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도옹(陶翁)@이숭인 - 이숭인(李崇仁)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삼은(三隱)의 한 사람으로, 이색(李穡)에게 수학하고 정몽주(鄭夢周)ㆍ정도전(鄭道傳) 등과 교유하였으나, 조선 개국에 앞서 정도전의 심복인 황거정(黃巨正)에 의해 피살됨.
134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왕(度王) - 도조(度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조부. 익조(翼祖) 이행리(李行里)의 아들로, 몽고 이름은 발안첩목아(孛顔帖木兒). 비는 원나라의 천호(千戶) 벼슬을 받은 박한보(朴閑甫)의 딸 경순왕후(敬順王后). 1394년(태조 3) 4대조를 추존할 때 도왕(渡王)이라 하였다가 2년 후 도조(度祖)로 격상됨.
?~1342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덕원 , 인명>왕실>국왕
-
도원(悼園) - 여태자(戾太子)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의 태자. 모친은 위황후(衛皇后). 무제로부터 소외당하고 외숙인 위청(衛靑)이 죽자 권신 강충(江充)이 무고하여 거병(擧兵)하였다가 실패하여 자살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도원(挑園) - 박제상(朴堤上)
신라 내물왕(奈勿王)~눌지왕(訥祗王) 때의 충신(忠臣). 고구려에 볼모로 간 복호(卜好)와 왜에 볼모로 간 미사흔(未斯欣)을 구해낸 후 왜에 붙잡혔으나 충절을 지키다가 박다(博多)에서 순국함. 영해박씨(寧海朴氏)의 시조.
363~419 한국>신라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도원(桃園) - 유형(兪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유세건(兪世建)의 아들로, 양주 목사(楊州牧使)ㆍ청풍 군수(淸風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를 신구(伸救)하는 상소를 올림.
1482~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도원(道元) - 방온(龐蘊)
중국 당(唐) 무종(武宗)~선종(宣宗) 때의 승려. 황벽(黃蘗) 희운선사(希運禪師)에게 불법, 특히 선도(禪道)를 닦아 깨달음을 얻음.
?~808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도원(道原)@홍서주 - 홍서주(洪敍疇)
조선 중중(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좌찬성(左贊成) 홍숙(洪淑)의 아들로, 복성군(福城君)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 김안로(金安老)가 사사된 뒤 풀려나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냄.
1499~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도원(道原) - 유서(劉恕)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자치통감(資治通鑑)》찬수(撰修)에 참여하여 삼국(三國)에서 남북조(南北朝)까지를 기술하고, 《자치통감외기(資治通鑑外紀)》를 저술함.
1032~107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도원(道原)@정약용 - 정약용(程若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로 《성리자훈강의(性理字訓講義)》ㆍ《태극홍범도설(太極洪範圖說)》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도원(道園) - 우집(虞集)
중국 원(元) 나라의 시인ㆍ학자. 당시(唐詩)를 연구 계승하여, 양재(楊載)ㆍ범곽(范椁)ㆍ게혜사(揭傒斯)와 함께 원시사대가(元詩四大家)로, 또는 유관(柳貫)ㆍ황진(黃溍)ㆍ게혜사와 함께 유림사걸(儒林四傑)로 불림. 만권당(萬卷堂)에 초치(招致)되어 이제현(李齊賢) 등과 교류함.
1272~134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도원(道源)@송규렴 - 송규렴(宋奎濂)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문인. 학문이 뛰어나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 등과 함께 삼송(三宋)으로 일컬어지고, 전서(篆書)ㆍ주서(籒書)에 능함.
1630~17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도원(道源)@유도원 - 유도원(柳道源)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으로, 존심(存心)ㆍ함양(涵養)의 실천적 수행으로 위기지학(爲己之學)에 전념함. 주석학(註釋學)에 밝아 많은 저술을 남기고 후진 양성에 힘씀.
1721~179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도원(道源)@심관 - 심관(沈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세조(世祖)~성종(成宗) 때 활동한 심준(沈濬)의 형으로, 이조(吏曹)와 호조(戶曹)의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도원(道源) - 김용(金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싸웠으며, 《선조실록(宣祖實錄)》 수찬(修撰)에 참여함.
1557~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도원(道源)@박세희 - 박세희(朴世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강계(江界)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
14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도원(道源)@손수 - 손수(孫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문장(文章)과 기우(氣宇)가 뛰어났으며,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도원(道源)@채준 - 채준(蔡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송화 현감(松禾縣監)을 지낸 채년(蔡年)의 아들로, 양성 현감(陽城縣監)을 지냄.
1476~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도원(道源)@김세렴 - 김세렴(金世濂)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군수 김극건(金克鍵)의 아들로,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는 자를 탄핵하다가 유배됨.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재기용되어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등을 지내며 《근사록(近思錄)》ㆍ《소학(小學)》등을 간행함.
1593~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도원(陶原) - 조헌(趙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배천(白川).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옥천(沃川) 등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으나 금산(錦山) 전투에서 700명의 의병과 분전하다가 함께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관인>문신
-
도원(陶院) - 도산서원(陶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창건한 서원. 1575년(선조 8)에 사액(賜額)되고, 이황(李滉)의 위패를 모셨으며, 영남 유림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함.
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서원,향교