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극관(克寬) - 권극관(權克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낸 권덕유(權德裕)의 아들로, 감역(監役)을 지내고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됨. 이경석(李景奭)이 쓴 묘갈명(墓碣銘)이 《백헌집(白軒集)》에 전함.
1546~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극군(郤君) - 극결(郤缺)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晉) 나라의 대부. 기읍(冀邑)에서 농사를 짓고 살면서 부부간에 서로 공경하기를 손님을 대하듯이 했는데, 구계(臼季)의 천거를 받아 하군대부(下軍大夫)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극균(克均) - 이극균(李克均)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좌의정(左議政) 등을 역임하였으며, 연산군의 황음(荒淫)을 바로잡으려다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된 후 사사됨.
1437~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극근(克勤)@홍경우 - 홍경우(洪儆禹)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천석(洪天錫)의 아들로, 곽산 현령(郭山縣令)ㆍ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60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극근(克勤) - 정민정(程敏政)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효종 때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을 지냄. 육구연(陸九淵)의 학파로,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에 부주(附註)를 냄.
1445~149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극근(克勤)@원오 - 원오(圜悟)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임제종(臨濟宗)의 승려. 종고(宗杲)에게 법을 전수함. 저서에 《벽암록(碧巖錄)》이 있음.
1063~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극기(克基) - 이극기(李克基)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고원 군수(高原郡守)를 지낸 이은(李誾)의 아버지로, 성리학(性理學)에 정통하였으며 공조 참판(工曹參判) 등을 지냄.
?~148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극기(克己)@유감 - 유감(柳堪)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정랑(吏曹正郞) 시절 《무정보감(武定寶鑑)》의 간행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 윤원형(尹元衡) 실각 후 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역임하였으며,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14~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극기(克己)@유호인 - 유호인(劉好仁)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유선보(劉善寶)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성운(成運)ㆍ김대유(金大有)ㆍ이희안(李希顔) 등과 교유하였으며, 참봉(參奉)을 지냄.
1502~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극기(克己)@송극기 - 송극기(宋克己)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송명의(宋明誼)의 아들이며, 부사정(副司正) 송유(宋愉)의 아버지로, 진사(進士)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유학
-
극기(克己) - 유호인(兪好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합천 군수(陜川郡守) 등을 지냄. 시(詩)ㆍ문(文)ㆍ서(書)에 뛰어나 당대 삼절(三絶)로 일컬어지고 성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음.
1445~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극기(克己)@변우인 - 변우인(卞友仁)
조선 중중(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창신교위(彰信校尉) 변찬(卞瓚)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유학
-
극기(克己)@김광복 - 김광복(金匡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전라 도사(全羅都事)를 지내다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좌천되었고 경성 교수(鏡城敎授)가 되었다가 병사(病死)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극기(克己)@방호인 - 방호인(房好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방덕일(房德馹)의 아들. 1568년(선조 1)에 증광시(增廣試) 생진 양시(生進兩試)에 입격함.
154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극기(克己)@이감 - 이감(李堪)@이강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성종(成宗)의 아들인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증손이며, 의성부정(義城副正) 이강(李鋼)의 맏아들.
15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극기(克己)@이숙인 - 이숙인(李淑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이영(李英)의 아들이며 이공(李珙)의 아버지로, 집현전 참봉(集賢殿參奉)에 제수됨.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그에 대한 만시(輓詩)가 실려 있음.
?~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덕형(德亨) - 이원수(李元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이(李珥)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덕형(德泂) - 김청(金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치장(金致章)의 아들. 1553년(명종 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선천 군수(宣川郡守)ㆍ대사간 등을 지냈으며, 박순(朴淳)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덕형(德泂)@이덕형 - 이덕형(李德泂)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후손. 한성 판윤(漢城判尹)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내고, 저서로 《송도기이(松都記異)》 등이 있음.
1566~164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덕형(德馨)@나덕형 - 나덕형(羅德馨)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했던 나사돈(羅士惇)의 손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