貴達)의 《허백정집(虛白亭集)》에 그에게 준 시가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극(▼(亻+克)) - 문극(文▼(亻+克))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문다성(文多省)의 아들로,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극(克) - 김극(金克)
조선 전기의 유학.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그에 대한 만사(挽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극가(克家) - 안극가(安克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탐진(耽津)으로, 찰방(察訪) 안기(安沂)의 아들. 이정(李楨)의 문인으로, 삼가 현감(三嘉縣監) 등을 지냄. 호호정(浩浩亭)을 짓고 경전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씀.
1547~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극감(克堪) - 이극감(李克堪)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형조 판서 등을 지냄. 신숙주(申叔舟)와 함께 《국조보감(國朝寶鑑)》ㆍ《북정록(北征錄)》 등을 편찬함.
1427~14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극강(克綱) - 이극강(李克綱)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운산군(雲山君) 이계(李誡)의 증손. 1564년(명종 19)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534~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극개(克愷) - 김극개(金克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참의(參議)를 지낸 김헌윤(金憲胤)의 아버지. 형조 참판(刑曹參判)으로 있을 때 작서사건(灼鼠事件)에 연루되어 탄핵을 받고 관직이 삭탈됨.
14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극건(克鍵) - 김극건(金克鍵)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영흥 부사(永興府使) 김효원(金孝元)의 아들로, 통천 군수(通川郡守)를 지냄.
1569~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극검(克儉) - 김극검(金克儉)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성품이 청렴결백하고, 《세조실록(世祖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ㆍ《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호조 참판(戶曹參判)ㆍ동중추부사(同中樞府事) 등을 지냄.
1439~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극견(克堅) - 이극견(李克堅)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장단 부사(長湍府使)를 지낸 이반(李攀)의 아버지로,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극겸(克謙) - 문극겸(文克謙)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 문공유(文公裕)의 아들. 중서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등을 지내고, 명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됨.
1122~118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극경(克敬) - 정극경(丁克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불우헌(不憂軒) 정극인(丁克仁)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극공(克恭) - 하흠(賀欽)
중국 명(明)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학자. 호과 급사중(戶科給事中)을 역임한 뒤 낙향하여 진헌장(陳獻章)에게 수학하며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저서에 《의려집(醫閭集)》이 있음.
1437~151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극공(克恭)@조극공 - 조극공(趙克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로, 계공랑(啓功郞) 조이종(趙李宗)의 아들. 조욱(趙昱)이 서울로 올라가는 조극공에게 영월(寧越)에서 시를 지어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극관(克寬)@남극관 - 남극관(南克寬)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인. 본관은 의령(宜寧).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남구만(南九萬)의 손자이자 수락산(水洛山)에서 은거한 남학명(南鶴鳴)의 아들. 문집으로《몽예집(夢囈集)》이 있음.
1689~171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