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도미(荼蘼) - 옥매(玉梅)
장미과(薔薇科)의 낙엽관목(落葉灌木). 설중사우(雪中四友)의 하나로, 흰 꽃이 피며 정원수(庭園樹)로 많이 심음.
자연물>식물
-
도민(道敏) - 탁도민(卓道敏)
고려 선종(宣宗) 때의 문신. 광산탁씨(光山卓氏)의 시조인 탁지엽(卓之葉)의 맏아들로, 선종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도민(道民) - 효무제(孝武帝)@남북조(송)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453~464. 아버지 문제(文帝)를 시해하고 제위에 앉은 형을 죽이고 즉위함.
430~46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도반(屠蟠) - 신도반(申屠蟠)
중국 후한(後漢) 말의 학자ㆍ은자. 당고(黨錮)의 화를 피해 산 속에 들어가 살면서 대장군 하진(何進)과 동탁(董卓) 등의 초빙을 물리치고 절조(節操)를 지키며 여생을 마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학자
-
도백(徒白) - 백두산(白頭山)
함경도와 중국 길림성(吉林省)에 걸쳐 있는 산.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聖山)으로 숭배함.
함경도>경성ㅣ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
-
도보(道甫) - 이광사(李匡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ㆍ서예가. 본관은 진주(全州)로, 이긍익(李肯翊)의 아버지. 정제두(鄭齊斗)의 문인으로, 양명학(陽明學)에 조예가 깊었으나 당쟁에 휘말려 유배지에서 죽음. 서예에 뛰어나 원교체(圓嶠體)를 확립하고 후세에 많은 영향을 끼침.
1705~177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도보(道輔) - 공도보(孔道輔)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공자의 45대손. 좌정언(左正言)ㆍ권어사중승(權御史中丞) 등을 지냈으며, 맹자의 무덤을 방문하고 그 서남쪽에 맹자묘(孟子廟)를 세움.
985~103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도부(道夫) - 박시용(朴時庸)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박흥생(朴興生)의 조부(祖父)로, 감찰규정(監察糾正)을 지냈으며, 운문관 대제학(右文館大提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도부(都府) - 경사(京師)
중국의 수도를 지칭하는 말. 경(京)은 크고 사(師)는 많다는 뜻으로, 주(周) 나라의 수도를 경사(京師)라고 한 데서 후대에 천자(天子)가 기거하는 곳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도부(陶賦)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도사행(陶士行) - 도간(陶侃)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혜제(惠帝)~성제(成帝) 때의 장군. 도잠(陶潛)의 증조부. 명제(明帝) 때 정남대장군(征南大將軍)으로 왕돈(王敦)의 반란ㆍ소준(蘇峻)의 변란을 평정해 많은 공을 세우고, 벼슬이 시중태위(侍中太尉)에 이름.
257~33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도산(道山) - 수도산(修道山)
경상북도 김천(金泉)과 경상남도 거창(居昌)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숙종(肅宗)의 비(妃)인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원당(願堂)인 청암사(靑巖寺)가 있음.
경상도>금산 , 지명>자연지명
-
도산(闍山) - 도굴산(闍崛山)
경상북도 의령(宜寧) 일대에 걸쳐 있는 산 이름.
경상도>의령 , 지명>자연지명
-
도산(陶山)@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산(陶山)@육전 - 육전(陸佃)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 왕안석(王安石)에게 수학하고 상서좌승(尙書左丞) 등을 지냈으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박주지사(亳州知事)로 좌천됨. 예가(禮家)와 명수(名數)의 학설에 밝음.
1042~110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산노인(陶山老人)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산로(陶山老)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산묘원(陶山廟院) - 도산서원(陶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창건한 서원. 1575년(선조 8)에 사액(賜額)되고, 이황(李滉)의 위패를 모셨으며, 영남 유림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함.
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산부자(陶山夫子)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산사우(道山祠宇) - 도산사(道山祠)
조선 효종(孝宗) 때 전라도 능성(綾城)에 건립된 사당. 안방준(安邦俊)을 배향함.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에 속함.
165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유적>건물>사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