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도성(道盛)@이세장 - 이세장(李世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목(李穆)의 아들. 명종 때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수관(編修官)을 겸하였고, 호조 참의(戶曹參義)ㆍ호분위 대호군(虎賁衛大護軍) 등을 지냈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97~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도수(陶叟)@이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수(陶叟)@이의현 - 이의현(李宜顯)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으로, 좌의정 이세백(李世白)의 아들. 정미환국(丁未換局) 때 파직되었으나 이인좌(李麟佐)의 무신란(戊申亂) 때 다시 기용되어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지냄. 노론(老論)의 영수로 추대되고, 저서로 《도곡집(陶谷集)》이 있음.
1669~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도수(陶叟) - 이숭인(李崇仁)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삼은(三隱)의 한 사람으로, 이색(李穡)에게 수학하고 정몽주(鄭夢周)ㆍ정도전(鄭道傳) 등과 교유하였으나, 조선 개국에 앞서 정도전의 심복인 황거정(黃巨正)에 의해 피살됨.
134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수(陶峀) - 도산(陶山)
경상도 안동(安東) 있는 산 이름.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도승(道升) - 철종(哲宗)@조선
조선 제25대 국왕. 재위 1849~1863. 정조(正祖)의 동생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고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이광(李㼅)의 셋째 아들. 헌종(憲宗)의 뒤를 이어 즉위함.
1831~186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도승(道昇) - 관도승(管道昇)
중국 원(元) 나라의 화가ㆍ서예가. 조맹부(趙孟頫)의 부인으로, 특히 묵죽(墨竹)에 뛰어남.
1262~1319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도실(道實) - 순창(淳昌)
전라북도의 남부 노령산맥(蘆嶺山脈)의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구암사(龜巖寺)와 강천사(剛泉寺) 등의 사찰이 있음.
전라도>순창 , 지명>행정지명
-
도아(屠兒) - 주해(朱亥)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魏) 나라의 백정. 신릉군(信陵君)이 진(秦) 나라의 공격을 받은 조(趙) 나라를 구원하러 갔을 때, 따라가서 위 나라의 대장 진비(晉鄙)를 철퇴로 때려죽이고 조 나라를 구원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백정
-
도악(陶岳) - 도산(陶山)
경상도 안동(安東) 있는 산 이름.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도안부정(道安副正) - 이철(李轍)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손자이며, 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도안정(道安正) - 이철(李轍)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손자이며, 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도암(桃巖) - 오수영(吳守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글씨를 잘 써 금보(琴輔)ㆍ이숙량(李叔樑) 등과 함께 ‘선성삼필(宣城三筆)’이라 불림.
1521~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도암(道菴) - 남금(南琴)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태종(太宗)이 양녕대군(讓寧大君)을 광주에 안치(安置)할 때 판목사(判牧事)로 삼았으며,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도암(陶庵) - 이재(李縡)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우봉(牛峯).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노론(老論)의 중심인물로 활약함. 정미환국(丁未換局) 이후 용인(龍仁)의 한천(寒泉)에 거주하며 학자를 양성하고 《사례편람(四禮便覽)》 등을 저술함.
1680~174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암(陶菴) - 이재(李縡)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우봉(牛峯).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노론(老論)의 중심인물로 활약함. 정미환국(丁未換局) 이후 용인(龍仁)의 한천(寒泉)에 거주하며 학자를 양성하고 《사례편람(四禮便覽)》 등을 저술함.
1680~174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암(韜庵) - 오희길(吳希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ㆍ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김인후(金麟厚)ㆍ정여립(鄭汝立)의 문인으로, 정여립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었으나 절교한 것이 드러나 풀려남. 임진왜란 때 태조(太祖)의 어진(御眞) 등을 보전한 공로로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저서로《도동연원록(道東淵源錄)》이 있음.
1556~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도암선생집(陶菴先生集) - 도암집(陶菴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재(李縡)의 시문집. 1803년(순조 3) 용인(龍仁)의 한천서원(寒泉書院)에서 손자 이채(李采)가 활자로 간행함.
180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문헌>서명
-
도야(陶爺) - 도양성(陶良性)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감생(監生)으로 경략(經略) 송응창(宋應昌)을 수행하고, 이어 영평부 통판(永平府通判)으로 군문(軍門) 형개(邢玠)를 수행하여 두 차례 조선에 건너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도언(道彦) - 김종덕(金宗德)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으로,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했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며 《성학입문(聖學入門)》 등 많은 저술을 남김.
1724~17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