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도남(圖南)@이도남 - 이도남(李圖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적(李迪)의 아들로, 동래 부사(東萊府使)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관직에서 물러난 후 단성(丹城)으로 낙향하여 노모(老母)를 봉양함.
1496~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도내산(道乃山) - 용안(龍安)
전라도 북서부에 있던 고을 이름. 조선 초기에는 이곳 금두포(金頭浦)에 득성창(得成倉)이 설치되어 조운(漕運)의 요충지 역할을 함. 현재 전라북도 익산시(益山市)에 속함.
전라도>용안 , 지명>행정지명
-
도녕(道寧) - 금성(金城)
강원도 철원(鐵原)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파산(慶把山)ㆍ적산(赤山) 등의 산과, 보리진(菩提津)ㆍ다경진(多慶津) 등의 나루가 있음.
강원도>금성 , 지명>행정지명
-
도담삼봉(島潭三峯) - 도담(島潭)
충청도 단양(丹陽)의 북부에 있는 명승지. 못 가운데 세 바위가 솟아 있으며, 중앙봉에는 정도전(鄭道傳)이 지었다고 하는 정자가 있음.
충청도>단양 , 지명>자연지명
-
도당(陶唐) - 요(堯)
중국 전설상의 성천자(聖天子) 요(堯) 임금. 순(舜)과 아울러 '요순(堯舜)의 치(治)'라 하여,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천자상(天子像)으로 알려짐.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도당씨(陶唐氏) - 요(堯)
중국 전설상의 성천자(聖天子) 요(堯) 임금. 순(舜)과 아울러 '요순(堯舜)의 치(治)'라 하여,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천자상(天子像)으로 알려짐.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도덕지귀론(道德指歸論) - 노자지귀(老子指歸)
중국 전한(前漢) 말기의 학자인 엄준(嚴遵)이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을 주해(註解)한 철학서. 《경전석문(經典釋文)》 등에는 14권으로 되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도덕진경지귀(道德眞經指歸) - 노자지귀(老子指歸)
중국 전한(前漢) 말기의 학자인 엄준(嚴遵)이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을 주해(註解)한 철학서. 《경전석문(經典釋文)》 등에는 14권으로 되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도동곡구장(道東曲九章) - 도동곡(道東曲)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형식의 한글가사. 유교의 내력과 학자 회헌(晦軒) 안향(安珦)의 덕을 찬양하며 읊었는데, 주세붕(周世鵬)의 시문집(詩文集)인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실려 전함.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문헌>작품명
-
도동서원(道東書院) - 구계서원(龜溪書院)@안동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된 서원. 고려 말의 학자인 우탁(禹倬)이 강학하던 선성(宣城)의 원우(院宇)를 옮겨 중창(重創)한 뒤 우탁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경산시(慶山市)의 영남대학교(嶺南大學校) 구내로 옮겨짐.
16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라산(兜羅山) - 도라산(都羅山)
경기도 파주(坡州)에 있는 산 이름. 임진강 하구 넓은 들 가운데 있어 옛날부터 군사적 요충지로 꼽힘.
경기도>파주 , 지명>자연지명
-
도령(陶令)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도령(陶嶺) - 도산(陶山)
경상도 안동(安東) 있는 산 이름.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도로(陶老)@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로(陶老)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도로신(道路神) - 누조(嫘祖)
중국 고대 황제 헌원씨(黃帝軒轅氏)의 원비(元妃). 소호(少昊)의 어머니이며, 서릉씨(西陵氏)의 딸로, 양잠(養蠶)을 발명함. 황제를 도와 천하를 다스렸으며, 황제와 천하를 순시하던 중에 병으로 죽음. 시호를 ‘조신(祖神)’으로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도리황후(桃李皇后)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도림(道林) - 지둔(支遁)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지형산(支硎山)ㆍ여항산(餘杭山)에 은거하여 수도(修道)하다가 애제(哀帝)로부터 부름을 받고 금중(禁中)에서 불법(佛法)을 강론함. 시에 능하여 《지둔집(支遁集)》이라는 시집을 남김.
314~3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도립(道立) - 등수안(鄧守安)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도사. 나부산(羅浮山)에 거처했고, 소식(蘇軾)이 등수안(鄧守安)을 평소 존중하여 서로 깊은 우애를 나눔.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도명(道明)@세조 - 세조(世祖)@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후연(後燕)의 제1대 황제. 재위 384~396. 전연(前燕)을 세운 모용황(慕容皝)의 아들로, 전진(前秦)의 부견(苻堅)에게 망명하여 세력을 키운 후 칭제(稱帝)하여 화북(華北) 동부를 평정함.
326~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