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홍익(金弘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성원(金成遠)의 아버지. 병절교위(秉節校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홍진(金鴻鎭)
조선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종 때의 문신 김영한(金寗漢)의 생부. 용양위 부사과(龍驤衛副司果)을 역임함.
한국>근대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김홍필(金弘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의성 현령(義城縣令)을 지낸 김영세(金英世)의 아버지.
1467~153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김화(金鏵)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상주(尙州). 1460년(세조 6)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상의원 판관(尙衣院判官)ㆍ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 등을 지냈음.
1433~15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무신
-
김확(金確)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유학 김광찬(金光纘)의 아들로, 1603년(선조 36)에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벼슬하지는 않음.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킴.
1583~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김환(金環)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낸 김계흥(金季興)의 아버지로, 학성군(鶴城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김황(金貺)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회군공신(回軍功臣)인 밀양 부사(密陽府使) 김온(金穩)의 아버지. 봉상대부(奉常大夫)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김황(金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증손(金曾孫)의 아들로,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김회(金淮)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김효로(金孝盧)의 아버지로 음성현감(陰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회윤(金懷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직손(金直孫)의 아버지. 사온서 직장(司醞署直長)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회조(金懷祖)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문민공(文敏公) 김광철(金光轍)의 아들로, 통헌대부(通憲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효량(金孝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서흥(瑞興). 건재(健齋) 김천일(金千鎰)의 장인으로, 위원 군수(渭原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서흥 , 인명>관인>문신
-
김효례(金孝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청풍(淸風).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지낸 김길통(金吉通)의 아버지. 좌찬성(左贊成)에 증직(贈職)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문사>유학
-
김효로(金孝盧)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김회(金淮)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54~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ㅣ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김효민(金孝敏)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교감(校勘) 김양전(金良琠)과 형조 판서(刑曹判書) 김양경(金良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김효방(金孝芳)
신라 제37대 왕 선덕왕(宣德王)의 아버지. 본관은 경주(慶州). 내물마립간의 9세손으로, 관등은 해찬(海飡).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김효손(金孝孫)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역임. 삼척 부사(三陟府使) 재임시 죽서루(竹西樓)를 중건함.
1373~14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효우(金孝友)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예안(禮安). 김미손(金尾孫)의 아들이며,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를 지낸 김흠조(金欽祖)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김효원(金孝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조식(曺植)ㆍ이황(李滉)의 문인. 이조 전랑(吏曹銓郞)의 추천과 임명을 둘러싸고 심의겸(沈義謙)과 반목하면서 사림계가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으로 나뉘는 원인을 제공함.
1542~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효원(金效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장원서 장원(掌苑署掌苑)을 지낸 김만억(金萬億)의 아들.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정자(正字)를 지내고,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