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덕훈(德薰) - 이정형(李廷馨)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탕(李宕)의 아들이며, 정윤희(丁胤禧)의 문인. 성리학(性理學) 등 다방면에 밝고, 이원익(李元翼)ㆍ이호민(李好民)ㆍ이수광(李睟光) 등과 교유하였으며, 이조 참판 등을 지냄.
1549~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덕휘(德輝) - 이광정(李光庭)@1552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주(李澍)의 아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정묘호란 때 왕을 호종하여 강화(江華)에 들어갔다가 병사함.
1552~162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덕휴(德休)@유대일 - 유대일(兪大逸)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좌의정(左議政) 유홍(兪泓)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지냄. 그의 시문집인 《용은집(慵隱集)》이 《송당집(松塘集)》에 실려 있음.
1572~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덕휴(德休) - 김성구(金聲久)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추길(金秋吉)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 등을 지냄. 안동(安東)의 백록사(栢麓祠)에 배향(配享)됨.
1641~17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덕흥(德興) -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조선 전기의 왕자. 조선 제11대 왕인 중종(中宗)의 아들이자, 제14대 왕인 선조(宣祖)의 아버지로, 명종(明宗)이 후사 없이 죽자 그의 셋째 아들 하성군(河城君) 이균(李鈞)이 즉위하여 선조가 되었고, 대원군에 추존됨.
1530~15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덕흥군(德興君)@덕흥대원군 -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조선 전기의 왕자. 조선 제11대 왕인 중종(中宗)의 아들이자, 제14대 왕인 선조(宣祖)의 아버지로, 명종(明宗)이 후사 없이 죽자 그의 셋째 아들 하성군(河城君) 이균(李鈞)이 즉위하여 선조가 되었고, 대원군에 추존됨.
1530~15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덕흥군(德興君) - 왕혜(王譓)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의 셋째 아들. 원(元) 나라 순제(順帝)에게 고려의 왕으로 책봉받고 기황후(奇皇后)ㆍ최유(崔濡) 등과 공모하여 본국을 침입했으나 실패한 뒤 원으로 쫓겨 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덕흥대군(德興大君) -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조선 전기의 왕자. 조선 제11대 왕인 중종(中宗)의 아들이자, 제14대 왕인 선조(宣祖)의 아버지로, 명종(明宗)이 후사 없이 죽자 그의 셋째 아들 하성군(河城君) 이균(李鈞)이 즉위하여 선조가 되었고, 대원군에 추존됨.
1530~15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덕흥서숙(德興書塾) - 덕흥서원(德興書院)
조선시대 경상도 대구(大丘)에 건립한 서원. 1527년(중종 23) 이현보(李賢輔)가 대구 부사(大丘府使)로 있을 때 강례(講禮)했던 덕흥서숙(德興書塾)이 있던 곳에 후학들이 덕흥서원(德興書院)을 건립하여 정경세(鄭經世)ㆍ이현보를 배향함.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兜) - 환도(驩兜)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악인(惡人). 사람 얼굴에 새 부리 형상에 날개를 지녔고 바다의 고기를 먹는데, 순임금 때에 공공(共工)ㆍ삼묘(三苗)ㆍ곤(鯀) 등과 함께 숭산(崇山)으로 쫓겨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도(圖) - 사공도(司空圖)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당 나라 말에 환관이 발호하고 당쟁이 극심해지자 관직을 사임하고 중조산(中條山)의 왕관곡(王官谷)에 은거하며 시작(詩作)에 전력함.
837~90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도(島) - 가도(賈島)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시인. 처음에 중이 되었다가 뒤에 환속(還俗)하였음. 벼슬은 장강 주부(長江主簿)에 이르렀고, 시집으로는 《가장강집(賈長江集)》이 있음.
779~84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도(棹) - 이도(李棹)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개국공신. 전의이씨(全義李氏)의 시조. 태조가 견훤(甄萱)을 정벌하기 위해 남하(南下)했을 때 홍수로 범람한 금강(錦江)의 도강책(渡江策)을 주도한 공로로 공신에 책록되고 전산후(全山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전의ㅣ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도(濤)@유도 - 유도(柳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유진동(柳辰仝)의 아들로, 1560년(명종 1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 등을 지냄.
1520~15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도(濤) - 권도(權濤)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사포서 별좌(司圃署別坐)를 지낸 권세춘(權世春)의 아들. 정구(鄭逑)ㆍ장현광(張顯光)의 문인이며, 유효립(柳孝立)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영사원종공신(寧社原從功臣)에 책록됨.
1557~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도(濤)@김도 - 김도(金濤)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양백연(楊伯淵)의 옥사에 연루되어 효수당함.
?~137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도(燾) - 김도(金燾)
조선시대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후릉 참봉(厚陵參奉) 김취빈(金就彬)의 아들.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도(荼) - 안유자(晏孺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 경공(景公)의 총첩(寵妾)인 예희(芮姬)의 소생으로, 경공이 죽자 국하(國夏)와 고장(高張)의 도움으로 왕에 올랐으나, 천첩 출신임을 꺼려 양생(陽生)을 추대한 대부 전걸(田乞) 등에 의해 살해됨.
?~B.C.4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도(鍍) - 박도(朴鍍)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인. 김일손(金馹孫)의 《탁영집(濯纓集)》에 김시습(金時習) 등과 화운(和韻)한 사(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도^장(盜^莊) - 척^교(跖^蹻)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도둑인 도척(盜跖)과 초(楚) 나라의 도적인 장교(莊蹻)를 함께 부르는 말. 악인(惡人)의 대표적인 인물들로, 흉악한 사람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