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극기(克己)@송극기 - 송극기(宋克己)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송명의(宋明誼)의 아들이며, 부사정(副司正) 송유(宋愉)의 아버지로, 진사(進士)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유학
-
극기(克己) - 유호인(兪好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합천 군수(陜川郡守) 등을 지냄. 시(詩)ㆍ문(文)ㆍ서(書)에 뛰어나 당대 삼절(三絶)로 일컬어지고 성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음.
1445~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극기(克己)@변우인 - 변우인(卞友仁)
조선 중중(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창신교위(彰信校尉) 변찬(卞瓚)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유학
-
극기(克己)@김광복 - 김광복(金匡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전라 도사(全羅都事)를 지내다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좌천되었고 경성 교수(鏡城敎授)가 되었다가 병사(病死)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극기(克己)@방호인 - 방호인(房好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방덕일(房德馹)의 아들. 1568년(선조 1)에 증광시(增廣試) 생진 양시(生進兩試)에 입격함.
154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극기(克己)@이감 - 이감(李堪)@이강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성종(成宗)의 아들인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증손이며, 의성부정(義城副正) 이강(李鋼)의 맏아들.
15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극기(克己)@이숙인 - 이숙인(李淑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이영(李英)의 아들이며 이공(李珙)의 아버지로, 집현전 참봉(集賢殿參奉)에 제수됨.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그에 대한 만시(輓詩)가 실려 있음.
?~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덕형(德亨) - 이원수(李元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이(李珥)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덕형(德泂) - 김청(金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치장(金致章)의 아들. 1553년(명종 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선천 군수(宣川郡守)ㆍ대사간 등을 지냈으며, 박순(朴淳)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덕형(德泂)@이덕형 - 이덕형(李德泂)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후손. 한성 판윤(漢城判尹)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내고, 저서로 《송도기이(松都記異)》 등이 있음.
1566~164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덕형(德馨)@나덕형 - 나덕형(羅德馨)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했던 나사돈(羅士惇)의 손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덕형(德馨) - 성덕형(成德馨)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영조(英祖) 때의 문신 성천주(成天柱)의 아버지로,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덕형(德馨)@이덕형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덕혼(德渾) - 안중돈(安重敦)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킨 안방준(安邦俊)의 아버지로, 1561년(명종 1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4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덕홍(德弘)@이덕홍 - 이덕홍(李德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충량(李忠樑)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영춘 현감(永春縣監)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자를 따라 성천(成川)까지 호종함.
1541~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덕홍(德弘) - 신호(申濩)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신광한(申光漢)의 문인으로, 직강(直講)ㆍ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덕홍(德洪) - 혜홍(惠洪)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흠종(欽宗) 때의 승려. 임제종(臨濟宗) 황룡파(黃龍派)에 속하며 시승(詩僧)으로 유명함. 저서로 《임간록(林間錄)》ㆍ《선림승보전(禪林僧寶傳)》ㆍ《냉재야화(冷齋夜話)》등이 있음.
1071~1128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덕황(德皇) - 효덕황(孝德皇)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의 장남. 황태자가 되었다가 훼참(毁讒)으로 폐위되어 청하왕(淸河王)에 봉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덕회(德晦) - 장현광(張顯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1576년(선조 9)에 재능과 행실이 드러나 조정에 천거된 이후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대부분 나아가지 않고, 평생 학문에 몰두하여 경학(經學)에 일가를 이룸.
1554~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인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덕훈(德薫) - 이여빈(李汝馪)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우계(羽溪). 참봉(參奉) 이효신(李孝信)의 아들이며 한우(韓佑)의 문인.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위를 주장하는 정인홍(鄭仁弘)과 이이첨(李爾瞻)을 비판하는 상소문을 올림.
1556~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